• Title/Summary/Keyword: aesthetic impression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중년기 여성의 아쿠아로빅 웨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착의 평가 (Sensory Test for the Development of Aquarobic Wear Design for Middle-Aged Women)

  • 김미선;나미향;김성숙;박영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424-435
    • /
    • 2022
  • Aesthetic impression, structural stability, functionality during exercise, freedom of movement and physiological sui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quarobic wear for middle-aged women. We conducted a visual evaluation of the commercial aquarobic wear of the five brands (ARENA, TURN, RALLY, RENOMA and ELLE) with the highest market share and selected three items: one-piece type (OPT); two-piece type (TPT) and whole-body type (WBT). These are the most worn types of aquarobic wear for each brand. The G4 showed the best results in appearance evaluation of the shoulder strap width, front neckline, armhole line, side hip line and short pants length in the OPT category. The TPT had better ratings as the shoulder strap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houlder, and the front and the back necklines were not too deep. The five items of WBT clothing received similar ratings for each elemen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advantages are evenly distributed. No single design was a clear favorite. Based on the above results, continuou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aquarobic wear that is more suitable and preferable for middle-aged women should be conducted.

아이폰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유형 분석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Emotional experience design types of iPhone users - Focused on Q-methodology -)

  • 이영주;이호은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38권
    • /
    • pp.312-320
    • /
    • 2012
  • 본 연구는 아이폰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감성경험디자인 요소의 주관적 관점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었으며 주관성 연구를 위해 Q 방법론을 통해 4개의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제 1 유형은 사용편의성 추구 유형으로 아이폰에 대한 충분한 사용적 이해가 있는 개인의 사용행태에 따른 기능, 이해의 용이성, 물리적 느낌, 사용성 모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 유형은 심미성 추구 유형으로 제품의 시각적인 정보에 의한 직관적이고 주관적인 심미적 인상을 중요하시는 유형을 구분되었다. 제 3 유형은 차별적 감성 추구 유형으로 자기 이미지나 자기가 소유한 제품을 통해 다른 이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중요하게 여기는 유형이며 제 4 유형은 아이폰에 대한 적극적이며 절대적인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 연구 개발 전략 - 금문(錦紋)을 중심으로 - (National brand development research strategy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 김미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232-245
    • /
    • 2021
  •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의 컬처노믹스(Culturenomics) 현상이 국가 브랜드 구축에 있어 중요한 핵심적 가치로 작용하고 있다. 말하자면 지구촌 사람들은 저마다 고유한 미의식을 계승하여 이를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문화 산업이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그 존재성을 확고히 할 수 있다고 믿고 있는 것이다. 현재 지구촌의 환경 변화에 따른 언택트(untact) 시대에 현대인들은 인터넷상에서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그 어느 때보다 쉽고 빠르게 품질 좋은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은 자국의 전통미를 간직한 문화적 소산물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려는 이른바 '문화 브랜딩' 전략을 구축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해야만 고립된 경제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오랜 전통이 담겨 있는 단청 문양 중 금문(錦紋) 패턴을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해석하였다. 즉 한국 전통 문양을 활용한 국가 브랜드의 개발 전략을 제시하려는 게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전통 건축의 목 부재를 보호할 목적으로, 그리고 건축의 의장적 성격에 따라 달리 도채(塗彩)되었던 단청 문양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전통 건축에 채색되는 단청 문양은 궁궐, 사찰, 유교 단청에 따라 문양과 색상을 달리한다. 그 중 금단청에 채색되는 금문(錦紋)은 부처님이 계시는 주불전(主佛殿) 공간을 장엄하기 위한 의장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금문은 과거의 존속이 아니라 현재의 전통성을 이어가는 새로운 매개체라 할 수 있다. 단청의 일부인 금문은 독창적인 구성 방식과 소재, 그리고 장식적인 기법이 뛰어나기 때문에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동일한 문양이라 할지라도 색상에 따라 시각적으로 달리 해석되는 금문에 내포되어 있는 심미성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전통 문양은 탐구와 이론적 연구로서의 보전 가치도 중요하지만 이를 현대적 조형 디자인으로 재창조하여 국가 브랜드화하고, 더 나아가 자국민의 자긍심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면 디자인 과정과 입체적인 조형 방법을 거쳐 전통 문양을 실물처럼 재현하고자 하였다. 과거에 머물러 있는 한국적 조형미가 국가 브랜드 제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일부 여대생의 구강 및 안모상태와 치은노출(Gummy smile)과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among the oral & facial states and the gummy smile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소미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45-353
    • /
    • 2012
  • Objectives : The author has studied about correlation of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 and oral facial status that reduce facial aesthetic.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91 female vulunteers who were in aged $21.4{\pm}1.89$ in Suwon. Objectives should be normal oral and facial status without the prosthodontic, orthodontic appliance or conqenital missing tooth, and agree to be examined the oral status and impression taking. 1.Measure the length of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 2.Measure of the size on central incisor. 3.Measure of Facial. SPSS(SPSS 10.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USA) was utilized for calculat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 and facial status. Regression analysis was calculated in order to predict the R square for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 Results : 1.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gingival exposure and leng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was calculated as reversed correlation(r=-.302, p<0.01), and between the gingival exposure and the ratio of the length of central incisor/width of central incisor was revealed as reversed correlation(r=-.250, p<0.05) on smiling. 2.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gingival exposure and the facial height(r=.351, p<0.01), the lower facial height(r=.454, p<0.01) and the upper lip height(r=.274, p<0.01) upon smiling. 3.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gingival exposure and the ratio of the facial height/facial width(r=.358, p<0.05), the ratio of the upper facial height/facial width(r=.214, p<0.05), and the ratio of the lower facial height/facial height(r=.383, p<0.01) upon smiling. 4.The equation of the regression analysis for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 could be estimated as gingival exposure upon smiling=-5.139+.279${\times}$lower facial height-.615${\times}$maxillary central incisal length-.05${\times}$nasolabial angle. Conclusions :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recommended that treatment planning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such factors as the length of maxillary central incisor, facial height, upper lip height and lower facial height, in order to promote the easthetic problems of face on smiling.

현대 패션에 나타난 고전적 조형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Classical Construction Paradigm in Modern Fashion)

  • 김혜영;이신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13권6호통권59호
    • /
    • pp.960-976
    • /
    • 2005
  • Classicism pursued beauty comprised of a perfect form, and beauty was perceived as a state of sufficiency. Accordingly, a completed and permanent beauty was sought after; as a result, a perfect and flawless form became the mainstream, and there was an effort to visualize the eternal proportional perfection. In classicism, forms were perfectly embodied with systematic inevitability and absolute inflexibility, by which an extremely clear aspect appeared. This study analyzes a classical construction paradigm in modern fashion according to the five categories: 'Harmony and order by numerical proportion', 'Clear form', 'Simplification of form and two-dimensional Seh-form', 'Completed contracture structure', and 'Pluralistic unification', and the respective formativ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formative aspect of modern fashion,'Harmony and order by numerical proportion' results from thorough observance of extreme and golden section (proportion of 5 :8) which was an aesthetic standard of beautiful body in classicism. Second, 'Clear form' appears in clothes as individual clearness of structural elements expressing each part of body, and shows a well-established form possible to be grasped with equal and clear contour line. Third,'Simplification of form and two-dimensional Seh-form' comes out as form composition, single line, single layer structure, two-dimensional form and arrangement of elements of clothes through the front viewpoint caused by 2D diagramming work while fashion-designing and producing. Also, it is seen that two-dimensional proportion which is composed of sections through various harmonious lines and sides according to the simple two-dimensional compatibility principle is accomplished. Fourth, 'Completed contracture structure' emerges as an expression of stationariness, in other words, fixation of an overall impression. This is a tendency that the overall form is grasped as a fixedly intact shape without a big change of the silhouette of clothes. Fifth, 'Pluralistic unification' means that it respectively emphasizes all the parts composing clothes by making them individually independent at the same time as each element is inclusively shown with the harmony of the overall silhouette of clothes and many other details. This study examined classical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a theoretical research on a formative paradigm revealing the classical style. Also, the significance of classical or rational value of art was illuminated by observing what characteristics a classical formation paradigm shows in modern fashion. As a result, classical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prove that classicism is not a merely past construction style separated from the present but a construction paradigm deeply involved in our reason system.

  • PDF

Conventional한 방식과 CAD/CAM System을 이용한 완전 무치악 환자 동시 수복 증례 (The treatment of an edentulous patient with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and CAD/CAM complete denture)

  • 조성윤;이준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42-49
    • /
    • 2020
  • 무치악 환자에게서 의치의 제작은 통상적이고 전통적인 방법을 따를 경우 최종 의치 장착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이로 인한 환자의 잦은 내원이 불가피하다. 또한 기공 과정 상에서 나타나는 중합수축에 의한 오차나, 의치의 파절이나 분실 시 빠른 재제작의 어려움 등의 단점이 존재하였다. 하지만 최근 치과 분야에서 computer-aided design and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이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의치 제작에까지 그 영역을 넓히기 시작하였다.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의치를 제작하면 첫 번째 내원 시에 인상채득과 악간관계의 기록, 인공치의 선택 등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두 번째 내원 시 의치의 장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내원 횟수와 진료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3D-Printing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중합수축에 의한 기공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CAD/CAM System을 사용한 의치로는 DENTCA CAD/CAM denture (DENTCA Inc., Los Angeles, CA, USA)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서 conventional 한 방법과 DENTCA CAD/CAM Denture System을 사용하는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여 두 쌍의 총의치로 수복함으로써 발음, 저작, 연하 등의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측면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의 삼킴 및 의사소통능력 선별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Test Items of Swallowing & Communication Screening Protocols for Patients with Head and Neck Burns)

  • 김정완;이효진;이현정
    • 재활복지
    • /
    • 제21권2호
    • /
    • pp.217-231
    • /
    • 2017
  •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 공급을 위해 일차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요소는 삼킴기능의 평가와 재활치료이며, 이와 더불어 타인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심미적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말능력에 대한 자세한 평가와 재활 역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부 몇 경부화상 환자의 삼킴장애 및 말운동장애, 음성 장애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의사소통장애 선별프로토콜의 예비 문항을 정리하는데 있다. 화상으로 초래되는 여러 가지 의사소통장애를 다루고 있는 국외 연구들을 참고하여 '구강기제(oral mechanism)', '호흡/음성(respiration/voice)', '삼킴(swallowing)', '조음(articulation)'을 포함한 총 4개의 평가영역으로 나누고 하위범주와 이에 필요한 문항들을 작성하였고, 전문가 5인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후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내용타당도 범위는 .50~.84로 나타났다. 구강기제 및 조음 평가 영역에 포함된 대부분의 선별평가 문항들이 적절하게 나타난 것과 다르게 호흡/음성 및 삼킴 평가 영역의 경우, 전문가마다 조금씩 다른 의견을 보이기도 하였다.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가 보이는 의사소통장애의 이질적인 특성 상,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선별 프로토콜 항목을 바탕으로, 향후 화상 환자의 유형 및 중증도별 평가를 통해 각 환자에게 맞춘 평가 양식으로 적절히 수정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써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적 해부와 생리에 대한 지식이 있고 이에 적합한 재활훈련이 가능한 언어재활사들이 화상 환자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해 더욱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심미적인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 수복 증례 (Clinical performance of esthetic ceramic partial-coverage restorations with supra-gingival margin using minimally invasive tooth prepa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dhesive dentistry)

  • 홍명식;최유성;이종혁;하승룡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19-332
    • /
    • 2021
  • 심미적인 도재 재료와 레진 시멘트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임상에서 금속도재관에서 전부도재관으로의 전환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재 수복물 제작 시 그에 적합한 형태와 기술을 이용하여야 그 장점을 최대화할 수 있다. 최근 법랑질을 최대한 보존하고 접착 효율을 높이는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하여 치은 연상 변연을 가진 심미적인 도재 부분피 개관 수복방법이 소개되었는데, 이를 통해 치질 삭제의 최소화, 시멘트 제거의 용이성 등 여러 장점들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된다. 또한 이 제작법은 치은 압배사의 삽입이 불필요하여 치은 압배사 삽입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환자의 불편감도 감소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치은 열구액이나 혈액의 개입 없이 명확하게 변연을 채득할 수 있어 더 정확한 수복물 제작이 가능하다고 보고된다. 본 증례에서는 각각 해당 치아 부위에 부분적인 결함이 있는 환자에서 통상적인 전부피개관이 아닌 접착치의학 개념에 따른 최소 침습적 치아 삭제법을 적용한 치은 연상 변연 도재 부분피개관으로 다양한 제작 방법을 활용하여 수복함으로써 불필요한 치아 삭제를 방지하고 잔존 치질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었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디지털 방식을 활용한 양악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rehabilitation utilizing digital process: A case report)

  • 안유진;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13-319
    • /
    • 2022
  • 총의치는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치료방법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총의치의 제작과정은 예비인상 채득, 최종 인상 채득, 악간관계 채득, 납의치 시적, 의치 장착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러 번의 내원 과정과 복잡한 기공 과정이 필요하며, 각 단계별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총의치 치료과정에도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CAD를 이용해 더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며 기공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물론 환자의 내원 횟수도 줄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방식을 활용하여 환자의 기존 의치의 전치 배열을 최종 의치로 이행하였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시적 의치를 제작하여 환자에게 시적하여 구순 지지도와 전치부 배열을 포함한 심미성 및 구강내 유지력을 평가 후 최종 의치 제작하였다.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활용하여 내원 횟수를 줄이는 동시에, 만족할 만한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얻었으며 심미적인 회복을 이루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왕실 머리장식을 응용한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Hair Accessory Designs Using Royal Hair Ornaments)

  • 유진영;김지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83-90
    • /
    • 2023
  • 최근 젊은 세대의 전통 복식 체험이나, 퓨전 한복의 일상복화 등의 추세에 따라 한복용 헤어 액세서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왕실 여성의 머리 장식을 활용하여 한복과 어울리는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을 개발하여 한복 문화를 활용한 패션 콘텐츠 개발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전통 문화의 다양한 경험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서 전통 머리모양 및 영왕비의 전통 장신구들을 조사하였고, 실증연구로 실물을 제작하였다. 제작과정은 먼저 전통 머리모양을 응용하여 나일론 메쉬로 기본 형태를 만들었고, 그 위에 장엄하고 화려한 왕실 유물을 활용한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원단을 접목하여 궁극적으로 전통 장신구를 착용한 듯한 트롱프뢰유 기법을 줄 수 있도록 디자인을 설계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6개의 헤어 액세서리 디자인이 완성되었으며, 헤어 밴드, 헤어 핀, 헤어 고무밴드의 구조로 제작하였다. 또한 착용자의 헤어 스타일에 관계 없이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일론 메쉬 소재의 특유의 빳빳하면서 유연한 재질을 이용하여 볼륨감 있는 머리 모양을 효과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이는 마치 머리카락과도 같은 시각적인 착시 효과를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일상의 유희와 희소성 있는 가치를 추구하는 대중들에게도 독특한 미적, 문화적 경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