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bulbil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의 항응고 및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Anti-coagulation and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Ethanol Extract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alata L.)

  • 전수경;최소영;임경란;이종필;박준홍;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3-159
    • /
    • 2024
  • 열대마로 알려진 Dioscorea alata L.는 전 세계 650여종의 마 중에서도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으며, 적도, 아적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하고 있다. 실제 중국과 인도에서는 주요 식용자원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기존의 단마 및 장마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확량을 나타내는 열대마 재배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대마에 높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열대마의 주아(영여자)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단마 및 열대마 영여자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여, 단마 영여자와 비교하여 열대마 영여자의 영양특성 및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열대마 영여자는 특유의 황색과 함께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단마 영여자와는 달리,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1.25 mg/ml 농도에서 아스피린보다 우수한 트롬빈, 프로트롬빈 및 혈액응고인자 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응고 활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도 우수하였다. 또한 열대마 영여자 추출물은 2.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용혈활성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열대마 영여자가 새로운 항혈전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영여자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 안선미;장한수;권인숙;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66-272
    • /
    • 2009
  • 영여자는 마의 주아를 말하며, 년간 생마 생산량 5,000 톤의 절반인 2,500 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영여자는 다음해 마의 종자로 일부 이용될 뿐 대부분이 폐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가능성을 검토하고 생마에서 보고된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영여자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로부터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의 다양한 유기용매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각각의 항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영여자 메탄올 추출물은 마의 그것과 유사하게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었으나 총 폴리페놀 및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각각 12배, 3.4배 높았다. 항균 활성의 경우, 헥산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항세균 활성이 나타나 전반적으로 마와 유사하였으나, 부가적으로 S. aureus에 강한 생육저해를 나타내어 마와 차별되었다. 항혈전 활성의 경우, 헥센 분획물이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어 4.8 mg/mL 농도에서 300초 이상, 2.4 mg/mL 농도에서 67초의 트롬빈 타임을 나타내어 마의 경우와 비교할 때 4배 이상의 강력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올 추출물 및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 매우 우수한 DPPH 소거능($IC_{50}=38.1{\mu}g/mL$), SOD 유사활성(vitamin C의 36%) 및 환원력(BHT의 59.4%)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영여자의 새로운 생물소재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영여자가 마의 지하괴근이 가진 항세균,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과 거의 동등한, 또는 보다 우수한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재배마 (Dioscorea batatas Decne)의 주아로부터 분리된 phenanthrene 유도체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Phenanthrene Derivatives from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ne)

  • 금은주;박상조;이봉호;김종식;손건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47-652
    • /
    • 2006
  • 마속 식물들은 오래 전부터 다양한 민간처방에 사용되어 왔으며, 재배마의 근경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이 보고되어,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재배마의 주아는 매년 2,000톤 이상 생산되고 있으나, 다음해의 종자로 일부 이용될 뿐 거의 폐기되고 있으며, 생리활성에 대한 보고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의 주아로부터 3종의 phenanthrene 및 2종의 phenanthraquinone를 분리하였으며, 이들의 구조를 규명하였다. 이들 중 6-hydroxy-2,7-dimethoxy-1,4-phenanthraquinone은 처음으로 분리 되었다. 분리된 5종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평가한 결과, 6,7-dihydroxy-2,4-dimethoxyphenanthrene은 Candida albicans에 대해 $25\;{\mu}g/ml$의 MIC와 MFC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균활성으로 실제적 사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는 phenanthrene 링 구조의 -OH 및 $-OCH_3$ 수식이 항균활성 및 항균 스펙트럼 결정의 중요한 인자임을 제시하였다.

원지와 영여자로부터 분리한 8종 화합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he Roots of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the Aerial Bulbils of Dioscorea batatas Decene)

  • 진휘승;손락호;이용화;함아름;마응천;김원기;남궁우
    • 약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06-111
    • /
    • 2010
  • The chemical structures of eight compounds purified from two plants (Polygala tenuifolia Willdenow and Dioscorea batatas Decene) were determined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ree microbial strain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was tested. The three micro organisms were cultured in 96-well plates or Petri dishes without (control) or with the eight compounds added at concentrations of 100 to 0.01 ${\mu}M$ (wt/vol).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medium was examined after a 24-h incubation. The inhibitory effect of each compound on the growth of the microorganisms was calculated from the optical density measured at 595 nm, turbidity, and size of the inhibition zone around the treated paper disc. The minimum inhiitory concentration (MIC) of compounds 4 to 7 against S. aureus was 0.08, 0.05, 1.3 and 0.02 ${\mu}M$, respectively, and 0.09, 0.1, 0.2 and 100 ${\mu}M$ against C. albicans. The $IC_{50}$ (50% inhibition) values of compounds 5 and 6 were 3.1 and 6.4 ${\mu}M$ against S. aureus, respectively, and 10 and 2.4 ${\mu}M$ against C. albicans. Therefore, compounds 4 to 6 were the most potent anti-microbial agents among the eight compounds t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