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zemen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Xibo4u: 개인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Xibo4u: Digital Signage for Personalized Advertisement)

  • 이우건;김남일;윤은민;진재환;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59-1367
    • /
    • 2015
  •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업공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Xibo4u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Xibo4u는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Xibo4u 서버와 개인 관심분야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광고를 보여주는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고객이 관심분야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성되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Xibo를 확장하여 개발되었다.

여자 기성복 매장의 패션 판매종사자의 실태와 역할인식 (The Actual Condition and Role Recognition of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in Women's Ready-to-Wear Shop)

  • 구양숙;이정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3-53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and analyze their different role recognition in women's Ready-To-Wear shop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78 fashion sales related persons in department stores and individual shop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rosstabs, $X^2$, t-test, Scheffe's test and ANOVA by using of SPSS P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role of fashion salespersons, managers participated highly in the merchandise buying plan, actual merchandise buying and advertisement, and shopmasters participated in the management of salespersons and keeping good relation with customers and display.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hopmasters in sales promotion. Shops with shopmasters had regular sales and filed up customer cards. 3. Shopmasters and salespersons attached importance to fashion information, market information, sales result information, and managers attached importance to customer information, enterprise environment information in utilizing of informations. Managers considered customer survey very important but shopmasters and salespersons did not. Shopmasters, managers, and salespersons all attached importance to customers' preference survey as customers' information source.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style survey, buying method survey, preference survey, street fashion survey, brand identity survey and advertizement effect survey of customers by the different roles of fashion salespersons.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merchandise knowledge, service and after service in sales service recognition by the different roles of fashion salespersons.

  • PDF

우유수급예측(牛乳需給豫測)과 소비자(消費者)의 우유구매태도(牛乳購買態度) (Demand and Supply Forecast of Milk and the Consumer's Attitude for Milk Purchase)

  • 박종수;나중희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71-83
    • /
    • 198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to forecast the demand and supply of milk in Korea, and to obtain information for attitudes affecting milk consumption, which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r increasing milk consumption in Korea. The estimation of the milk demand and production was made by the multiplicative decomposition method and the statistical function. Data on consumer were collected from 737 students who were attending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in Daejeon during the period of July 11 to July 21, 1988.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predi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ion for milk will over supply 21,900 tons in 1,990, 70,800 tons in 1,995 by the multiplicative decomposition method and 45,400 tons in 1990, -51,500 tons in 1995 by the statistical function. 2.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the students awared milk as essential food-stuff of common food stuff for the Koreans. 3. Quite a few students were apt to believe that milk processors added water into fluid milk. 4. Most students showed ob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nutritional value of milk by school education and advertising of TV, Radio, and Printed media. 5.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advertising by TV, Radio, and Printed media did hardly give to consumers influences on the choice of a particular milk brand. Accordingl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Need to provide consumers with well planned education programs on the nutritional value of milk. 2. Heavy brand advertising for fluid milk may mislead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 since city milk is not much differentiated in Korea. Therefore the milk processors should put more efforts in generic milk promotion by reducing brand advertizement. 3. The milk processors should provide major portion of financing for generic milk promotion program.

  • PDF

SNS(Facebook) 서비스 분석을 통한 지역광고 어플(App)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l advertising application(App) through SNS service analysis)

  • 조영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325-334
    • /
    • 2015
  • 본 논문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연계된 지역광고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Facebook Page을 분석하여 지역광고에 활용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FaceBook Page 분석을 위해 2014년 7월부터 3개의 FaceBook Page(홍대앞, 강원대앞, 춘천뭐먹지?)를 직접 운영하였다. 각 Facebook Page들의 활동 결과에 대한 정량적인 결과 값들을 분석하였고, 또한, 각 Page의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NodeXL을 이용하였다. Facebook Page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SNS와 연계된 지역광고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향후 계속적인 연구와 실증을 위해, SNS와 연계된 실시간 지역광고 어플(App)을 설계하였고, Java 기반의 Android App과 php 기반의 Server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향후, Facebook Page와 개발된 App의 운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지역광고 방법에 대하여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섹스어필 광고의 효과 (Effect of Sex Appeal Advertising)

  • 임현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58-166
    • /
    • 2007
  • 섹스어필 광고의 시각이미지가 어떻게 의미 작용되어 소비자에게 인지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패션광고에 나타난 섹스어필 광고의 시각적 표현 형태에 따른 광고효과와 반응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섹스어필 광고의 표현형태를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에로티시즘과 포르노그래피의 소구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었고, 표현유형에 따라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었지만 소구유형과 표현유형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작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에로티시즘 광고 전략의 사용에 있어 흑백보다는 칼라의 시각적 표현효과가 높고, 브랜드 효과를 위해서는 예술적 감각의 에로티시즘 전략이 필요하고,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노골적인 포르노그래피 표현이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Business Utilization Schemes in Small and Medium Companies)

  • 이종민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1호
    • /
    • pp.1-17
    • /
    • 2005
  • 전자상거래가 경제활동의 새로운 장으로 부각됨에 따라 이의 활용이 기업의 중요한 현안으로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취약한 국내 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현재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 e-비즈니스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PC, 인터넷 보급 등 기본적인 인프라는 만족한 수준이지만, 이들은 주로 사무자동화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화 활용 수준에 그치고 있었다. 전자상거래 시스템 도입 등 본격적인 정보시스템 활용이 부진한 이유로는 중소기업의 정보화 인력, 기술, 자금 부족이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때 패키지 소프트웨어나 웹 호스팅 서비스의 보급에 의한 정보화 지원이 가장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정책적인 차원에서의 웹 기반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의 개발 및 보급과 자금지원, 교육, 자문을 구체적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정보화 투자대비 효익에 대한 기업의 우려에 대해 우수사례 발굴과 홍보, BSC(Balanced Scorecard)를 통한 경영성과 측정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기반으로 효율성이 높은 분야에 대한 집중적 지원이 요구된다.

  • PDF

신나는 과학 놀이 마당 평가 연구 (Evaluation of an Activity-Oriented Extracurricular Science Fair)

  • 서혜애;전영석;현종오;류성철;한재영;최원호;김현빈;조수민;임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73-486
    • /
    • 2001
  • 본 연구는 과학 실험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된 학교 외 과학 행사를 명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1998년도 '신나는 과학 놀이마당'에 참석한 857명 중 무작위로 표집한 121명의 초 중등 학생과 행사계획 및 진행을 담당한 72명의 지도 학생과 19명의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관찰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1) 행사목표의 달성수준, 2) 행사 구성/운영의 적합성, 3) 행사 진행과정의 효율성, 4) 행사의 사전 안내 및 참석 학생과 지도학생의 참석동기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참가학생, 지도학생, 지도교사는 프로그램의 전반에 걸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평가 결과에 따른 프로그램의 개선점은 참가학생들이 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과학 활동을 제공하고, 탐구력을 더욱 강조하는 활동과 일상생활과 관련되는 과학 내용을 더 많이 포함하도록 계획되어야 하는 점이다. 또한, 행사에 대한 사전 안내 및 광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추진하여야 하며, 지도학생들의 참가학생에 대한 효율적인 학습-교수 전략을 개발하고, 지도교사-지도학생간의 상호협력도 향상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중학생의 식품 구매 행동 실태 (A Survey on Food Purchasing Behavior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오미란;이혜숙;나현주;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73-192
    • /
    • 200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성장과 성숙 그리고 건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식품 구매 행동에 주목하고,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품 선택 및 구매를 위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될 자료를 마련하고자 중학생 253명을 대상으로 식품 구매 행동을 파악하고, 식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사항, 식품 구매에 미치는 광고, 친구와 부모님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학생들은 식품 관련 정보를 광고와 같은 대중매체를 통해 얻고 있었으며, 용돈에서 식품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sim}30%$가 가장 많았다. 중학생들은 평균 $2{\sim}3$일에 1회 정도 배고픔이나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하교 후에 집 근처 가네 또는 편의점에서 주로 과자류와 빙과류를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어머니의 학력, 가정의 경제수준, 용돈 금액, 용돈 수령 주기, 용돈 사용 내역 기록 실태, 학교 소재 지역에 따라 식품 구매 행동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났다.(p<.05, p<.01, p<.001). 셋째, 중학생들은 식품을 구매할 때 가격(용량)이나 맛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식품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사항들은 성별, 부모의 학력, 그리고 용돈 액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p<.05, p<.01, p<.001). 다섯째, 광고, 친구, 그리고 부모님이 중학생의 식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중학생들은 식품 광고를 보면 구매 의욕이 생기고 같은 종류의 식품이라면 광고된 식품을 선택하고 스스로의 선택에 비교적 만족하는 편이지만 식품 광고의 내용을 전적으로 신뢰하거나 광고된 식품의 품질이 더욱 우수하고 생각하고 있지는 알았다. 여섯째, 성별, 어머니의 직업, 가정의 경제 수준, 그리고 용돈 액수에 따라 식품을 구매 할 때 광고, 친구, 부모님이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p<.05, p<.01, p<.001). 이상의 인구 결과로 볼 때, 식품을 구매할 때 가격(용량)과 맛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주로 광고나 친구에 영향을 받는 청소년의 식품 구매 행동은 청소년의 성장, 성숙 및 건강에 지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식품에 대한 올바른 지식의 습득을 토대로 건강 지향적인 합리적인 식품 선택 및 구매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