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ing effectivenes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2초

소셜 미디어 사용자가 제작한 광고 효과: 정보형과 오락형 동영상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video advertisements Generated by social media users: Centered on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Video Comparison)

  • 장녕;추장운;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28-639
    • /
    • 2022
  • Starting from the content types of video advertisements produced by social media users,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video advertising effects of the same product, to help video producers achieve better advertising effects when facing different produc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n Garment, the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in terms of advertising cognition. In terms of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enter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 in food, the enter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 in terms of advertising cognition,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household items, the enter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 in terms of advertising 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in terms of advertising attitude, the enter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information; in cosmetics, the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of entertainment in terms of advertising cognition; in terms of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e entertain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information; in digital accessories, the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entertainment in terms of advertising cognition, advertising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Moderated Mediation of Anticipatory Hope between Green Fashion Advertising Appeals and Word of Mouth -The Role of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 Choi, Dooyoung;Lee, Ha Ky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513-529
    • /
    • 2022
  • Based on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green performance appeals (i.e., before-, after-, and before/after-appeals) on consumer word of mouth (WOM) mediated by anticipatory hope. As the degree of consumer susceptibility to advertising varies by individual, individual perceived consumer effectiveness (PCE) was examined as a moderated mediating variable. A total of 191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for analysis of variance and PROCESS procedure. Results showed the mediating role of anticipatory hope between advertising appeals and WOM: participants reported greater anticipatory hope when they viewed the advertisement with after- and before/after-appeals. This mediation was moderated by participants' PCE. The effect of green performance appeals on WOM was mediated by participants' anticipatory hope when their PCE was low; however, when participants' PCE was high, the mediation was not significant. Th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 appeals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green performance can attract consumers who do not believe that product consumption affects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spread WOM. This research provides insights to fashion brands by suggesting effective green advertising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consumers' voluntary information-sharing behavior.

광고유형 및 성별에 따른 광고효과와 정서반응 패턴: 스토리텔링, 이미지, 정보전달 광고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advertising type and gender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efficacy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정은경;최지은;손영우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89-502
    • /
    • 2012
  • 스토리텔링 광고는 현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스토리텔링 광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기존 몇몇 활자형태의 내러티브 광고에 대한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광고가 정보전달 광고보다 효과적임을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상업용으로 제작된 광고들을 사용하여 스토리텔링 광고가 다른 광고 유형(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품유형과 브랜드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같은 제품에 대해 스토리텔링 광고, 정보전달 광고, 이미지 광고 모두가 제작되어 있는 광고를 탐색하였으며 최종 9개의 광고가 선정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광고효과, 광고후 감정, 각성정도, SAM이 측정되었다. 예비분석을 통해 광고후 감정은 크게 정서적 감정과 인지적 감정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를 대상으로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 광고효과, 각성수준, 정서적 감정 모두에서 스토리텔링 광고와 정보전달 광고가 이미지 광고에 비해 높은 점수를 얻었다. 스토리텔링 광고는 정보전달 광고에 비해 평균은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성별의 주효과는 각성수준에서 경향성만이 관찰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각성수준을 보였다. 광고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은 정서적 감정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에서 관찰되었으며, 전반적으로 스토리텔링 광고에서는 남성이, 이미지 광고에서는 여성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PDF

NFC광고에 대한 극장 관객의 지각된 즐거움, 혁신성이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FC Advertising in Cinema Environment)

  • 심성욱;변혜민;김운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81-690
    • /
    • 2017
  • 국내 극장광고에서 활용되는 NFC 광고 전략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상호작용성 구성요소들 중 통제성을 제외한 개인화, 참여성이 광고 수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FC 광고 가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NFC에 대한 지각된 즐거움, NFC 광고의 혁신성은 광고 수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NFC 광고 수용에는 상호작용성이 먼저, 그 다음 광고가치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게임 브랜디드 광고의 맥락일치성, 지각된 광고침입성, 광고오락성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국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ntext Congruity,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Entertainment on Advertising Effect of Branded Advertisement for Mobile Games: Focusing on Chinese Users)

  • 배신양;장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78-489
    • /
    • 2021
  • 현재 모바일 게임 산업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최근 모바일 게임 중 광고는 기존 광고와 달리 브랜디드 광고를 지향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게임 환경 하에 브랜디드 광고 속성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맥락일치성, 지각된 광고침입성, 오락성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국 모바일 게임 10~20대 이용자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PLS-SEM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맥락일치성, 오락성이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태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각된 광고침입성은 광고태도와 브랜드태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광고태도는 브랜드태도를 거쳐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게임 브랜디드 광고의 효과를 논의하고 효과적인 브랜디드 광고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쇄매체광고의 패러디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Parody Effect on Print Ad.)

  • 김규철;조경섭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231-242
    • /
    • 2002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광고매체로서 뉴미디어가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고, 방송매체 시장 성장률이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 인쇄매체 광고시장 성장률은 둔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효율적인 광고제작기법을 통해 인쇄매체광고의 활성화에 일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더니즘 기법의 하나인 패러디 광고를 인쇄매체에 활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광고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인쇄매체광고의 패러디 효과를 실증적으로 측정해 보기 위해 기존에 안정적인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는 최초상기도, 광고신뢰도,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 변수에 대해 패러디광고와 패러디 되지 않은 광고간에 나타나는 광고효과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다양한 장르의 패러디에서 패러디 되지 않은 광고에 비해 보다 높은 광고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인쇄매체광고에서 효율적인 패러디의 도입을 통해 보다 높은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인터넷광고의 표현전략 -제품유형을 중심으로- (Expression Strategy of Internet Advertising -Focused on Product Types-)

  • 류철호;박승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44-5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광고 16개 유형을 대상으로 제품별 표현방법, 표현효과 및 태도 등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표현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인터넷광고의 유형, 개념 및 특성을 확인하였고, 인터넷광고의 태도 및 표현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베너광고, 스폰서쉽광고, 삽입광고, 팝업광고 등을 띠광고, 도움광고, 틈새광고, 튐광고 등의 한글로 제안 하였다. 연구결과 제품 및 서비스 유형에 따라 공통적인 표현전략이 존재하기 때문에 유형별로 표현방법을 범주화시킬 필요가 있다. 형태, 위치, 크기, 표현, 관점, 구성, 시간요소, 판매지향점, 소구점 요인에서는 상호 유사한 표현방법을 구사하고, 카피 요인 및 소구에서는 유형별로 각기 다르게 표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은 인터넷광고의 표현전략 중 소구를 할 때 자신의 업종에 대한 이미지를 강하게 심어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고 유형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하여야 할 것이다.

중국시청자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 지각 (Relevant perceptual features on advertising and indirect advertising effectiveness factors of Chinese viewers)

  • 유승엽;강현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71-279
    • /
    • 2012
  • 본 연구는 중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간접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시청자에 대한 광고기능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인식 관계성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국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접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7개로 나타났다. 즉, 연예인관여도, 노골적묘사, 협찬사신뢰성, 브랜드차별성, 윤리성 및 정보제공 요인이다. 둘째, 중국 시청자들의 광고기능에 대한 지각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시청자들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지각에서 연예인관여도와 브랜드차별, 노골적묘사 및 윤리성 요인이 광고기능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간접광고제작 실무자에게 중요한 신념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뿐아니라 중국진출에 관심 있는 한국대행사의 간접광고제작 전략마련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매체 속성 평가에 따른 매체가치 비교 연구: 매체 광고 영향력 지수(MAIX: Media Advertising Impact Index)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f Perception of Media Characteristics: Focused on Developing MAIX(Media Advertising Impact Index) model)

  • 이희준;조창환
    • 광고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113-139
    • /
    • 2016
  •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미디어 믹스 관련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기존의 정량적 효용성이라는 하나의 잣대를 서로 상이한 매체에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매체 전략이 아닌, 매체별가치 인식에 바탕을 둔 정성적 비교 평가에 의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학계 및 업계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주요 광고 매체의 가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 분석의 대상이 된 매체는 TV, 라디오, 신문, 잡지, 인터넷, 모바일, 옥외매체, 디지털 사이니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광고 매체가 지닌 영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지표는 매체에 대한 몰입의 가능성, 수용자 도달률, 행동 타겟팅 가능성으로 조사됐다. 둘째, 인터넷은 매체별 속성 평가가 반영되어 합산된 매체 광고 영향력 지수(MAIX)에 의거할 때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매체로 인식됐다. 셋째, 전문가들의 매체별 영향력 평가는 평가 지표별로 상이하였는데, 일례로 TV는 수용자 도달률과 몰입 가능성이 높은 매체인 반면에, 행동 타겟팅에 보다 적합한 매체는 모바일 및 인터넷이었다. 본 연구는 차별화된 매체 속성 인식에 대한 파악을 통해 매체별 경쟁력을 부여하는 미디어 믹스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 모델의 사회적 특성 지각과 광고 효과성 (Effects of ad endorser's gaze directions on social perception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 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3-14
    • /
    • 2015
  •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