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1.478

The Impact of Context Congruity,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Entertainment on Advertising Effect of Branded Advertisement for Mobile Games: Focusing on Chinese Users  

Pei, ChenYang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Chang, Byeng-Hee (성균관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mobile game industry is currently on the rise and is one of the major industries. Recently, advertisements among mobile games are aimed at branded content, unlike existing advertising content. In this study, we conduct a study on the advertisement effectiveness of the attributes of branded advertisements under a mobile game environment. Therefore, the impact of context congruity,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and entertainment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ing intention was verifi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on Chinese mobile game users in the 10s and 20s. Analysis of the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context congruity and 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attitude, bu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rand attitude.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advertising attitude and brand attitude. Finally, advertis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brand attitude. Through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mobile game branded advertisement and present effective brand advertising strategies.
Keywords
Branded Advertisement; Context Congruity;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Entertainment; Advertisement Effectivenes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기민, 미디어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요소가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천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 D. W. Schumann and E. Thorson, "The Influence of Viewing Context on Commerial Effectiveness: A selection-Processing Model,"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12, No.1, pp.1-24, 1990.
3 허종호, 나준희, 김경민, "게임 속 브랜드 배치 시 브랜드와 게임 맥락간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성인과 아동의 효과차이를 중심으로," 광고과학연구, 제16권, 제3호, pp.33-53, 2005.
4 전성률, 허종호, 문달주, "컴퓨터 게임 속 브랜드 배치효과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제15권, 제2호, pp.67-83, 2004.
5 신일기, 최수형, 신현신, "모바일 광고의 상호작용 구성요인이 모바일 광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 : 몰입과 침입성을 매개변인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33권, pp.299-308, 2011.
6 R. H. Ducoffe, "How Consumers Assess the Value of Advertising," J. of Current Issues & Research in Advertising, Vol.17, No.1, pp.1-18, 1995.   DOI
7 N. R. Lee and P. Kotler, Social marketing: Influencing behaviors for good (4th ed), CA: Sage, 2011.
8 정창모, 이한근, 김영찬, 박흥수, "모바일 리치미디어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고학연구, 제25권, 제4호, pp.55-75, 2014.
9 Scott B. Mackenzie, Richard J. Lutz, and George E. Belch, "The Role of Attitude Toward the Ad as a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ions," J. of Marketing Research, Vol.23, No.2, p.131, 1986.
10 김혜주, 정재희, "보상형 광고에 있어서 상호작용을 통한 정보성과 오락성이 이용자 태도와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3호, pp.133-144, 2020.   DOI
11 https://www.kocca.kr/cop/bbs/list/B0000147.do?menuNo=201825
12 서현석, 윤성오, 나운규, "기업브랜드 동일시와 개별 브랜드 동일시가 소비자의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전략마케팅학회, 마케팅논집, 제15집, 제1권, pp.97-133, 2007.
13 정지영, 김이태, "항공사 이상적광고의 소비자 반응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5권, 제2호, pp.257-272, 2016.
14 R. J. Lavidge and G. A. Steiner, "A Model for Predictive Measurements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J. of Marketing, Vol.25, No.6, pp.59-62, 1961.   DOI
15 김민지, 브랜디드 콘텐츠 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16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830&pDataCD=0406000000
17 https://www.cifnews.com/article/96401
18 https://games.sina.com.cn/t/n/2020-12-23/iznezxs8574720.shtml
19 장수영, 페이스북의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효과,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0 https://www.kocca.kr/cop/bbs/list/B0158950.do?menuNo=203781
21 Horrigan and David, "Branded Content: A new Model for driving Tourism via Filmand Branding Strategies," J. of Tourism, Vol.4, No.3, pp.51-65, 2009.
22 김종민, "브랜디드 콘텐츠의 커뮤니케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유형구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296-304, 2020.
23 P. N. Shamdasani, A. Stananland, and J. Tan, "Location, location, location: Insight for advertising Placement on the Web," J. of Advertising, Vol.41, No.4, pp.7-21, 2001.
24 윤철호, 김상훈, "R을 이용한 PLS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튜토리얼 : 예시 연구모형 및 데이터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16권, 제3호, pp.89-112, 2014.   DOI
25 https://sensortower-china.com
26 양영종, "인터넷광고의 복잡성과 집중도에 따른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계층효과(Hierarchy-of-Effects)," 광고연구, 제60호, pp.107-129, 2003.
27 주일영, 전종우, "노스탤지어(nostalgia) 광고에 있어 자아연속성,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의 위계적 관계," 광고학연구, 제26권, 제5호, pp.151-168, 2015.
28 하지영, 정만수, 한규훈, "모바일 동영상 시청 환경에서의 광고효과 : 광고침입성과 맥락일치성의 영향 분석을 바탕으로," 광고연구, 제127호, pp.45-78, 2020.
29 김정현, 박병희, 이명천, 최양호, "인터넷 광고 유형에 따른 침입성 지각 수준 및 광고/제품에 대한 태도 연구," 광고연구, 제84호, pp.5-28, 2010.
30 이은경,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와 인앱광고 간의 맥락일치성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1 김운한, "바이럴 동영상 광고의 부조리 속성과 오락성이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117호, pp.148-181, 2018.
32 S. Hudson and D. Hudson, "Branded Entertainment: A New Advertising Technique or Product Placement in Disguise?," J. of Marketing Management, Vol.22, No.5-6, pp.489-504, 2006.   DOI
33 Li Ye, 제품 관여도에 따라 한류스타 광고모델 속성이 중국 소비자의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34 김유정, 강경호,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의 결론유형과 제품관여도의 상호작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3호, pp.95-104,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