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ministrative services

검색결과 492건 처리시간 0.025초

의료서비스조직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 갈등, 조직 지원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and Organizational Suppor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 하은정;권수진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Data were collected from 149 married working women of health services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areas by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the following: First, based on the type of work-household conflicts, namely time-based conflict(2.82 points), strain-based conflict(2.81 points) and behavior-based conflict(2.69 points), working women mainly experienced time and strain-based conflicts. The level of work-household conflict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younger groups, highly educated, nurses, and regular workers.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nd to be an above-average. Especially scores were high in the subcategories of customer orientation(3.84), follow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3.42) and job satisfaction(3.19).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older groups, medical technician and administrative job holders, day-time workers, and higher income groups. Thir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s of work-househol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strain-based conflicts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organizational support found to have a strong controlling effect for strain-based confli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bove results imply that practical family-supportive policies for lessening the work-household conflicts is crucial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ealth services organization.

  • PDF

공공행정서비스의 맞춤화 구현방안 연구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Personaliz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ervices)

  • 김상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57-67
    • /
    • 2016
  • 인터넷의 사회화가 심화됨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도 '정부3.0'을 기치로 맞춤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정부의 공공서비스는 크게 데이터서비스와 행정서비스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는 후자에 초점을 두고 있다. 데이터의 경우 플랫폼서비스로 가능하지만, 행정의 경우는 맞춤의 정수인 개인화 서비스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행정의 맞춤서비스라는 개념이 모호하여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맞춤'에 대한 개념적 고찰에 근거하여 서비스의 수요자 지향성(Degree of Citizen-Oriented)과 공급자 주도성(Degree of Government-Driven) 등 두 가지 기준으로 행정서비스 분류 틀을 개발하고 각 분면별 특성과 구현요건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행정서비스의 개인화 수렴조건을 '3V', 즉 연계성 (Versatile), 선택성(Variety), 신속성(Velocity) 등 세 가지로 제시하고 분류 틀의 서비스 유형별 개인화 수렴조건이 어떻게 충족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과 개념적 사례,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COVID-19 발현 이후 병원간 이송 시 민간 이송업체를 통해 응급실로 전원된 환자들의 특성 변화 : 후향적 연구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through private institutions during inter-hospital transport after the COVID-19 outbreak : A retrospective study)

  • 김성주;지재구;장윤덕;이시원;유재광;강지훈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5-134
    • /
    • 2021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pattern of patients who were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through inter-hospital private institutions and to determine how long transport takes following the COVID-19 outbreak. Methods: Thi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alyzed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ports of private institutions following the COVID-19 outbreak in South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in Busan between January 19, 2019 and January 18, 2020, and between January 19, 2020 and January 18, 2021. Results: Upon comparing the patient transport times during the "Pre-COVID-19 period" and "COVID-19 period," a significant delay was noticed in the preparation for transfer of pati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p<.05).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patients with respiratory infections and patients who complained of general symptoms during the "COVID-19 period." Moreover, there was a higher frequency of patients who were transferred to a 'Level I' emergency room during the "COVID-19 period" compared to during the "Pre-COVID-19 period" (p<.05). Conclusion: Following the COVID-19 outbreak, there is a delay in patient transport to the emergency room through private institution inter-hospital transport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complaining of respiratory infection symptoms. Thus, emergency medical services need additional administrative and economic support to transport infected patients.

대학정보 사전공개서비스 운영분석 - 대학정보공시 운영협력대학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Services in the Co-operative Universities for Operating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 구정화;조찬양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9-197
    • /
    • 2018
  • 이 연구는 대학정보 사전공개서비스의 운영 현황을 대학기록물의 관리와 서비스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서비스의 안정적인 정착과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학알리미 사이트와 대학정보공시 운영협력대학 40곳을 대상으로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시된 대학정보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첫째, 사전정보공개서비스를 통해 공시된 정보는 대학의 주요 기능인 연구나 교육에 관한 정보보다 대학행정 정보에 치우쳐 있었다. 둘째, 사전정보공개서비스를 통해 공개된 대학정보는 많은 오류와 잦은 수정으로 인해 신뢰성의 문제가 있었다. 끝으로, 각 대학 홈페이지의 정보공개 메뉴들은 형식적으로 기재되어 운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운영방식의 개선을 제언하였다. 첫째, 공개된 대학정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대학정보 공시방법의 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보완을, 둘째, 대학정보 사전공개서비스와 관련된 기관들간의 상호연계성 확보를 통한 운영의 일원화를, 셋째, 공개된 대학정보에 대한 메타데이터도 함께 공개할 것을, 마지막으로, 대학의 기본 기능에 충실한 정보들이 보유 관리되어 공개될 수 있도록 대학내 기록연구사를 배치할 것을 제언하였다.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A Study on Record Selection Strategy and Procedure in Dataset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 조은희;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19호
    • /
    • pp.251-291
    • /
    • 2009
  • 행정정보시스템은 계속 숫자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어서 시스템이 노후화되거나 새로 개발되는 경우 기록이 손실될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기록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록의 특성과 요건을 만족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기록관리 선진국에서는 정부차원에서 데이터세트 기록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데이터세트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사례도 있고, 보존을 위한 관리체계나 보존포맷에 대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례도 있다. 우리나라도 데이터세트에 대한 기록관리 체제와 개별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 수행되고 있으나 공식적인 관리 체계가 수립되지는 않은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방향성에 기본 하여 전자정부 추진 전략의 틀에서 데이터세트 식별체계의 수립과 기록관리기준의 설정 전략을 제안하였다. 행정정보시스템 기록화를 위한 데이터세트 선별 절차를 (1)기록화 대상 데이터세트 결정, (2)데이터세트 기록 건 식별 단계, (3)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계층 구성 단계로 나누어 정리해보았다. 이 논문은 데이터세트에 대한 보존포맷이나 데이터세트 아카이브 단계에서의 관리절차 등 아카이빙 단계의 문제는 연구내용에 포함하지 않았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응급의료 취약지 분석 (The Analysis of Underserved Emergency Medical Services Areas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황지혜;이진용;박성우;이동우;이보우;나백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7권2호
    • /
    • pp.76-83
    • /
    • 2012
  •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도출하고 그 지역의 보건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응급의료 취약지는 GIS의 비용가중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응급의료센터로부터 30분 이내에 접근이 어려운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응급의료 취약 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은 SPSS 17.0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는 12개의 행정동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지역에 약 8,100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응급의료 취약지여부에 따른 보건학적 특성의 차이를 교차 분석한 결과, 농어임업 인구,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수, 장애인 수, 노인인구의 수가 카이제곱검정에서 유의하였다(p<0.05). 이번 연구를 통해 대전광역시의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GIS 분석 시도로데이터를 적용하여 기존의 Buffer 방식(단순반경거리)보다 더 정확하고 현실적으로 응급의료 취약지를 선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국한되어 시행했기 때문에 향후에는 이 연구에 적용한 GIS 분석 기법과 응급의료 취약지 선정기준 등을 활용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및 제고 방안 (Important-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ing satisfaction in natural heritage docent training programs)

  • 김태형;공달용;임종덕;조운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1호
    • /
    • pp.80-95
    • /
    • 2015
  • 이 연구는 천연기념물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해설사 양성 교육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해 해설사들의 요구에 맞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교육의 질 제고 및 만족도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의 만족도를 구성하는 주요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천연기념물센터의 자연유산 해설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 구성은 '교육과정 및 수업', '해설사 지도', '교육 환경', '행정지원 서비스', '해설사 지원', '해설사 생활' 등 6개 요인 22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분석 결과 6개 영역 22개 문항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 인식(M=4.10, SD=.20)에 비해 만족도(M=3.37, SD=.08)는 낮게 나타났다. 중요도-만족도 분석(ISA)을 통해 집중적으로 개선 노력이 필요한 영역으로 '행정 서비스', '해설사 지원', '교과과정 및 수업'이 도출되었으며, 구체적인 항목으로 '강의 내용(주제)', '수업 진행 방법(교수법)', '직원의 서비스 태도', '해설사에 대한 직원의 관심'이 제시되었다. 이들 결과 및 해설사의 서술형 답변을 중심으로 자연유산 해설사 양성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의료서비스경험조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토: 의료기관 특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Review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dical Service Experience Survey: Focused on the Differences by Type of Medical Institutions)

  • 김희년;최용석;문석준;신정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4-106
    • /
    • 2022
  • Background: The efforts to build more "people centered," "patient centered" health system has been emerging all over the world. Aligning with it, the Korean government is conducing the survey called "Medical Service Experience Survey (MSES)." There are critics, however, that MSES is not scrutinizing the medical experiences of patients in various healthcare settings. For this reason, this study aims to perform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answers of patients responding to various healthcare settings. Methods: There are two steps in this study. First, explanatory analysis is conducted to compare the tendency of statistical concentration on questionnaires by divided healthcare settings. Second, confirmative analysis i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struct validity, reliabil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in each healthcare setting. The raw data of MSES, which was conducted in 2020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and the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s used. Result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or all outpatients, the items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statistically: "doctor experience," "nurse experience," "outpatient service experience," and "patient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of all factors extracted was secured. However, for patients who visited hospitals, questionnaires related to personal privacy, such as "experiences on medical staffs considering physical exposure" or "experienc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were answered in conjunction with items of "nurse experience." Besides, patients responded that administrative elements of medical services, such as "experiences of comfort in medical institutions" and "experiences of satisfactory administrative services," were related to the items of "nurse experience." The answers of patients who visited traditional medical hospitals and clinics about "doctor experience" and "nurse experience" were not discerned statistically, and the answers to "doctor experience," "nurse experience," and "medical institution experience" were entangled with the responses of patients who visited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quiries of MSES generally had intensive validity. Conclusion: The collection of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is the prominent component to enlighten the patient-centered healthcare system alongside with change of the worldwide paradigm of measuring the healthcare system performance as follows the transition of perspective of health care from provider-centered to patient-centered. This study empirically shows that the patient experience can vary as the healthcare settings. Furthermore, to make an advance in measuring the experience of patients with medical services, this article proposes the deliberate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kinds of healthcare settings and articulate design of the survey.

Strengthening Families: The Re-structuring of Family Services in Hong Kong

  • Leung, Joe C.B.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2년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 /
    • pp.3-19
    • /
    • 2002
  • The problems and needs of families in Hong Kong are becoming more complex. Traditional family structures and functions are rapidly eroding. Moreover, family problems are further exacerbated by a growing number of socio-economic issues including rising divorce rates and extra-marital affairs. continuous family reunion migration from Mainland China, emotional and financial cost of caring for the older people and the changing economy which has pushed more families into hardship. In effect, more and more families are becoming vulnerable to risk. Traditional family services in Hong Kong are varied in mode, operation and provision, often overlapping in service boundaries with other family-oriented programs. In many instances, family service centers are stretched far beyond their capacity. As a consequence, they become too reactive, remedial and casework dominated. The University of Hong Kong Consultant Team recommended that family service programs have to protect vulnerable families and strengthen family capacities to promote maximum independence. The direction of family services is summarized as: strengthening families; child-centered, family-focused and community-based. New integrative family service centers aim at attaining the principles of promoting accessibility to users with minimum physical, psychological and administrative barriers; early identification of needs and intervention before the further deterioration of problems; integration of services cutting across program boundaries, and partnership between service providers to achieve efficient and effective use of scarce resources. Under the new model, multi-skilled teams can respond more proactively to a wide range of social needs, rather than addressing needs in isolation.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model, the consultant team has been commissioned by the governmen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se two-year pilot projects. More importantly, a coherent and family-friendly social policy should be formulated to strengthen family capacity against family-related problems.

  • PDF

지방의회 자료수집 및 협력체계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Plan of Data Collection and Cooperation System in Local Council)

  • 곽동철;정현태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9-150
    • /
    • 2013
  • 지방의회 자료실은 지방의회 의원의 민주적 입법 및 의정활동을 지원하여 지역사회의 민주주의와 국리민복에 기여하고 있다. 전국 17개 광역 지방의회의 자료실은 자료수집과 입법정보서비스에서 지역마다 편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의회자료실의 입법정보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첫째, 전국적인 의회자료 간 협력기구의 조직과, 둘째, 의회발간자료의 공유를 위한 협력시스템의 구축, 셋째, 저작권법과 국회도서관법의 관련조항 정비, 넷째, 디지털 방식으로 간행되는 의회자료 중심의 공동 활용, 다섯째, 전국 지방의회 자료실에 대한 국회도서관 입법정보서비스의 지원 확대 등이 필요한 것으로 요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