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ves type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4초

출토 금직물의 강화처리에 관한 연구 (Study of Consolidation of Excavated Fabric with Golden Thread)

  • 홍문경;배순화;이미식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15-1324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consolidation process of the conservation process of fabric with golden thread found in relics. Gold film was glued to pieces of Korean paper and satin using hide glue, which is a natural adhesive and resin Paraloid B-72, which is a liquid type adhesive. This study examines the types and concentration of the adhesives that are appropriate for consolidating gold film on fabric. The advantage of hide glue is that it is harmless to humans and has a high stability. This glue is also believed to be the closest to the adhesive that was used when the relic was originally made. Its weakness is that it is stiff and weaker than chemical glues, but after being washed with water the adhesion level increases. Therefore, hide glue is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instances: a) when washing after consolidation b) when the substrate of gold threads are significantly damaged, and c) when treating greater sized relics that take a longer time to work on. However, Paraloid B-72 has a better adhesion and flexibility than hide glue, but tends to spread out into a greater area, and the area where it is applied tends to absorb less water than before the application. In addition, it is noxious and can be harmful in long-term exposure. Therefore, Paraloid-72 is appropriate in the following instances: a) when consolidating the fabric after washing, and b) when working on smaller relics and consolidating smaller parts of a relic. The necessary concentration levels for consolidants for gold film are 30% for liquid type hide glue and at least 10% for Paraloid B-72 in order for the gold film to stay intact on the fabric during washing, consolidation, exhibition, and conservation.

Influence of the Adhesive, the Adherend and the Overlap on the Single Lap Shear Strength

  • da Silva, Lucas F.M.;Ramos, J.E.;Figueiredo, M.V.;Strohaecker, T.R.
    • 접착 및 계면
    • /
    • 제7권4호
    • /
    • pp.1-9
    • /
    • 2006
  • The single lap joint is the most studied joint in the literature in terms of both theory and practice.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the lap shear strength is a useful value for strength assessment and quality control. Simple design rules exist such as the one present in standard ASTM 1002 or in a recent paper by Adams and Davies. The main factors that have an influence on the lap shear strength are the type of adhesive, i.e. ductile or brittle, the adherend yield strength and the overlap length. The overlap increases the shear strength almost linearly if the adhesive is sufficiently ductile and the adherend does not yield. For substrates that yield, a plateau is reached for a certain value of overlap corresponding to the yielding of the adherend. For intermediate or brittle adhesives, the analysis is more complex and needs further investigation. In order to quantify the influence of the adhesive, the adherend and the overlap on the lap shear strength, the experimental design technique of Taguchi was used. An experimental matrix of 27 tests was designed and each test was repeated three times.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could be assessed as well a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Statview.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n the lap shear strength is the overlap length followed by the type of adherend.

  • PDF

Numerical modeling of the aging effects of RC shear walls strengthened by CFRP plates: A comparison of results from different "code type" models

  • Yeghnem, Redha;Guerroudj, Hicham Zakaria;Amar, Lemya Hanifi Hachemi;Meftah, Sid Ahmed;Benyoucef, Samir;Tounsi, Abdelouahed;Bedia, El Abbas Adda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9권5호
    • /
    • pp.579-588
    • /
    • 2017
  • Creep and shrinkage are the main types of volume change with time in concrete. These changes cause deflection, cracking and stresses that affect durability, serviceability, long-term reli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of civil engineering infrastructure. Although laboratory test may b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deformation properties of concrete, these are time-consuming, often expensive and generally not a practical option. Therefore, relatively simple empirically design code models are relied to predict the creep strain. This paper reviews the accuracy of creep and shrinkage predictions of reinforced concrete (RC) shear walls structures strengthened with carbon fibre reinforced polymer (CFRP) plates, which is characterized by a widthwise varying fibre volume fraction. This review is yielded by three commonly used international "code type" models. The assessed are the: CEB-FIP MC 90 model, ACI 209 model and Bazant & Baweja (B3) model. The time-dependent behavior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ir seismic behavior. In the numerical formulation, the adherents and the adhesives are all modelled as shear wall elements, using the mixed finite element method. Several tests were used to demonstrate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Numerical results from the present analysi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significance of the time-dependency of the lateral displacements and eigenfrequencies modes.

입자 내 조성 변화가 수분산성 아크릴 에멀젼 점착제의 점착 물성과 수분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ra-particle Composition on the Adhesive Properties and Water Dispersity of Water Dispersible Acrylic Emul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서인선;이명천
    • 공업화학
    • /
    • 제18권5호
    • /
    • pp.444-448
    • /
    • 2007
  • 수분산성 점착제의 점착 물성과 수분산성에 미치는 입자 내 조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입자 내 조성을 갖는 아크릴계 에멀젼형 점착제를 제조하여 각각의 점착 물성과 수분산성을 조사하였다. 입자 내 단일 조성을 갖는 경우 유지력과 수분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웠으나 입자 내 조성을 hard core/soft shell 형태를 갖게 함으로써 수분산성은 적게 희생하고 유지력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메타크릴산/아크릴산(MAA/AA)의 중량비가 4/1인 경우에는 친수성 물질인(AA+MAA) 함량이 core로 갈수록 많은 경우와 shell로 갈수록 많은 경우 모두 유지력은 크게 상승했으나 초기점착력은 크게 낮아졌으며 수분산성은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MAA/AA 중량비가 1/4인 경우는 shell 부분에 (AA+MAA) 함량이 많은 경우에 수분산성이 더 컸으나 유지력은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4원 공중합체 박리형 아크릴 점착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 of Removal Type Pressure-Sensitive Acrylic Adhesives)

  • 서영옥;설수덕
    • 접착 및 계면
    • /
    • 제1권1호
    • /
    • pp.15-22
    • /
    • 2000
  • 4원 아크릴 점착제를 합성하기 위하여 butyl acrylate(이하 BA), 2-ethylhexylacrylate(이하 2-EHA), methylmethacrylate(이하 MMA), 2-hydroxyethylmethacrylate(이하 2-HEMA)를 사용하였다. 점착제 구조는 FT-IR, 분자량 분포는 GPC로 측정하고 점도, 고형분 그리고 점착력도 조사하였다. 단량체와 용제의 부피비가 1.3:1일 때 점착력이 $160g_f/25mm$이며 가장 범용성이 있었다. 열처리속도가 50 m/min이었을 때 가사시간이 30 s이었으며, 최소 경화시간은 30 s로 확인하였다. 내후성 시험에서 1000 h 경과 후에도 점착력이 $160{\sim}180g_f/25mm$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고, 점착 잔유물은 없었다.

  • PDF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핫멜트의 접착물성 (Adhesion Properties of Moisture-Curable Polyurethane Hotmelt)

  • 김재범;정경호;전영식;정진수;장영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4호
    • /
    • pp.267-273
    • /
    • 1998
  • MDI와 에스테르타입의 폴리올인 EBA, NBA, HA를 각각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를 갖는 다양한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프리폴리머는 상온에서는 100% 고형분이었으며, 약 $80^{\circ}C$로 가열하면 용융되어 도포에 적당한 흐름성을 나타내었고, 냉각하면 고화되고 습기와 반응하면서 서서히 경화되었다. 대기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경화된 우레탄수지의 인장물성은 폴리올의 구조에 따라 특징적인 거동을 나타내었다. 접착력은 EBA, NBA, HA순의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가교된 우레탄수지의 파단에너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접착조인트의 파괴는 모두 접착제 자체에서 일어났으며, 시험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로 미루어, 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자체의 강인성이 접착력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글라스 아이오노대 시멘트의 인장접착강도 (Tensile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s)

  • 변승민;권오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17-324
    • /
    • 1996
  • 브라켓 접착제로서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복합레진의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교정영역에서도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사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를 교정용 브라켓 접착제로 사용시 그 접착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교정치료를 위해 발거한 소구치에 자가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인 Shofu Glaslonomer Cement(Shofu Co., U.S.A.)와 GC Fuji I(GC Co., Japan), KETAO CEM(ESPE Co., West Germany)을 분말-액 비율을 달리하여 소구치용 표준형 에지와이즈 브라켓을 접착한 후 15분간 실온에 방치 하였다가 증류수에 침 적 하여 $37^{\circ}C$ 항온조에 보관하였다. 보관한 후 24시간 및 3개월 후에 만능시험기로 인장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분말-액 비율을 1로하고 24시간 침적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KETAC-CEM이 가장 높은 인장접착강도를 나타내어 (p<0.05) 브라켓 접착시 임상적 유용성이 있으리라 생각되며, Shofu Glaslonomer Cement와 GC Fuji I은 접착강도가 매우 낮았다. 2. 분말-액 비율을 증가시킬때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침적시간이 경과할수록 인장접착강도는 대체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4. 브라켓의 탈락 양상은 법랑질과 접착제의 경계부에서 탈락하여 치질에 잔존하는 접착제가 거의 없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비율(54.2%)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브라켓과 법랑질에 부분적으로 붙어서 탈락한 경우 (36.7%)였으며, 접착제와 브라켓 경계부에서 탈락한 것(9.1%)이 가장 적었다.

  • PDF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계면과 기계적 물성 및 돌침대용 석재/목재간 접착제에 따른 접착력 평가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Different Heat Treated Wood and Evaluation of Bonding Property between Stone and Wood for Rock Bed)

  • 권동준;신평수;최진영;문선옥;박종만
    • 접착 및 계면
    • /
    • 제16권2호
    • /
    • pp.69-75
    • /
    • 2015
  • 돌침대에 사용되는 석재의 무게를 줄여 경량화를 추구하려면 석재의 두께를 줄이고 보강재료로 석재의 강도를 유지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돌침대용 석재/목재 보드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돌침대에 삽입될 돌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석재와 목재를 접합하였다. 목재의 강도 향상과 표면개질을 위하여 열처리 조건에 따른 목재의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대기 조건에서 열처리한 목재의 경우 고온의 온도에 따라 목재의 강성이 높아졌다. 열처리 최적조건은 표면에너지와 인장, 굴곡 강도변화 경향을 바탕으로 $100^{\circ}C$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석재와 목재간 높은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의 접착제 조성을 연구하였다. 아민계 에폭시 접착제, 폴리우레탄(PU)계 접착제, 염화고무계(CR) 접착제 마지막으로 염화비닐초산계 접착제에 따른 석재와 목재간 랩 전단실험을 진행하였다. 랩 전단 실험 후 파단면을 관찰해볼 때 에폭시 접착제를 이용할 때 목재 기지의 인열 파괴가 발생되었다. 접착면에서의 전단력이 목재 자체의 파괴 강도보다 높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접착제 조건이 에폭시계 접착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동차 구조용 접착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Pre-primed 도료의 비용접식 접합공정 적용 (Automotive Pre-primed Coatings with Automotive Structural Adhesive for Non-weldable Binding Process)

  • 문제익;이용희;김현중;노승만;남준현;김민수;김준기;김종훈
    • 접착 및 계면
    • /
    • 제12권3호
    • /
    • pp.99-104
    • /
    • 2011
  • 21세기 들어 자동차 도료산업은 엄격한 환경규제 및 생산 효율성 향상 및 더 낮은 생산비용으로 자동차용 도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세정 및 전처리 과정을 삭제한 pre-primed 도장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pre-primed 도료 시스템의 경우, 차체 조립 전 단계에 강판이 유기 도막으로 도장되어있기 때문에 기존의 용접을 통한 조립이 힘들어 용접공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비용접식 접합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비용접식 pre-primed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유연성과 성형성이 향상된 polyester계의 primer 1과 polyurethane계의 primer 2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료의 물리적인 물성과 도장면의 부착력 평가 결과, primer 1이 primer 2에 비하여 연필경도, 내용제성, 유연성 및 접착제와의 부착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용접공정을 대신한 비용접식 pre-primed 시스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백탄파티클 크기와 최종매트함수율에 따른 백탄보드의 제조와 성능 (Manufacture and Properties of White Charcoal Board in Relation with Final Mat Moisture Content and Charcoal Particle Size)

  • 이화형;조윤민;박한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22-29
    • /
    • 2005
  • 이 연구는 숯파티클 크기에 따른 최종 매트 함수율에 관한 백탄보드의 적정제조조건을 규명할 뿐 아니라 백탄보드가 새집증후군에 대한 친환경적 재료로서 백탄의 유익한 성질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백탄보드는 최종매트함수율이 20~25%와 36~60%의 2개 그룹에서 생산되었다. 최종매트함수율이 높은 후자는 훨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비포름알데히드계 접착제[MDI(M), poly vinyl acetate emulsion(P)]와 30-10-$3kgf/cm^2$ (1분-1.5분-6분)의 3단계 열압공정으로 제조된 #40~60형-P15%, M5%, FMC60%와 혼합형-P15%, 5%, FMC36%의 2 종류였다. 숯파티클이 큰 쪽은 최종매트함수율이 적게 필요하였고 #6이상-M15%, FMC25%와 혼합형-M25%, FMC20%의 2 종류가 전자에 속하였다. 백탄보드는 치수안정성, 가스흡착 그리고 원적외선방사율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