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ress matching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A Geocoding Method Implemented for Hierarchical Areal Addressing System in Korea

  • Lee, Ji-Yeong;Kim, Hag-Yeol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03-419
    • /
    • 2006
  • 현재 주소정합(address matching) 기술 중 가장 잘 알려진 방법은 미국 센서스국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거리이름을 기반으로 한 주소체계에 그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국, 일본과 같은 많은 국가들의 주소체계는 장소의 계층적 구조에 기초한 계층적 주소체계로 인하여 현재의 주소정합 기술을 적용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활동에서 생성되는 2차원적 3차원적 주소정보를 주소좌표변환(geocoding) 하기위한 지역적 주소정합방법, 특히 한국의 주소체계에 적합한 주소정합방법을 이론적으로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에 이 논문은 2차원 및 3차원 주소정합기술로 구성된 3차원 주소위치확인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법을 설명한다.

  • PDF

IP 주소 검색을 위한 Priority Trie (An Efficient IP address Lookup Algorithm Using a Priority-Trie)

  • 임혜숙;문주형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3-4
    • /
    • 2006
  • Fast IP address lookup in routers is essential to achieve packet forwarding in wire-speed. The longest prefix matching for IP address lookup is more complex than exact matching because of its dual dimensions, length and value. By thoroughly studying the current proposals for IP address lookup, we find out that the binary search could be a low-cost solution while providing high performance. Most of the existing binary search algorithms based on trie have simple data structures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but they have some problems because of empty internal nodes.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trie structure, but empty internal nodes are replaced by priority prefixes. The best-matching-prefix search in the proposed algorithm is more efficiently performed since search can be finished earlier when input is matched with a priority prefix.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nstructed priority-trie has very good performance in the lookup speed and the scalability.

  • PDF

내비게이션 지도 건물 갱신을 위한 도로명주소 지도와의 연계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method of linking with navigation map and new address map for updating navigation Map buildings)

  • 김기락;허용;유기윤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10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25
    • /
    • 2010
  • In this paper, we studied linking method for updating navigation map with new address map. This method is hierarchical as we chose candidate using attribute data for geometry matching. Limiting a matching range, we conducted a experiment ICP with geometry matching. As a result, for linking method it's quite satisfied but for updating method, we decided that we have to do more precise method for updating.

  • PDF

공간매칭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속성정보 생성 (Generation for Attribution Information of Digital Map using Space Matching)

  • 문용현;김명석;조의환;최석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1-108
    • /
    • 2012
  • 수치지도는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로명주소를 포함 하지 못하고 있으며, 타 기관에서 직접 활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어 연계 구축이 필요하나, 기 구축된 수치지도와 도로명 주소의 양이 방대하여 매칭을 수작업으로 진행할 경우 많은 예산 및 시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간매칭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와 도로명주소의 자료 연계를 통하여 속성정보를 생성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매칭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에 대한 매칭율을 분석한 결과 수원시는 1:1000수치지도에서 건물이 84%, 도로가 67%로 좋은 매칭율을 나타냈고, 서귀포시는 건물 18%, 도로 21%로 나타났다.

An efficent method of binocular data reconstruction

  • Rao, YunBo;Ding, Xianshu;Fan, Boji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9호
    • /
    • pp.3721-3737
    • /
    • 2015
  • 3D reconstruction based on binocular data is significant to machine vision. In our method, we propose a new and high efficiency 3D reconstruction approach by using a consumer camera aiming to: 1) address the configuration problem of dual camera in the binocular reconstruction system; 2) address stereo matching can hardly be done well problem in both time computing and precision. The kernel feature is firstly proposed in calibration stage to rectify the epipolar. Then, we segment the objects in the camera into background and foreground, for which system obtains the disparity by different method: local window matching and kernel feature-based matching. Extensive experiments demonstrate our proposed algorithm represents accurate 3D model.

우리나라 도로명주소를 활용한 지오코딩 및 역 지오코딩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Geocoding and Reverse Geocoding Method Implemented for Street-based Addresses in Korea)

  • 석상묵;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3-42
    • /
    • 2016
  • 현재 국내 포털사이트 및 기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지오코딩 서비스는 어드레스-포인트 지오코딩 기법을 활용한다. 이 기법은 매우 높은 위치 정확도를 가지는 반면, 데이터의 품질이 지오코딩 결과물에 큰 영향을 미치며, 3차원 주소에 대한 지오코딩 및 역 지오코딩에 활용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센서스 국에서 개발한 도로 기반 지오코딩 기법에 기반 하여, 우리나라 도로명주소를 활용한 지오코딩 기법을 제시한다. 이때,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오코딩 기법은 (1) 단일 건물을 표현하는 2차원 주소뿐만 아니라 지하 건축물 또는 실내 공간까지 포함하는 3차원 주소의 지오코딩을 지원하는 지오코딩 기법과, (2) 특정 지점을 주소로 반환하는 역지오코딩 기법으로 구분된다. 실제 연구 대상지역을 대상으로 제안한 지오코딩 기법을 적용한 결과, 도로명주소의 지오코딩 시 82.63% 매칭률, 역 지오코딩 시 98.5% 매칭률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위치 오차가 1.7미터로 나타남에 따라 제안한 지오코딩 기법을 활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가능함을 보였다. 지오코딩 기법 개발에 있어, 본 연구에서는 주소 정규화를 위한 파싱 알고리즘 및 농촌지역, 도로종속 구간 등의 일부 지역을 고려하지 않고 수행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사항을 고려한 개선된 지오코딩 기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수치지도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매칭 및 속성 융합 방안 - 도로중심선 레이어를 중심으로 - (Matching and Attribute Conflating Method for Linking the Digital Map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Focused on the Road Centerline Layer -)

  • 방윤식;가칠오;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9-388
    • /
    • 2012
  •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도로명주소 체계가 시행 및 활용되고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국가기본도인 수치지도는 현재 도로명주소 체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도로명주소 체계하에서의 활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도 객체의 속성정보에 도로명주소 관련 정보를 추가하여 확장형 수치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론을 연구하였다. 먼저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와의 중첩 분석을 통하여 두 레이어의 객체간 매칭 관계를 도출였으며, 두 레이어의 속성항목 분석을 통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에서 수치지도로 추가할 속성항목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도로명주소 지도의 도로명주소 관련 속성정보들을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로 전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속성 확장된 수치지도 도로중심선 레이어는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도로명 정보를 속성으로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수치지도 활용시에 도로명주소 체계에 따른 위치참조가 가능하게 된다.

고속 IP 주소 검색을 위한 다중 LC-트라이 (Multiple LC-tries for Fast IP Address Lookup)

  • 황현숙;권택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C호
    • /
    • pp.43-50
    • /
    • 2001
  • IP 라우팅에서는 가장 긴 프리픽스가 일치 (longest prefix matching)되는 목적지 IP 주소를 사용한다. 따라서 고속 If 라우팅을 위하여 IP 주소 검색이 고속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유연한 IP주소 검색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LC-트라이 알고리즘을 개선한 다중 LC-프라이 기법을 제안한다. 메모리 검색 회수를 줄이기 위하여 검색되는 IP 주소의 분포 패턴을 분석하여 자주 접근되는 IP 주소의 집합으로 별도의 LC-트라이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단일 LC-트라이 기법에 비하여 빠른 검색 결과를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 PDF

GPU-Based Optimization of Self-Organizing Map Feature Matching for Real-Time Stereo Vision

  • Sharma, Kajal;Saifullah, Saifullah;Moon, Inkyu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2권2호
    • /
    • pp.128-13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esent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based matching technique for the purpose of fast feature matching between different images. The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algorithm developed by Lowe for various feature matching applications, such as stereo vision and object recognition, is computationally intensive. To address this problem, we propose a matching technique optimized for GPUs to perform computations in less time. We optimize GPUs for fast computation of keypoints to make our system quick and efficient. The proposed method uses a self-organizing map feature matching technique to perform efficient matching between the different images.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various image set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under varying conditions, such as image rotation, scaling, and blur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e existing feature matching methods, resulting in fast feature matching due to the optimization of the GPU.

길찾기 과정의 도로명주소 체계 연계를 위한 선형 객체 매칭 방법 (Line Matching Method for Linking Wayfinding Process with the Road Name Address System)

  • 방윤식;유기윤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5-123
    • /
    • 2016
  • 지난 2012년부터 도로명주소가 본격 시행 및 활용되고 있지만, 아직도 상당 부분에서는 기존의 지번주소가 많이 통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인들의 공간 인식체계와 도로명주소의 공간 구조화 방식의 간극으로 인한 문제이다. 따라서 도로명주소 기반의 공간 인식 체계가 자리잡기 위해서는 생활 속에서 활용되는 각종 공간정보들이 도로명에 의하여 주소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간 인식 과정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나는 길찾기 과정에서의 도로명주소 체계의 연계를 목적으로, 이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데이터의 기하학적 매칭 방법론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도로명주소 기본도의 도로구간 레이어와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에 대하여, 개별 도로 객체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이웃을 생성하였다. 그 다음, 생성된 이웃 집합 간의 기하학적 유사도 비교를 통하여, 네트워크 데이터의 각 객체에 매칭되는 도로구간을 탐색하였다. 매칭 성능은 F0.5 값을 기준으로 0.936의 결과를 얻었으며, 유사도 값을 기준으로 10% 수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 이 값을 0.978까지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생성된 매칭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보행자용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에 도로명 정보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한 길찾기 서비스 제공 및 공간 인식체계 정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