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daptation to college life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31초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 김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83-79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84, p<.001),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5, p<.001)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64.462 p<.001). 학업 스트레스(β=-.542, p<.001), 대인관계(β=.339, p<.001), 주거형태(β=.199, p<.001)가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4.6%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이고 원활한 대인관계 향상, 정서적 지지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에 의해 매개된 정신화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Subjective Well-being in College Students: Moder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Mediated by Adaptation to College Life)

  • 정구철;전영숙;박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38-151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팀 활동 중 수행하는 갈등해결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의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생 248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인 타협과 협력 전략은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고,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둘째, 갈등해결전략 중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은 대학생활적응을 통한 정신화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이 대학생활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대해 유의한 설명변수가 되었다. 셋째, 양보와 회피 전략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직접효과에서 정신화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고, 정신화 실패의 수준이 높을수록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중요성을 검증하였고, 양보, 회피, 지배 전략의 경우 정신화 실패의 수준과 함께 대학생들의 적응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논의하였다.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셀프리더십, 학습몰입,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에 관한 융합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daptation, Self-Leadership, Learning Commitment, and Career Adaptation)

  • 배양자;박순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04-11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구학적 특성(성별, 학년, 학점수준, 취업의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생활적응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학습몰입과 셀프리더십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이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요인으로는 연령, 학년, 취업의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과 진로적응을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및 학습몰입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대학생활 및 진로 상담 시 성별이나 학력 등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맞춤형 지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experiences in the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in South Korea

  • Lee, Hyun-Ju;Lee, Nayoon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7-178
    • /
    • 2022
  • Purpose: South Korea has expanded its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program to resolve its supply-demand imbalance in nursing, although how these students are adapting to and performing in college after admission remains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how Korean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nursing students interact with society and adapt to college life for establishing further supportive educational policies and programs. Methods: Participants comprised 20 South Korean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via online or offline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and by apply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achieve theoretical saturation. Results: The core category, derived using open, axial, and selective coding, was "process of the uncharted journey toward a new dream." The participants' college adaptation processes were found to involve three phases: trial and error, adjustment, and acceptance and integra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apply, test, and improve various support programs for accelerated second-degree Bachelor of Science in Nursing students and to advance the nursing profession by nurturing a workforce with diverse academic backgrounds and faster college life adaptation.

국립간호대학생의 지역 간 대학생활 적응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gional difference of Campus Life Adaptation o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National universities.)

  • 최선하;임난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5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f effective student guidance in nursing educ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03 nursing students in the area of Seoul and 143 students in Cholla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items about personnal campus life and their majo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on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on nursing students between Seoul and local areas. 2. In Seoul a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mpus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s. In local area,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in the academic years. The score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possitive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years. 3. The variables which can be explained in the regional difference were social recognition of nursing and a family atmospher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Seoul and local areas, the pers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of campus life adaptation were equalized.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ounselling on choice of major should be provided to high school students.

  • PDF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Addiction Tenden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 나은선;장현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70-1080
    • /
    • 2021
  • 본 연구는 SNS 중독 경향성 및 대인관계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 01일부터 10월 04일까지 G시 1~3학년의 간호대학 재학생 22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은 성별(t=5.26, p<.001), SNS 일평균 사용시간(F=8.07, p<.001), 현실에서의 교류 친구 수(F=2.87, p=.037)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간의 상관관계로 대학생활적응은 SNS 중독 경향성(r=-.31, p<.001) 및 대인관계(r=.52, p<.001)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SNS 중독 경향성과 대인관계에서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17, p=.011).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인관계(𝛽=.477, p<.001), 성별(𝛽=-.198, p=.001), SNS 일 평균 사용시간(𝛽=-.177, p=.003)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8%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SNS를 활용한 긍정적인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관련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daptation to the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 who Experienced a Non-face-to-face Semester due to COVID-19)

  • 김미영;김윤아;변은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167-174
    • /
    • 2022
  • 본 연구는 원격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참여자는 B와 G시의 간호대학생 127명을 대상으로 SPSS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활적응능력에 대해 회귀 분석한 결과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전공만족도, 학업성적, 대인관계가 43.5%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원격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며,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학업성취를 할 수 있는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rit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창윤;권민영;김남훈;김채현;김혜진;박지윤;신민숙;한은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680-68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0년 7월 1일부터 8월 13일까지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그릿(r=.328, p<.001)과 사회적 지지(r=.334,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년, 그릿 및 사회적 지지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을 위해서 그릿과 사회적 지지와 같은 긍정적 요인을 포함시킨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제안한다.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piritual Well-Being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Nursing Students)

  • 손혜경;권수혜;박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36-64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및 영적안녕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5일에서 12월 10일까지 B시와 C시에 소재한 3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ANOVA, Scheffe 검정,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생활스트레스 정도(r=-.657, 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아탄력성(r=.455, p<.001)과 영적안녕(r=.494, p<.001)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beta}=-.418$, p<.001), 건강상태(${\beta}=.213$ p<.001), 영적안녕(${\beta}=.210$, p=.025), 전공만족도(${\beta}=.146$, p=.003), 자아탄력성(${\beta}=.109$, p<.001)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56.5%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서 생활스트레스에 대한 대처 능력을 함양하고 자아탄력성과 영적안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치기공과 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 나정숙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3-24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earn the importa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out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Methods: Using the questionnaire, the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in Gyeongnam Province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at A and B college for one month from May 15, 2019 through June 15, 2019, and finally 204 students were surveyed for Self-esteem,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Internal control, College life adapta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Career-preparation behavior. Results: Self-esteem among students has been shown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by increasing the stress of college life, and self-efficacy has only a direc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self-determination and internal control of department of dental technology student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have a common positive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addition, college life adaptation gives direct positive effect to self-directed learning, but indirect effect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direct effect on career-preparation behavior, and the career-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wa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 The changes in college restructuring and various policies also suggest that students should actively seek ways to instill certainty about their major's vision and career path within the college rather than deciding their future through extreme measures such as academic secession at a time when anxiety and uncertainty about their career is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