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 attitude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4초

광고 모델의 인종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Revisiting Effects of Endorsers' Race on Attitudes Toward Ad and Brand)

  • 이은선;김여정;안정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10-121
    • /
    • 2014
  • 외국인의 유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한국 시장에서 인종별 소비자 특성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이 대표적인 다인종 사회임을 고려하여, 미국에 거주하는 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광고모델의 인종, 상황적 맥락, 제품 유형이 광고와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모델 인종: 흑인/백인) X 2(실험상황: 사적/공적) X 2(제품유형: 고관여 이성/저관여 감성) 혼합요인 설계를 이용하였고, 인상 관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백인 피험자들은 자동차 광고 모델이 백인일 때 공적인 조건에서보다 사적인 조건에서 광고에 대한 태도를 더 긍정적으로 보고한 반면에, 모델이 흑인일 때는 실험 상황에 따른 태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 시장에서 한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종과 국적의 모델을 사용했을 때 광고와 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 효과: 모델의 사회적 특성 지각과 광고 효과성 (Effects of ad endorser's gaze directions on social perceptions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 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8권1호
    • /
    • pp.3-14
    • /
    • 2015
  • 소비자가 광고에 대해서 반응할 때, 광고 모델의 시선(응시 방향)은 가장 중요한 비언어적 단서 중 하나이다. 광고 모델의 시선은 소비자가 모델의 사회적 특성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매력도, 신뢰성)와 광고나 브랜드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뇌의 정서 반응 비대칭 가설에 따르면, 오른손잡이 소비자는 모델이 좌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 우측을 응시하는 광고를 볼 때보다 모델의 사회적 특성과 광고, 브랜드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실험을 통해서 무명 여성 광고 모델의 세 가지 시선 조건(정면, 좌측 그리고 우측 응시 조건)이 남성 실험 참가자의 광고 반응(모델 매력도 측면, 모델 신뢰도 측면 그리고 광고 효과성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보다 모델이 광고 출연료를 받았으며 광고 브랜드 판매를 위해 소비자를 설득하려고 한다고 더 강하게 느끼지만 동시에 모델이 광고에 출연한 이유가 스스로 광고 브랜드를 진심으로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론하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실험 참가자들은 광고 모델이 정면을 응시할 때가 우측을 응시할 때 보다 광고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광고 모델의 좌측 응시 조건과 나머지 두 조건(정면 응시 조건과 우측 응시조건) 사이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실험 참가자의 모델 특성 평가와 광고 효과성 차이는 발견하지 못 했다.

의류제품의 우회광고가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V드라마 의상협찬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direct Advertisement to Consumers' Clothing Purchase Behavior -Focusing on Clothing Sponsorship of Television Drama-)

  • 이은정;이은영
    • 복식
    • /
    • 제52권4호
    • /
    • pp.141-154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sponsorship' as a kind of advertising tool, and to describe its effects on consumer brand attitude and actual purchase behavior. From previous research results, clothing sponsorship was defined as 'indirect advertisement', which has common ad traits as well as the uncommon ad traits, such as indirectness, emotional affinity, and symbolism. Results from empirical research using 1,227 data collected in Seoul and Kyounggi Areas were as follows ; (1) Television drama clothing sponsorship was proved to have effects on brand image, emotional & rational brand attitudes, decision making process, and actual purchase behavior. (2) Each of drama clothing sponsorship factors, such as 'drama', 'role', and 'actress', had different effects on brand memory and attitudes. (3) Consumer decision making process initiated by drama clothing sponsorship followed two different processes, which were called 'rational' and 'heuristic'. The rational process followed every steps of EKB model, which explained consumer's rational shopping, but heuristic model was closer to emotional and impulsive shopping.

부정적 소구 광고의 효과 -사회문제를 주제로 한 잡지 의류광고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with Negrative Appeal -concentrating on magazine apparel ads taking social problems as their themes-)

  • 변상은;김인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53-96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negative appeal ads taking social problems as their themes. Two social problem ad themes concerning abortion and drug addiction were selected as stimulus. Questionnaire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affective response cognitive evaluation consumer's characteristics(sex, clothing involvement social problem involvement) and the ad and brand attitudes They were distributed to 2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Results were : 1 The affective response consisted of 4 dimensions(negative inactivating activating positive) and the cognitive evaluation had 3 dimensions(utility·persuasive power creativity awareness) 2. Creativity and awareness dimensions and the ad attitud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for the abortion theme ad,. Creativity dimension and consumer's clothing involvement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for the drug addiction theme ad . Especially the affective respons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brand attitude. This result suggests that in case of negative appeal ads the affective response does not necessarily degrade the brand attitude while positive cognitive evaluation on creativity and awareness of the could influence the brand attitude favorably through raising attention to the brand resulting in high effectiveness of the ad.

  • PDF

Factor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mong Female Cancer Patients

  • Aeri Kim;Kisook Kim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6권2호
    • /
    • pp.80-94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Ds) among female cancer patients and factors related to AD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September 19, 2020, to January 20, 2021. The participants were 153 patients diagnosed with gynecological cancer or breast cancer.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and AD-related characteristic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ADs, and attitudes about dignified death.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nly 2% of the participants completed ADs. The mean score for attitudes toward ADs was 3.30, indicating a positiv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The factors related to attitudes toward ADs were attitudes toward dignified death (𝛽=0.25, P=0.001), experience discussing life-sustaining treatment (𝛽=0.17, P=0.037), preferred time to have a consultation about ADs (𝛽=0.19, P=0.046), intention to write ADs (𝛽=0.15, P=0.038), and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𝛽=-0.37, P<0.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ttitudes toward ADs was 38.5%. Conclusion: Overall, patients preferred to have a consultation about ADs when they were still active, mentally healthy, and able to make decisions. Education about ADs should be provided to patients on the first day of hospitalization for chemotherapy or while awaiting treatment in an outpatient setting so patients can write ADs and discuss them with family and friends.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이용자의 광고 회의주의와 광고 회피 현상에 대한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dvertising Skepticism and Avoiding of Youtube Users based on Media Platform)

  • 선민재;김준석;나운봉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61-76
    • /
    • 2020
  •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온라인 광고 시장의 규모가 급성장하고 있다. 하지만 성장세에 비해 소비자들의 온라인 광고에 대한 신뢰도는 기존 매체보다 매우 낮은 편이며 광고 회피 현상도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광고 회피의 요인에는 매체, 광고의 유형, 소비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비자의 광고 회의주의에 대한 영향력이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큰 규모의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에게 광고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광고 회의주의를 중심으로 광고 소구, 관여도, FCB Grid 이론을 적용했으며 소비자의 광고 회피를 낮출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Kobaco의 2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 2에서는 1차 자료의 Process macro 조절 회귀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가 광고 태도 형성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또, FCB Grid 모델에서 ANOVA 분석을 통해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에게 어떤 광고 유형이 긍정적인 광고 태도를 나타내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광고 회피도가 높은 소비자는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제품에 대한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지는 않았지만 연령이 높아지고, 온라인 동영상 시청시간이 낮아질수록 광고 회피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의 결과 감전전이 소구가 정보 소구보다 광고 태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고 회의주의와 관여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관여도가 낮고, 감정전이 소구가 높은 상황일 때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의 광고 태도가 낮은 소비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FCB Grid 모델에서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은 저관여와 고관여 제품에서 감정전이 소구 방식의 광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와 광고주들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광고 회피 현상의 요인인 광고 회의주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며 광고 회의주의 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유형에 따라 적합한 광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바일 패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광고유형과 품목의 차이를 중심으로- (A Study on Advertisement Effects of Mobile Fashion Advertisements -Focused on Ad Types and Categories-)

  • 이승희;장윤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9_10호
    • /
    • pp.1455-146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dvertisement effects of mobile fashion advertisements, specifically focusing on how the mobile fashion advertisement effects work according to advertisement types and categories. Two hundred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for this study. As the results, first, advertisement attitudes were classed into three factors such as cognitive factor emotional factor, and behavioral factor.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advertisement types, pull advertisement type had higher advertisement attitudes, and higher purchasing intention than push advertisement type. There was not significant in brand attitudes between pull advertisement and push advertisement. Third, for the effects of advertisement categories, clothing advertisement had higher cognitive factor and behavioral factor, and higher purchasing intention than accessory advertisement. There were not significant in emotional factor and brand attitude between clothing and accessory advertisements. Based on these results, M-commerce fashion advertisement marketing strategies would be suggested.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명품광고 제작시사점을 중심으로 (The Impact on the Korea Characteristic influence on the Attitude of Luxury Product : focus on Strategic Implication in Luxury Ad)

  • 유승엽;염동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호
    • /
    • pp.203-213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이 명품소비행동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론되었으며, 따라서 이러한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이 명품 제품태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인의 우쭐성향은 요인분석 결과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의 체면성향은 요인분석결과 3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우쭐과 체면성향 중 명품 제품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우쭐성향이 명품 제품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쭐성향 중 자기중심, 열등감, 자존감, 과시성향 요인이 명품 제품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인의 우쭐성향에 대한 요인구조를 확인했다는 점에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우쭐 심리적 특성의 하위속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패션 아트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sumer attitudes toward fashion art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 박지혜;황춘섭
    • 복식문화연구
    • /
    • 제23권3호
    • /
    • pp.353-367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consumers' awareness, preference levels, and effect expectations in relation to fashion art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such marketing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in fashion products, called product collaboration; sponsorship for art foundation; artist sponsorship; collaboration for the design of a space/store/display; ad/promotional film collabor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nsumers' attitudes toward fashion art marketing with respect to purchase intention. The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descriptive survey method. The sample consisted of 342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45.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s' awareness and effect expectations in relation to fashion art marketing according to the types of fashion art marketing activities. While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ference levels according to the type of fashion art marketing, all the types of art marketing showed overall high levels of preference. The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and art in fashion products, which had the highest awareness, also showed the highest expected effect. In all the types of fashion art marketing, consumers' attitud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cases of sponsorship for an art foundation, artist sponsorship, collaboration for the design of a space/store/display, and ad/promotional films, consumers' effect expectation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followed by preference and awareness level.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provide appropriate proposals to fashion brands when they plan to set up an art marketing strategy.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관한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the Korean Uzzul(Boast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on the Consumer Attitude of Luxury Good)

  • 염동섭;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11-118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분석을 토대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와 어떤 관계성이 있는 가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은 6개의 하위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는 요인분석결과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인의 우쭐 심리적 특성이 명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자존감의식성 요인과 거만의식성 요인이 쾌락적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인정성 요인은 품질신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그동안의 명품관련 연구들에서 주로 다루어 왔던 과시적 체면 이라는 심리적 변인에서 탈피하여, 우쭐 이라는 한국인의 또 다른 심리적 특성 변인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으며, 향후 명품광고를 제작하는 실무자에게 타겟 집단의 우쫄 심리적 특성을 고려해야만 하는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