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rain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5초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Contents of Chemical Substances in Needles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 정용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33-40
    • /
    • 1987
  • 잣나무(Pinus koraiensis) 파종상(播種床)에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로 처리(處理)하고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그리고 배지(培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산도수준(酸度水準)에 따라 평가(評價)하였다. 잣나무 종자(種子)를 1985년(年) 봄에 묘포토양(苗圃土壤)을 채운 pot에 파종(播種)하고, 해당지역(該當地域)의 30년간(年間)의 강우양식(降雨樣式)에 모의(模擬)(simulation)해서, 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의 비율(比率)을 3:2로 혼합(混合)하여 지하수(地下水)로 희석(稀釋)한 pH 4.0 및 pH 2.0의 산성우(酸性雨)와 지하수(地下水)(pH 6.5)를 5월(月)부터 8월(月)까지 4개월간(個月間)에 걸쳐 살포(撒布)하고, 동년(同年) 10월(月) 30일(日)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잣나무 파종묘(播種苗)의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의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됨에 따라 S와 $K_2O$는 증가(增加)를, MgO 와 $P_2O_5$는 감소(減少)되었다. 2)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토양산도(土壤酸度)는 저하(低下)되었고, 치환성(置換性) Al 함량(含量)은 크게 증가(增加)하는 상반(相反)된 반응(反應)을 보였다. 3)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K의 함량(含量)과 염기총량(鹽基總量),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되었다. 4) 토양내(土壤內) sulfate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 될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 PDF

인공산성우가 몇 침엽수종의 종자발아, 생장 및 침엽에 미치는 영향(1)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Growth and Needle of Several Conifers(1))

  • 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
    • /
    • 1992
  • 인위적으로 산도를 조절한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에 종자를 파종하고,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 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를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엽피해율, 토양산도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곰솔은 PH 4.0 처리구에서, 독일가문비는 pH 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고, 소나무와 젓나무에서는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곰솔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처리산성우의 pH값이 작아질수로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대체로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인공산성우와 토양시비가 소나무잎의 광합성속도, 왁스 함량 및 접촉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and Soil Fertilizers on Photosynthetic Rate, wax Content, and Contact Angle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 최기영;이용범;채의석;이경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63-268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acid rain and soil fertilizers on photosynthetic rate, was content, and contact angle on 5-year seedling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leaves. The seedlings were exposed to pH 3.0 (simulated acid rain), pH 6.5 (groung water) and rain (pH around 4.6). The seedlings were also treated with $Ca(OH)_2, Mg(OH)_2, and Ca(OH)_2 + Mg(OH)_2 + C.F.(compound fertilizer)$.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was content, contact angle value, and mineral nutrient content of the leaves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of the leav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H. Photosynthetic rate and stomatal conductance increased with application of soil fertilizer in the pH 3.0 treatment, but showed no changes in the rain and the pH 6.5. 2. Contact angle value and was content of the leaves did not change with the pH treatment, but increased with the fertilizer treatments. 3. Mineral nutrient contents of the leaves were lowest in the rain treatment and highest in the pH 6.5 treatment. The increase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was observed with the soil fertilizer treatments.

  • PDF

Deterioration of tensile behavior of concrete exposed to artificial acid rain environment

  • Fan, Y.F.;Hu, Z.Q.;Luan, H.Y.
    • Interaction and multiscale mechanics
    • /
    • 제5권1호
    • /
    • pp.41-56
    • /
    • 2012
  • This study is focused on evaluation of the tensile properties of concrete exposed to acid rain environment. Acid rain environment was simulated by the mixture of sulfate and nitric acid in the laboratory. The dumbell-shaped concrete specimens were submerged in pure water and acid solution for accelerated conditioning. Weighing, tensile test, CT, SEM/EDS test and micro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specimens. Tensile characteristics of the damaged concrete are obtained quantitatively.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the voids, micro cracks, chemical compounds, elemental distribution and contents in the concrete are examined. The deterioration mechanisms of concrete exposed to acid rain are well elucidated.

인공 산성비가 중요 농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Important Crops)

  • 허흥욱;허만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3-132
    • /
    • 1998
  •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simulated acrid rain on growth of the seven crops(caucus carota vu sativa DC. , Fagopyrum esculenkm Moench, Brassica cmpesp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Makino , Raphuus satlws vu. hortensis for. acnMormis Makino, Brassica dbogjabra Bailey, Caphslcum mum L., and Perilla frutescens Britton). The pH levels of simulated acid rain ranged pH 3.1, 3.6, 4.1, 4.6, 5.1 and 5.6. The germination 10 each crop was influenced from stimulated acrid rain except buckwheat and kale. A general decrease of growth in crops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pH concentrations. The pattern of soluble protein was observed a tendency to decrease from acidic pH eradlents. According to acidity, total DNA contents of each crop was showed a definite reduction. In conclusion, plant growth was stimulated decreasln and the chanties of total Protein Patterns and BNA contents extracted from leaves trended with stimulated acrid rain was showed seriously.

  • PDF

인공산성비가 돌피와 바랭이의 생장과 경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rtificial Acid Rain on the Growth and Competi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Digitaria sanguinalis)

  • Kim, Jin-Kyung;Do-Soon Cho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71-80
    • /
    • 1996
  • The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Digitaria sanguinalis were studied. Changes of growth in height and dry weight were examined and competition between the two species was investigated using the experimental model proposed by de Wit (1960).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the greenhouse, and test plants were germinated and grown for 4 weeks and then sprayed with simulated acid rain of pH 5.6, 4.2 and 2.8 for another 8 weeks. In de Wit replacement experiments, the variation of density and 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showed little effect on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between E. Crus-galli and D.sanguinalis. The ratio diagram, another method to reveal the interrelations between two competing species, always showed the predominance of E. crus-galli in competition, regardless of density and pH. The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two species, represented by relative yield total (RYT), revealed that intraspecific competition was stronger than interspecific competition in both species.The treatment of simulated acid rain showed little effect on the growth of E. Crus-galli and D. sanguinalis. Height growth of both specie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control (pH 5.6), but root/shoot ratio increased with the decrease in pH of simulated acid rain. Growth of tatal dry weight of E. crus-galli and D. sanguinalis was not influenced by the change of pH, except that D.sanguinalis showed a decrease in the total dry weight at pH 2.8 along with a visible sign of white spots on leaves.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can exert an effect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species, but this experiment did not show the reversion of competition, and showed that E.crus-gilli was competitively dominant under any environmental conditions given in this study.

  • PDF

저선량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산성강우 효과 (Influence of Artificial Acid Rain on the Growth of Soybean Irradiated with Low Dose Gamma Radiation)

  • 김재성;이은경;이영근;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5-249
    • /
    • 1999
  • 저선량의 감마선이 조사된 대두종자로부터 자라난 작물체에 인공 산성강우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금콩과 방사콩의 생육 양상을 조사한 결과 초장은 감마선조사 선량에 따라서만 생육 차이를 보였을 뿐 산성강우 무처리구(pH 6.00)와 처리구(pH 2.45와 2.20)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황금콩의 경우 생육 촉진을 위한 적정 조사선량이 산성강우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피해 병징 양상은 산성강우 pH 2.20 처리구에서 심하게 나타났으며 방사콩에 비해 황금콩에서 산성강우 내성 효과가 컸으며, 종자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여 1995년산에 비해 1997년산 작물체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방사콩의 생육 양상은 산성강우 처리 농도와 감마선 조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은행나무와 곰솔에 처리된 인공산성비에 의한 잎의 형태변화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oliar Structural of Changes of Ginkgo biloba and Pinus thunbergii)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79-86
    • /
    • 1995
  • 은행나무와 곰솔의 잎은 pH 3.2 이하의 인공산성비 처리구에서 괴사반점과 황화현상 및 조기노화 현상이 나타났다. 잎표면 구조의 관찰에서 은행나무 잎은 pH 2.4의 처리구에서 잎표면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난 반면 곰솔의 경우 pH 4.0 이하의 처리구에서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났다. 은행나무 잎은 pH 3.2 이하에서 표피세포와 해면조직에서 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유관속조직은 정상적인 구조를 나타냈다. 엽육세포의 크기는 산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지고 세포간극이 커졌다. 곰솔의 잎은 표피세포보다 엽육조직과 유관속조직의 피해가 현저하였다. 은행나무의 기공의 크기와 모양은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기공지수와 기공의 공극 크기는 높은 산도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인공산성비가 처리된 은행나무와 곰솔 잎의 기공들은 열려 있었다.

  • PDF

인공 산성비가 소나무속의 동위효소 양상에 미치는 영향 (Isozyme Variants in Genus Pinus by Simulated Acidic Rain)

  • 윤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05-313
    • /
    • 1997
  • 산성비가 소나무, 리기다 소나무, 잣나무 잎의 동위효소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5.6을 대조구로 pH 3.5의 인공 산성비를 9개월간 처리하여 $\alpha$-Est, POD, GDH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pH 3.5의 인공산성비 처리 9개월째에 $\alpha$-Est에 있어서 소나무는 동위효소의 활성에 별 변화가 없었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되었으며, 잣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되고 5개의 동위효소는 활성이 보여지지 않았다. POD에 있어서도 소나무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8개의 동위효소가 새로이 활성화되었으며, 잣나무는 4개의 동위효소의 활성이 보여지지 않았다. GDH 역시 소나무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리기다 소나무는 2개의 새로운 동위효소가 활성화 되었고, 잣나무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인공산성비 처리가 토양의 화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Soil Chemical Properties)

  • 유관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0-406
    • /
    • 1998
  • 사양토, 양토, 식양토의 3 가지의 토양을 $2^{{\prime}{\prime}}{\times}30cm(D{\times}L)$ column에 충진한 후 인공 산성비(pH 2.0, 4.0, 6.0) 1,200mm를 처리하여 산성비의 토양내 침투수량에 따른 토양의 산성화 경향, 토양 중 무기양분의 용탈과 이동양상과 산성비 토양투입에 따른 석회 중화양을 비교검토한 결과, 산성비 처리에 따른 각 토양의 pH 변화는 산성비의 pH가 4.0과 6.0에서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pH 2.0에서는 토심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pH감소는 사양토>양토>식양토의 순이었고, 치환산도(치환성 Al+H)는 식양토>양토>사양토의 순위였다. 산성비에 따른 각 토양의 토심별 양분 용탈량은 산성비의 pH 2.0에서 많았으며, 사양토, 양토와 식양토의 경우, 각토양 공히 Ca>K>Mg 순위였다. 토양의 pH감소와 치환산도(치환성 Al+치환성 H)는 사양토 > 양토 > 식양토의 순위였으나, pH감소에 따라 증가되는 치환산도는 그 토양의 CEC범위내 이었다. 토양내의 치환성 Al는 토양의 pH가 5이하에서는 거의 없었다. pH 3.0인 산성비(황산:질산=2:1, $1,200mm\;year^{-1}$)의 유입에 따른 H이온의 유입은 $12kg\;ha^{-1}\;year^{-1}$, 산성비의 토양유입은 S와 N가 각각 128과 $56kg\;ha^{-1}{\cdot}year^{-1}$이었으며, 이를 중화할 수 있는 소석회의 양은 $444kg\;ha^{-1}\;year^{-1}$이지만 실제로 용탈된 염기는 소석회로 사양토 923, 양토 1,731, 식양토 $1,608kg\;ha^{-1}\;year^{-1}$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