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hydrolyzed soy sauc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2초

탈지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이용한 산분해간장의 양조 (Brewing of Acid-hydrolyzed Soy Sauce with Defatted Soybeans and Wheat Flour Koji)

  • 선성균;한은미;이택수;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2호
    • /
    • pp.147-152
    • /
    • 1987
  • 탈진대두와 밀가루 코오지를 산분해간장에 첨가하여 담금한 각 시험구 간장(시험구 A : 탈지대두와 밀가루 배합량이 동일한 대량 담금구, 시험구 B : 배합량이 A구와 같은 소량 담금구, 시험구 C : 탈지대두 6, 밀가루 4의 비율로 담금한 소량 담금구)의 숙성 과정중 각종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경시적으로 증가하였고, A구, B구, C구의 순으로 높았다. 환원당은 $20{\sim}40$일에 $12.13{\sim}15.76\;%$ 로 가장 높았고 120일에는 $10.75{\sim}12.40\;%$ 였으며 C구가 높았다. ethyl alcohol은 경시적으로 완만하게 증가되어 120일에 $0.45{\sim}1.23\;%$ 로 가장 높았고 B구와 C구가 높았다. 레블리린산은 담금 직후 A구에서 0.40% 였으나 100일에는 0.17% 로 저하되었고, B구와 C구는 당금 직후 $0.54{\sim}0.60\;%$ 였다. 젖산은 담금 직후보다 100일에 다소 증가되었으나 경시적으로 불규칙적인 변화를 보였고 A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lencine, alanine, phenylalanine이 모든 시험구에서 높았으나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은 낮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담금 직후보다 90일에 시험구 모두 증가되었고, B구, C구, A구의 순으로 높았다.

  • PDF

비만세포에서 시판 간장 유래 다당류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Commercial Kanjang on Mast Cells)

  • 고유진;이경란;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9-577
    • /
    • 2013
  • 간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최근 항암 효과, 항균작용, 항산화능, 항혈전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간장은 콩과 밀을 주요 원료로 사용한다. 콩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되는 다당류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발효가 끝난 후에도 간장에 잔존하게 되며 이것을 간장 유래 다당류(Kanjang polysaccharides, KPS)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산분해법과 양조법으로 제조된 시판 간장인 A~T의 20종의 투석물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고,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방출과 mRNA의 발현에 대한 KPS의 효과를 실험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RBL-2H3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자극된 HMC-1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염증성 cytokine인 IL-6, IL-8, TNF-${\alpha}$의 방출 및 mRN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특히, 양조간장으로부터 유래된 KPS는 산분해 간장보다 비만세포에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KPS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대구 Frame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효소분해간장의 제조 (preparation of Sauc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Cod Frame Protein)

  • 김세권;빅표잠;김규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5-64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거나 사료로 이용되고 잇는 대구 frame에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단백질로부터 쓴맛이 없는 효소분해 간장을 개발하기 위해 참치유문수 유래의 조효소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구 frame을 가수분해 시켰으며,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여 조미간장을 제조한 후 간 장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한외여과막을 사용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한 각각의 가 수분해물들은 25,000 kDa 이하에서 서로 유사한 분자량 분포를 보였으나, 분획에 사용된 막 의 한계분자량에 따라 분포 비율은 서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미노산의 조성분석에서도 각 가수분해물에 포함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1 K 가수분해물에 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분자량별로 분획된 TPCCE 가수분해물들의 관능평가 결과 1 K 가수분해물이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원 료로 하여 효소분해간장을 만들어 다시 관능평가한 실시한 결과, 1 K 가수분해물로 제조한 간장은 육단백질을 효소분해할 때 나타나는 쓴맛은 사라졌지만 시판용 간장과 맛의 비료평 가에서 약간 낮은 점수를 얻었다. 그러나 효소분해간장 원액을 시판 양조간장과 일정한 비 율로 섞어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을 때는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1 K 가수분해물로 제조한 효소분해간장과 양조간장을 일정비율로 혼합할 경우, 현재 시판되는 산분해 혼합간장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한국재래간장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CCKS-111이 생성하는 Protea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retense from Bacillus subtilis CCKS-111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 최청;최광수;조영제;임성일;김성;손준호;이희덕;김영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915-921
    • /
    • 1996
  • 한국재래간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CCKS-111이 생성하는 protease 생산의 최적 배양조건은 2% soluble starch, 0.2% peptone, 0.1%(MH$_4$)$_2$S$_2$O$_{8}$ , 0.2% MgSO$_4$, pH 7.0, 35$^{\circ}C$ 에서 24시간 배양했을 때이다. 효소의 최적 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 pH 6.0~11.0의 범위와 5$0^{\circ}C$이상에서 불안정하였다. 금속이온 중 Cu$^{2+}$에 의하여 활성이 증대되었으나 $K^{2+}$, Hg$^{2+}$등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Ethylenediamineteraacetic acid 와 phenylmethane sulfonyl fluoride 처리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어 금속이온의 영향을 받는 serine protease로 확인되었다. Km값은 2.313$\times$$10^{-4}$ M, V$_{max}$ 값은 39.216$\mu\textrm{g}$/min이었으며, hemoglobin보다 casein을 더 잘 가수분해하였다.

  • PDF

한국재래간장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이 생성하는 pretense의 특성 및 작용양상 (Characteristics and Action Pattern of Protease from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 in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 최광수;조영제;임성일;이선호;손준호;최희진;이희덕;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60-465
    • /
    • 1996
  • 한국재래간장으로 부터 분리한 Bacillus subtilis globigii CCKS-118가 생성하는 pretense 생산 최적조건은 2% soluble starch, 0.2% yeast extract, 0.1% $(NH_4)_2SO_4$, 0.2% $MgSO_4$, pH 7.5, $35^{\circ}C$에서 20시간이었다. 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6.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다. 금속이온중 $Cu^{2+}$에 의하여 활성이 증대되었으나 $Hg^{2+}$ 등에 의하여 효소활성이 저해되었다. Phenylmethylsuldonyl fluoride, ethylendiaminetetraacetic acid처리에 의해 활성이 저해되어 금속이온의 영향을 받는 serine pretense로 확인되었다. Km값은 $1.899{\times}10^{-4}M$, $V_{max}$값은 $34.36\;{\mu}g/min$이었으며, hemoglobin보다 casein을 더 잘 가수분해하였다.

  • PDF

식품 중 결합형 3-MCPD 오염실태조사 (Survey of Contaminants of Bound 3-MCPD in Food)

  • 강영운;박성국;서정혁;김동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9-293
    • /
    • 2010
  • 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과정 중 생성되는 3-MCPD (3-Monochloropropane-l,2-diol)는 식품 중 미량 존재하는 유해 물질로 우리나라에서는 산분해간장 빛 혼합간장과 산분해단백질 (HVP)에 기준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3-MCPD 지방산에스테르라고도 불리는 결합형 3-MCPD는 지방산과 글리세라이드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중간물질로서, 독일 연방위해 평가원(BfR)에서는 3-MCPD 지방산에스테르 자체의 독성이나 위해성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지만, 인체내에 식품형태로 들어가서 가수분해될 때 3-MCPD가 생성될 수 있으므로 저감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개발된 결합형 3-MCPD 분석법을 이용하여, 간장 등 장류 식품, 조미식품과 식육가공품 등 209건에 대해 결합형 3-MCPD 함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209건의 검체 중에서 장류의 경우 44건의 검체 중에서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2~0.28ppm), 스프 12건 종 8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1~0.96ppm). 소스는 60건 중 22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0.01~0.55ppm), 식육가공품의 경우 총 30건의 검체 중 1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다(0.04~0.l8ppm). 스낵과자에서는 28건 중 20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고(0.09~1.43ppm), 유탕면제품 10건 중 8건에서 검출되었다(0.04~1.22ppm). 견과류가공품 10건 중 6건에서 결합형 3-MCPD가 검출되었으며 (0.06~0.25ppm), 식물성크림에서는 15건 중 1건에서 결합형 3-MCPD가 0.05ppm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검출수준은 제외국과 비교할 때 낮은 수준이었다.

전통 장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opolysaccharide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 윤혜주;이유정;여수환;박혜영;박희동;백성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0-197
    • /
    • 2013
  • 전통 장류에서 점성물질을 분비하는 유산균을 분리하고 높은 활성을 보이는 N45-10, K6-7 및 N58-5의 3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한 3균주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N45-10은 Leuc. citreum, K6-7, N58-5는 Leu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산 저항성과 인공위액 저항성은 3균주 중에서 Leuc. citreum N45-10이 높은 생균수($10^5-10^6$ CFU/ml)를 나타내어 산 저항성과 인공위액 저항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인공 담즙 저항성은 Leuc. citreum N45-10은 높은 생균수($10^3-10^4$ CFU/ml)를 유지하여 담즙액 저항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3균주들 중에서 Leuc. citreum N45-10은 EPS 생성량이 가장 많았고, MRS 배지에서 배양하여 EPS가 생성되지 않았을 때보다 슈크로오스 배지에서 배양하여 EPS를 생성하였을 때 생균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EPS 생성이 유산균의 세포벽 주위에 보호막으로 작용한 결과로 생각된다. 선발 유산균 3주의 EPS 생산량은 슈크로오스 액체배지에서 각각 16.173, 8.167, 3.652 g/L였으며, Leuc. citreum N45-10은 글루코오스로만 이루어진 homo-polysaccharide, Leuc. mesenteroides K6-7과 N58-5는 프락토오스, 글루코오스로 구성된 hetero-polysaccharides로 동정되었다. 선발 유산균 3주 모두는 용혈 음성반응을 나타내고, 젤라틴 액화능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탈염된 참치 자숙액을 이용한 천연조미료 개발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using Desalinated Tuna Boiled Extract)

  • 김세권;변희국;전유진;주동식;김종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2
    • /
    • 1999
  • 탈염된 참치 자숙액 중에 함유되어 있는 정미성분 및 단백질등의 유용성분을 이용할 목적으로 막반응기 장치에서 자숙액을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분자량별로 분획하였으며, 그 가수분해물의 정미성을 검색하여 천연 복합조미료 및 조미간장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참치 자숙액 및 그 가수분해물의 주요 분자량은 9,800Da (TBH-10K TBEH-10K), 3,000 Da (TBE-5K TBEH-5K 및 TBE-1K) 및 990Da (TBE-1K TBEH-1K)으로 나타났다. 핵산관련물질 중에서 ATP 및 ADP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IMP의 함량이 23.75$\mu$mole/g 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inosine이 9.07 $\mu$mole/g이 였다. 분자량별로 분획된 자숙액 분말엑기스 및 가수분해물의 구성아미노산조성은 차이가 없었으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함량은 10K, 5K, 1K 순으로 증가하였다. 자숙액의 분말 엑기스중 TBEH-1K아미노산 함량은 glycine ($20.57\%$), glutamic acid ($13.26\%$), alanine ($9.38\%$), proline ($9.06\%$), aspartic acid ($7.35\%$)의 순으로 함량이 많았으며, 이들 아미노산 조성이 전체 아미노산의 약 $6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glycine, proline, alanine, serine의 함량은 약 $42\%$, 감칠맛과 신맛을 내는 아미노산 glutamic acid, aspartic acid의 함량은 $21\%$로 전체 아미노산의 $63\%$가 조미료 개발에 유용한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자숙액 가수분해물 중 TBEH-1K는 양호한 맛과 관련된 아미노산들의 함량이 약 $62\%$ 였다. 여러 가지 시판효소로 참치 자숙액을 가수분해시킨 가수분해물들은 관능평가에서 큰 차이는 볼 수 없었지만 분자량별로 분획한것 중에서 TBEH-lK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복합조미료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TBEH-1K는 SCS 및 BCS보다는 낮았지만 $5\%$ 유의수준내에서 관능적으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ACS보다는 좋은 평가를 얻었다. 그리고 자숙액 및 그 가수분해물로 제조된 조미간장 원액의 관능평가에서 TBEH-1K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TBEH-1K로 제조된 조미간장 원액과 양조간장을 50 : 50(v/v)로 혼합한 혼합간장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산분해 화학간장의 대체품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alysis of 3-MCPD and 1,3-DCP in Various Foodstuffs Using GC-MS

  • Kim, Wooseok;Jeong, Yun A;On, Jiwon;Choi, Ari;Lee, Jee-yeon;Lee, Joon Goo;Lee, Kwang-Geun;Pyo, Heesoo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3호
    • /
    • pp.313-319
    • /
    • 2015
  • 3-Monochloro-1,2-propanediol (3-MCPD) and 1,3-dichloro-2-propanol (1,3-DCP) are not only p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foodstuffs such as hydrolyzed vegetable proteins and soy sauce but are also formed by heat processing in the presence of fat and low water activity. 3-MCPD exists both in free and ester forms, and the ester form has been also detected in various foods. Free 3-MCPD and 1,3-DCP are classified as Group 2B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Although there is no data confirming the toxicity of either compound in humans, their toxicity was evidenced in animal experimentation or in vitro. Although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ree 3-MCPD has been shown to have neurotoxicity, reproductive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In contrast, 1,3-DCP only has mutagenic 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3-MCPD and 1,3-DCP in various food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3-MCPD and 1,3-DCP were analyzed using phenyl boronic acid derivatization and the liquid-liquid extraction method, respectively. The analytical method for 3-MCPD and 1,3-DCP was validated in terms of linearity,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accuracy and precision. Consequently, the LODs of 3-MCPD and 1,3-DCP in various matrices were identified to be in the ranges of 4.18~10.56 ng/g and 1.06~3.15 ng/g, respectively.

크릴간장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Krill Sauce)

  • 이응호;조순영;차용준;박향숙;권칠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7-106
    • /
    • 1984
  • 남대양(南大洋)에 다량 서식하고 있는 중요한 단백질자원(蛋白質資源)인 크릴을 보다 유효하게 식량(食糧)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크릴을 원료로 하여 그 자체에 존재하는 활성이 높은 자가소화효소(自家消化酵素)나 단백질분해효소(蛋白質分解酵素)로써 크릴간장 제조(製造)를 시도(試圖)하였다. 마쇄한 크릴에 동량(同量)의 물을 첨가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킬 때의 최적가수분해조건(最適加水分解條件) 및 저장안정성(貯藏安定性)을 검토(檢討)하고 아울려 제품의 정미성분(呈味成分)을 분석(分析)하였다. 자가소화(自家消化)에 의한 경우와 bromelain, complex enzyme을 첨가한 시료(試料) 모두 $52.5^{\circ}C$에서 최대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해시간(分解時間)은 3시간(時間)이 적합하였으며, 효소농도(醴素濃度)는 bromelain의 경우 0.5 %, complex enzyme은 5%가 가장 좋았다. 그리고 pH는 자가소화(自家消化)나 complex enzyme을 첨가하여 분해(分解)하였을 경우는 7.0${\sim}$7.5, bromelain을 첨가하여 분해(分解)하였을 때는 6.5부근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이와 같은 최적가수부해조건(最適加水分解條件)에서 크릴을 자가소화(自家消化)시킨 후 $100^{\circ}C$, 20 분간(分間) 불활성화한 다음 여과한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에 식염(食鹽)(10 %)과 벤조산(0.06%)이나 알코올(3 %)을 첨가하여 멸균한 유리병에 밀봉(貯減)한 결과 $37^{\circ}C$에서 한달간 저장(貯藏)하여도 화학적, 미생물적 및 관능적으로 안정하였다. 또한 관능적인 맛으로 보아 식염(食鹽) 10 % 중 5 % 정도까지는 나트륨염(鹽) 대신 칼륨염(鹽)을 대체 첨가할 수 있었다. 크릴간장의 단백질가수분해율(蛋白質加水分解率)은 자가소화법(自家消火法)인 경우 83.2%, bromelain 첨가구는 89.7%, complex enzyme 첨가구는 92.7 %이었다. 자가소화법(自家消化法), bromelain 또는 complex enzyme첨가에 의해 제조(製造) 된 크릴간장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중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rginine, leucine, proline, alanine 및 valine으로서 전 유리(遊離)아미노산(酸)에 대해 각각 58.8 %, 56.0 %, 55.3 %를 차지하였다. 그리고 전엑스분망(分望) 소(素)에 대하여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이 차지하는 비율은 각각 67.4 %,69.4%, 69.8 %이었다. 핵산관련물질(核酸關聯物質) 중 함량이 가장 많은 것은 hypoxanthine이었고, 다음이 5’-IMP였다. TMAO, betaine, 총 creatinine은 함량이 적었다. 관능검사결과(官能檢査結果) 자가소화(自家消化)시킨 크릴간장은 효소(酵素)처리한 것이나 재래식 콩간장에 비하여 품질 면에서 손색이 없고 저장성(貯藏性)이 좋은 크릴간장을 제조(製造)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