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content

검색결과 9,776건 처리시간 0.045초

김치 발효 숙성 중의 γ-aminobutyric acid (GABA) 및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 (Changes in the Levels of γ-Aminobutyric Acid and Free Amino Acids during Kimchi Fermentation)

  • 이혜현;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1-67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s of free amino acids and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gamma}$-aminobutyric acid (GABA)and L-glutamic acid contents in Kimchi during fermentation. During 2 weeks of fermentation, the acidity of Kinchi increased, i.e., the pH level decreased from 5.24 to 4.40. The content of amino acids determined using HPLC differed significantly (p < 0.05) during 7 weeks of fermentation. Over the 7 weeks of fermentation, the content of most free amino acids increased in the order L-valine > L-glutamic acid > L-glycine, except L-methionine decreased. Initially, the GABA content was found to be $72.43{\mu}M/100g$ fresh weight (fw), and it increased to $229.06{\mu}M/100g$ fw after 7 weeks. This rapid increase in the GABA content in the initial stage is considered to be due to L-glutamic acid.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0~7 weeks, no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L-glutamic acid and GABA contents.

알긴산의 화학적 조성 및 그 물성에 관한 연구(1) 감태 알긴산의 우론산 조성 (Uronic Acid Composition, Block Structure and Some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1) Uronic Acid Composition of Alginic Acid from Ecklonia cave)

  • 김동수;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91-397
    • /
    • 1984
  • The seasonal and portional variation in the composition of uronic acid of alginic acid from Eckionia cava was investigated.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the coast of Ieechun Illkwangmyun, Yangsangun, Kyungnam, Korea, in the period of January to December in 1982. In seasonal variation of the content of alginic acid, the range of variation was larger in the frond than in the stipe, It was the highest content in between February to April, and the lowest in between August to October, and the content was more in the stipe than in the frond. The uronic acid ratio(M/G ratio) was varied seasonaly in a relationship with the variation of the alginic acid content. The maximum M/G ratio appeared in the period of December to March and minimum May to August, and the average values of the M/G ratios in the periods were 3.08, 2.64 in the frond and 2.91, 1.39 in the stipe, respectively. Additively a year mean values were 3.22 in the frond and 2.18 in the stipe.

  • PDF

시중 닭튀김의 구성 지방산 조성 (Evaluation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Fried-chicken Sold in the Market)

  • 김영주;이기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00-605
    • /
    • 2009
  • 본 연구는 시판되는 닭튀김류의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함량 및 산가를 조사하기 위해 총 20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종의 닭튀김에서 추출된 지방함량은 $4.94{\sim}18.06%$의 다양한 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지방함량의 분포는 닭 자체의 지방함량이나 닭을 튀긴 기름의 종류, 튀김온도, 시간, 튀김옷의 성분차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한 차이라고 생각된다. 조사된 닭튀김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등이었다. 포화 지방산 중에서 palmitic acid($10.67{\sim}25.43%$)가 불포화지방산 중에서는 oleic acid($29.78{\sim}67.85%$)와 linoleic acid($8.42{\sim}39.54%$)가 가장 많았다. 식품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1 g 이하의 낮은 함량을 보여주었으며 닭튀김에 함유된 지방을 추출하여 산가를 측정한 결과 20종의 닭튀김의 결과치는 식품공전상 튀김식품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금 첨가량을 달리한 닭 육수의 아미노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Amino Acid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Stock by Different Salt Contents)

  • 김동석;김종석;성태종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74-28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금을 첨가한 표준화된 닭 육수 개발의 정확한 방향 제시를 하고자 고압 가열 추출 방식(HPEC: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을 적용하여 닭 육수 추출 방법을 실험적 연구로 표준화되고, 제품의 균일화를 이룬 대량 생산 제품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또한, 모든 음식맛의 기본인 소금을 첨가하여 아미노산의 조성과 관능적 특성을 통한 닭 육수에 대한 최적의 소금 농도를 확인하여 최적의 표준화 된 닭 육수를 만들고자 하였다. 소금 첨가량을 달리한 닭 육수의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소금을 0.3% 첨가한 S3가 가장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 맛난 맛 성분 아미노산, 그 밖의 아미노산 함량에 대하여 분리하여 알아 본 결과, 각 시료들에 대하여 총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수준 분포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맛난 맛 성분 아미노산의 총 함량이 전체 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 수준을 나타내었다. 소금의 첨가량에 따른 닭 육수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소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짠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짠맛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서는 유의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각각의 관능평가 요원들의 짠맛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로 보여지며, 또한 소금 첨가량이 단맛, 구수한 맛, 비린내, 색에 대하여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금을 0.3%를 첨가한 S3 시료는 맛난 맛 아미노산의 함량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구수한 맛에서 가장 높은 평가 결과를 보여 맛난 맛 아미노산과 구수한 맛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추측할 수 있었다.

  • PDF

Triglyceride의 세척성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 (Some Factors Effect on the Detergency of Triglyceride)

  • 이미식;김성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5-21
    • /
    • 1981
  • The effect of fatty acid content in oily soil and conditions of washing on the removal of triglyceride have been studied. Cotton lawn was soiled with the four-component soil-tripalmitin, palmitic acid, dodecyl alcohol and dodecane-and washed in constant temperature waterbath shaker. The detergency was estimated by analysis of triglyceride labelled carbon-14 on fabrics before and after washing by means of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It was shown that the detergency of triglyceride washed with the nonionic, nonylphenol poly (10)-ethylene oxide and soap was increased steadily with increasing temperature, whereas with the anionics Na-DBS and SLS, the detergency was rather decreased when the temperature was elevated above $40^{\circ}C$.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ee fatty acid content in soil on the removal of triglyceride, the fabrics were soiled altering palmitic acid content, and then washed. From the results, the detergency of triglyceride was developed with increasing free fatty acid content. With soils containing less than $30\%$ of free fatty acid, of the three detergents tested, the nonionic was by far the most effective soil removal. Soap was intermediate and the synthetic anionic was the poorest. With soil containing $45\%$ of free fatty acid, soap was the most effective soil removal. When NaOH was added to detergent solution. the detergency of triglyceride was improved without regard to detergents. The optimum alkalinity was obtained according to free fatty acid content. And the alkalinity changed to low NaOH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free fatty acid content.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major removal mechanisms of triglyceride containing oily soil were mesomorphic phase formation, solubilization and soap forma-tion when alkali was added in detergent solution.

  • PDF

모유 및 우유의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비교연구 (Amino Acid Composition of Human and Cow's Milk)

  • 고영수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55
    • /
    • 1986
  • The composition of human milk was compared with that of cow's milk. The contents of amino acids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utoanalyzer. The content of glutamic acid in cow's milk was three times as much as that in human milk. Th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 in human colostrum was twice as much as that in mature milk.

  • PDF

개갑처리기간에 따른 품종별 인삼종자의 지방산, 무기이온 및 사포닌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Minerals and Ginsenosides on Ginseng Seeds during Stratifying Treatment)

  • 이가순;성봉재;김선익;한승호;김현호;원준연;김관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6-413
    • /
    • 2015
  •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to fatty acid, mineral, and ginsenosides contents in ginseng seed when they were stratified for different length of time and to determine whether variety had any effects on the changes. The aim was to improve the ginseng seed stratification process. Methods and Results : The ginseng varieties used were Geumpoong, Chunpoong, Yunpoong, and K-1. Stratifying periods treated on ginseng seed were 0, 20, 40, 60, 80, and 100 days. The main fatty acids of ginseng seed were oleic acid (C18 : 1, n9c) with a content of 78.40 - 79.20% followed by linoleic acid (C18 : 2, n6c). The main mineral in the seeds was potassium (K), at 1208.2 -1337.6 mg/100 g. The main ginsenosides in ginseng seed were ginsenoside Re and Rb1.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tratification periods led to increases in oleic acid content (60 - 80 days), however after this the content declined. In contrast, linoleic acid content fell as the stratification period increased. K, P, Mg, Ca and Na content rose as the stratification period increased. The ginsenoside Re content of Chunpoong and K-1 cultivar seeds also rose as the stratification period increased which meant that total ginsenoside content increased. However, ginsenoside Re content rose in Geumpoong and Yunpoong seeds, but total ginsenoside content decreased as the stratification period increased. Conclusions : Some beneficial compound in ginseng seed rose as the stratification period increased. Therefore, ginseng seed stratification could improve the food value of ginseng.

축양품종 염절임 가지의 저장중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Chukyang)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0-125
    • /
    • 2005
  • 본 연구는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축양 품종의 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한 축양 품종의 가지를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고, 침지 저장한 것보다는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것이 변화가 적었다. 신선한 가지에서 분리 정량된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그리고 succinic acid 총 5종이었으며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지의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등이었으며, 총아미노산 함량은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20일째 1488.14 mg/100 g으로 생 가지보다도 증가하였는데 반해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745.42 mg/100 g으로서 저장 초기에 비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alanine, cystine과 pr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진공 포장하여 저장한 가지에 비해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주 phosphoserine, taurine, ${\gamma}$ -arnjnoisobutyric acid 및 hydroxypro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반해 ${\gamma}$ -arnjnoisobutyric acid는 증가하였다.

한국 재래식 메주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 손양도;최춘언;안봉전;손규목;최청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4호
    • /
    • pp.226-232
    • /
    • 1985
  • 재래식메주의 발효과정에 있어서 지질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은 분리하였으며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지한 콩과 삶은콩으로부터 얻은 조지질의 분획은 중성지질이 각각 92.47%, 92.35%이었으며, 인지질 및 당지질이 4.64%, 4.88%로 각각 나타났나. 발효과정중 중성지질은 80.59%까지 감소했으며, 당지질과 인지질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2. 침지한 콩과 삶은콩의 비극성 지질에서 triglyceride함량은 89.66%, 87.83%로 주류를 이루었고, sterol ester, free fatty acid, diglyceride 및 sterol이 발효과정중 그 함량이 증가한 반면, triglyceride는 크게 감소했다. 3. 침지한 콩과 삶은콩에서, 조지질, 증성지질, 당지질,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 $54{\sim}58%$, oleic acid $22{\sim}20%$, palmitic acid $10{\sim}12%$, stearic acid $3{\sim}5%$였으며 myristic acid는 trace로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과정 중 당지질에서 myristic acid가 발효 2주때 부터 나타나며 약 2%정도를 유지했다. 4. 메주 발효기간 동안 지방산 함량의 변화는 palmitic acid가 2주째 부터 점차 감소했다.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약간씩 감소했으며, linolenic acid는 인지질에서 크게 감소한 반면, 조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에서는 약간씩 증가했다. 5. 발효기간 동안 당지질 분획에서 myrist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은 3주째 최대치를 보였다. palmitic acid, stearic acid는 3주째 까지 증가한 후 차차 감소하였고 linoleic acid는 1주째 부터 6주까지 점차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