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scale

검색결과 328건 처리시간 0.022초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asteful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8권2호
    • /
    • pp.153-167
    • /
    • 2012
  • 본 연구는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관계를 바탕으로 서두름 행동의 5요인의 특성을 밝히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59세 이하 성인 207명이 서두름 행동 질문지와 A형 행동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A형 행동 질문지는 A형 행동 및 성격을 측정하는 기존 문항을 바탕으로 총 136개 문항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요인분석을 통해 6개 요인으로 이루어진 29개 문항으로 축소되었다. A형 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과제몰입, 활동성, 민첩성이 나타났다. 서두름 행동요인분석 결과, 서두름 행동은 기존 연구와 동일한 5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서두름 행동과 A형 행동의 상관분석 결과, 시간압력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실패불안, 과제몰입,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불편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과 고립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인내심부족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루함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와 활동성 및 민첩성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보상기대에서 나타나는 서두름 행동은 성공추구, 인내부족, 실패불안, 민첩성과 정적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nvestigation of mechanical surface treatment effect on the properties of titanium thin film

  • Ehsan Bazzaz;Abolfazl Darvizeh;Majid Alitavoli;Mehdi Yarmohammad Tooski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3-49
    • /
    • 2024
  • Using the mechanical treatments for mechanical properties improvement was rarely in the development scope before. This research approves through analytical ways that surface impacts can improve the quality of the surface significantly. This fact is approved for deposited titanium on silicone substrate. The new algorithm called minimum resultant error method (MREM) which is a direct combination of nanoindentation, FEM and dimensional analysis through a reverse method is utilized to extract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surface before and after impact. This method is extended to the time dependent behavior of the material to obtain strain rate coefficient. To implement this new approach, a new analysis technic is developed to define the residual stress field caused by surface impact as initial condition for nanoindentation. Analyzing the model in micro and macro scale at the same time was one of the main resolved challenges in this study. The result was obtaining of the constants of Johnson-Cook constitutive equation.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ating surface before and after impact shows high improvement in yield stress (34%), Elastic modulus (7.75%) and strain hardening coefficient (2.8%). The main achievement is that the strength improvement in titanium thin layer is much higher than bulk titanium. The yield strength shows 41.7% improvement for coated titanium comparing with 24% for bulk material. The rate of enhancement is about 6 times when it comes to the Young's modulus.

중학생의 인공지능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소비생활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r the Consumer Life Area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Literacy in Middle School Students)

  • 정유진;이경원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2권3호
    • /
    • pp.517-530
    • /
    • 202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home economics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consumer life area to enhance artificial intelligence (AI) literacy. To achieve this objective, a 10-session AI-consumer life integratio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literature on AI Literacy, AI curriculum, consumer education, and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consumer life area. The program's validity was assessed by nine teachers using a four-point Likert scale. The average scores for each item and the content validity index (CVI) were calculated. Based on expert feedback, the program was revised and improved accordingly. The expert validity assessment of the lesson plans, teaching materials and learning resources resulted in an average score of 3.78 for all items and an average CVI of 0.96. For the overall program, the expert validity assessment yielded an average score of 3.72 for all items and an average CVI of 0.97. Since the content validity index for all questions was above 0.78, the program demonstrated high validity across achievement standards integration, learning objectives,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motivation, and volume areas. This confirms its effectiveness as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AI literac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defining and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AI literacy, developing an AI-integrated program encompassing the entire consumer life area and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enhancing digital consumer competencies and promoting sustainable consumption.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potential to integrate AI into the home economics and consumer life area.

보건교육 전·후 대학 신입생과 재학생 간 건강증진행위, 자기효능감 비교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between New freshmen and University students before and after Health Education)

  • 김성수;이현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295-303
    • /
    • 2014
  • 본 연구는 충청지역 1개 대학에서 교양교과목으로 보건교육 과목을 수강한 기숙사 신입생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두 군간 보건교육 전 후 건강증진행위와 그 하위영역인 건강책임, 신체활동, 자아실현 및 스트레스관리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강생 115명에 대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3년 6월 12-13일 양일간이었다. 건강증진행위는 4점 척도로, 자아효능감은 5점 척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보건교육 전에 비해 보건교육 후의 점수 상승이 선행 연구의 일반대학생들보다 컸으며 이는 함께 숙식을 하는 친구들과의 단체생활이 보다 긍정적인 경쟁을 유도한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자기효능감 및 건강증진행위 하위영역인 스트레스관리에서 보건교육의 효과가 신입생, 재학생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입증되었다. 신입생과 재학생 간 비교 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항목은 '자기효능감'이었고 보건교육 전 후 모두 재학생이 신입생보다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숙사생 등 단체 숙식생활자에 대해서는 개별교육 보다는 단체교육을 시행하고, 보건교육 대상자 선정 시 자기효능감이 낮거나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학생 특히, 자기효능감이 재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입생에 대해 우선적으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더 좋은 교육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율동적 동작 훈련이 젊은 여성의 Wellness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the Wellness of young Women)

  • 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8
    • /
    • 1995
  • Exercises are achievement oriented, the process is frequently perceived as hard and difficult Participants drop out from exercise programs in the middle of the training period. Dance movement, which is the deliberate and systematic use of movement, is enjoyable during the movement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ersons to express them-selves. Regular long term dance movement may in-duce a training effect with a decreased drop out rate. Dance movement could be one way to attain wellnes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valuate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ance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limb circumference and strength, stress response and subjective feeling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 -post test study. Ten healthy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19 and 31 years volunteered for an eight week dance movement program. Ten healthy female subjects, between 19 and 21 years of age paticipated as controls. None of the subjects had performed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six months prior to the study. Dance movement was created with reference to Heber's movement guide. The Dance movement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30 minutes of dance, three days per week, for eight weeks. During each 30 minute work out, there were approximately 5 minutes of warm-up dancing, 20 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5 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at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muscle strength of upper and lower limb,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stress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ody weight was measured by digital weight scale(Kyung In Corp., Korea). Rest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y sphygmomanometer, Resting heart rate was measured for one minute in a relaxed sitting position using the radial artery.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was determined by tape measure. Muscle strength of the upper extremities was measured by a grip dynamometer (Takei Corp. No.1857, Japan) and that of the extremities was measured by the length of time the leg could be held at 45°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stress were measured using the Symptoms of Stress (SOS)Scale. Paticipants in the dance movement were interviewed by the facilitator following the eight weeks, and their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recorded.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rain-ing, bod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circumference of mid thigh and mid calf increased. The length of time leg - raising could be held tended to increase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Resting systolic and resting heart rat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otal mean score of stress response tended to de-crease, and mean score of habitual patterns, do-pression, anxiety / fear, anger and cognitive disorganization decreased remarkably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positive following the training.

  • PDF

가치 추구, 자연과의 연결감 및 행복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lues, nature-relatedness, and happiness)

  • 서지영;정영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3호
    • /
    • pp.313-342
    • /
    • 2016
  • 본 연구는 Schwartz의 가치이론에 근거한 가치형, 자연과의 연결감 및 다차원적 행복 측정치를 사용하여 대학생들(N=224)이 추구하는 가치와 자연과의 연결감이 행복의 측정치에 따라 어떤 관계 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행복의 개념을 확장하여 쾌락주의적 관점에서의 행복인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 자기실현적 관점에서의 행복인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안녕감, 그리고 한국형 토착행복 등 다양한 유형의 행복을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박애형, 자기주도형, 보편주의형, 자극추구형 가치들은 행복 지표들 중의 어느 하나와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성취형 가치는 삶의 만족과 부적상관, 자연과의 연결감은 모든 유형의 행복 측정치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학적 변인(성, 종교, 경제수준), 가치형, 자연과의 연결감은 행복의 유형에 따라 행복을 25%~36%정도 설명하였으며, 가치형과 자연과의 연결감이 추가되면 행복에 대한 설명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치는 삶의 만족, 긍정정서, 토착형 행복, 사회적 안녕감 보다는 심리적 안녕감의 예언에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박애형 가치, 자기주도형 가치, 그리고 자연과의 연결감은 일관되게 여러 유형의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국민 행복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박애와 자기주도와 같은 건전한 가치의 확산과 일상생활에서 자연과의 연결기회 제공 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경련 질환 환아의 정신병리와 신경학적 요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SYCHOPATHOLOGY AND NEUROLOGICAL FACTORS IN CHRONIC EPILEPTIC CHILDREN)

  • 김붕년;조수철;황용승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92-109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정상 지능 범위의 만성 특발성 경련 질환으로 치료중인 40명의 환아군과, 나이, 성별, 학업 성적, 지능 지수를 일치시킨 3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외를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가 확인된 평가 도구들인, 부모용 아동 행동 조사표(Child Behavior Checklist)의 한국판, DSM-III-R에 따른 파탄적 행동 장애 척도(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scale according to DBM-III-R)의 한국판, 예일 아동 평가표(Yale children's inventory)의 한국판, 소아 우울 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의 한국촌, 소아용 상태 및 특성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의 한국판, 피어스-해리스 자기 개념 척도(Piers-Harris self-concept questionnaire)의 한국판. 가정 환경 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의 한국판, 간이 정신진단 검사(Symptom check-list-90)의 한국판, 경련질환에 대한 부모태도 척도(Parent's attitude to epilepsy questionnaire)의 한국판, 아동 의존척도(self-administered dependency questionnaire)의 한국판을 사용하였고, 이들 결과로 부터 얻은 자료의 일부인 환아의 정신병리 부분과 경련 질환의 신경과적인 변수들인 환아의 성별 및 나이, 경련 질환 발병시 나이와 유병기간, 경련질환의 임상적 유형, 뇌파의 유형 최근 6개월간의 경련 빈도, 항경련 약물 치료력과 그 반응등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위에서 얻은 자료들을 토대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환아의 우울과 관계된 위험 요인은, 조기 발병(early onset), 복합성 부분 간질(complex partial seizure), 뇌파상 편측성 측두엽 이상(lateralized temporal focal abnormality in EEG), 약물 병합 투여(drug polypharmacy), 고 빈도 경련(high seizure frequency)임을 알 수 있었고, 이들 위험요인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었다.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높은 연령. 뇌파상 편측성 측두엽 이상, 고 빈도 경련이었고, 학습 및 언어적 문제와 관련이 있는 위험 요인은 환아의 어린나이, 조기 발병, 복합성 부분 간질, 고빈도 경련 등이었다.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와 반항 및 품행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은 남성, 어린 나이, 조기 발병, 뇌파상 편측성 측두엽 이상, 고 빈도 경련등이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울, 불안, 품행장애 및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에 공통적으로 관계되는 위험요인은, 뇌파상 편측성 측두엽 이상, 고 빈도 경련이라는 겻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를 통해서는 신경학적 요인이외에 가족 및 사회-인구학적 위험 요인을 찾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종합적 위험 요인 평가 작업과 치료적 대안을 제시하는 후속 작업이 지속 되어야 할 것 이다.

  • PDF

HSPF를 이용한 농업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예측 (Predicting the Effects of Agriculture Non-point Sources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on the Stream Water Quality using HSPF)

  • 이경석;이동훈;안영미;강주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10
    • /
    • 2023
  •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타 지역에 비해 넓은 면적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발생원 제어와 배출수 관리와 같은 다양한 오염원 저감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한 오염원별 배출량 및 최적관리방안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HSPF)모델을 활용하여 유역내 오염원별 부하 및 주요 오염원저감방안에 대한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여 농업지역의 비점오염관리대책 수립 지원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지역은 경남 창녕군 계성천 유역으로 전체 면적대비 농업지역이 약 26.13%로 산림을 제외하고 지배적인 토지이용을 가지며, 주요 오염원은 농업활동에 기인하는 화학비료 및 액비살포와 축사에서 발생하여 야적 또는 농지에 살포되는 축분을 포함하고 있다. 계성천 유역에 대한 HSPF 모델 구축시 화학비료와 액비 사용량, 소규모 축사의 축분 발생량과 공공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마을하수도 및 개인오수처리시설 등 점오염원 영향을 고려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영양염류의 식생흡수, 침적, 흡탈착, 깊은침투에 의한 손실 등 상세 순환기작모의가 가능하도록 NITR 및 PHOS모듈을 활용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유역말단의 2015~2020년 측정값을 토대로 보·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델이 유량 및 수질을 적절히 모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염저감시나리오는 농업비점관리(배수물꼬관리, 완효성비료와 사용), 축산비점관리(액비저감, 소규모 축사 축분관리), 생활계오염원제어(개인오수처리시설 관리) 등 세 부문으로 구분하고, 달성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및 장기로 구분하여 부문별로 단계별 저감대책을 구성하였다. 개별시나리오 모의 결과 수질개선에 효과는 완효성비료의 대체사용>배수물꼬관리>소규모축사 축분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유역 전반에 모든 관리방안을 적용하였을 때 장기적으로 TN, TP의 연간부하량은 각각 40.6%, 41.1%, 연평균 농도는 각각 35.1%, 29.2%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업활동 우세 유역에서의 다양한 오염원 저감시나리오별 수질개선효과에 대한 예측 및 이에 기반한 오염관리대책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합리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핵심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in Response to on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SMEs to Dynamic Core Competencies and Business Performance)

  • 안중기;김범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63-77
    • /
    • 2018
  • 최근 급변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융복합 산업의 시대와 기술의 진보가 모든 기업을 단일 기업으로 해결할 수 없는 시대로 접어들면서 기업 단위의 경쟁보다는 네트워크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 경쟁적 기업 환경에서는 기업의 개별적 노력뿐만 아니라 파트너들과의 발전적인 상호 혁신활동을 통해 서로의 성과를 높이는 노력이 절실하다. 최근 핵심 역량이나 혁신활동을 통해 기업의 연구와 운용에 활용 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성과에 도출하지 못하는 기업들이 존재함에 주목하여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대 중소기업농어업협력재단에서 수행하는 "생산성혁신파트너십사업"에 참여하는 경영자 또는 책임자를 대상으로 혁신활동이 핵심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변수의 세부 요인별로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항목을 발췌하여 검정하였으며,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핵심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혁신활동을 매개변수로 핵심역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검정하였다. 혁신활동의 매개 효과에 대한 검정에서 이러한 중소기업의 혁신활동(대기업과의 기술, 제조, 경영혁신 활동)이 생산성혁신 파트너십을 통해서 핵심역량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소기업 스스로의 역량으로는 기업성과를 이루기가 어려우며, 대기업과 협력관계를 활용한 혁신활동의 매개적인 역할이 기업성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혁신활동은 무엇보다 중요한 이슈이며, 실증분석을 통해 이를 검정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의의라고 말할 수 있다.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Organizational Change Readiness Scale)

  • 조윤성;홍아정
    • 산업혁신연구
    • /
    • 제35권3호
    • /
    • pp.25-64
    • /
    • 2019
  • 조직변화는 조직의 생존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조직 현상이다. 따라서 조직이 환경의 압력에 적응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은 조직의 핵심 의사결정 영역에 속하는 행위로간주된다. 실제로 조직개발, 조직변화와 같은 별도의 학문이 정립되고 다수의 조직변화 단계 모형에 제시되면서 조직변화 성취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개진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직변화 성공률은 20-25%에 불과하며, 대부분 실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변화 실패 원인을 구명한 다양한 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는 핵심적 사항 중 하나는 조직변화에대한 준비 정도이며, 이와 관련하여 조직변화준비도는 조직변화 성취를 담보할 수 있는 필수 구인으로 각광받고 있다. 한편, 조직변화에 대한 준비도를 생성하기 위한 전략적 방안은 현 조직의 조직변화준비도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성공적 조직변화 도입과 실행을 위해보완, 충족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 간 개발된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를 수집하고 특성을 파악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 개발과 관련된 연구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각 문헌에서 제시된 측정도구에 대하여 기술적 영역과 심리측정학적 영역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 개발 문헌을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 고찰(systemic literature review)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는 실제 조직변화준비도 개념영역 중 특정 차원에 한정하여 측정이 되고 있었으며, 심리측정학적 특성 분석 결과에서도 대부분 낮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였다. 따라서 국내 조직을 대상으로 조직변화준비도 수준을 측정할 경우 선행적으로 측정영역(심리차원/구조차원)을 사전에 특정하는 한편 심리측정학적 근거가 비교적 높은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더 나아가 최근 논의되고 있는 조직변화준비도의 포괄적개념을 고려하며, 동시에 신뢰도와 타당도 근거가 우수한 국내 조직 맥락의 조직변화준비도 측정도구 개발이 요청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