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in science

검색결과 1,785건 처리시간 0.024초

과학 교육 평가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들의 성취 불일치 사례 -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를 중심으로 - (Cases of Discrepancy in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Focusing on Testing Tool in Affective Area)

  • 정수임;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91-909
    • /
    • 2017
  • 이 연구는 과학 교육 현장에서 인지적 정의적 평가를 중심으로 한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불일치 사례를 분석했다. 308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 성취도와 정의적 성취도를 양적 자료로 수집했고, 그 중 33명의 학생을 면담한 질적자료를 분석했다. 주로 검사 도구의 측면에서 불일치 사례의 원인과 유형을 고찰했다. 연구 결과 양적 자료인 인지적 성취와 정의적 성취 영역 각각에서 과목별, 구인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 학생들이 상당수 있었고, 특히 두 영역 간 성취도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학생들도 20% 이상 분석되었다. 선택한 진로와 진학을 위해 의도적으로 과학 학습을 조절한 사례, 학교 과학과 과학에 대한 인식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 등의 사례가 면담을 통해 발견되었다. 도구로 측정한 양적 자료와 학생들의 면담 내용인 질적 자료를 비교한 결과 스스로 반응한 양적 자료와 다르게 자신을 평가하는 학생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다양한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검사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다. 검사 도구와 관련된 불일치 유형은 '문항 개발자가 의도한 개념과 학생들이 이해하는 개념 간 차이'와 '표현된 반응과 속마음 간의 차이'로 나타났다. 검사 도구에서 사용한 용어가 학생들에게 모호하게 인식될 때 자의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반응하는 경우가 전자에, 사회적 바람직성이나 자아 방어 기제에 의한 반응 왜곡은 후자에 해당한다. 이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가 학생들의 실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정교화하려는 노력, 학습 경험을 획일적으로 고정시키는 평가 개선 등이 필요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학업성취도의 성별차이 (Gender Differences among 9th Grade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cience)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38-14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과학 성취도가 성별에 따라 어떤 차별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중학교 3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도의 성별차이, 성별 성취수준 비율,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성별 정답률 차이, 내용영역에 따른 문항별 정답률 중 성별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는 것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성취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우수학력에는 남학생 비율이, 중위권 집단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기초학력미달에는 남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내용영역 중 물질, 생명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으며, 행동영역에서는 지식과 탐구영역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다. 넷째, 성별 정답률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자료를 해석하는 문항의 경우, 여학생은 규칙을 기억해야 하는 문항, 일상생활과 관련된 친숙한 문항의 경우에서 정답률이 높았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중학교 남녀의 성별 특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약점을 보완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과학사 도입 수업이 과학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7학년 '생명'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Instruction using Science History on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 강경희;허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765-7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도입한 과학 수업이 전통적인 수업과 비교하여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성취도와 태도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과학사를 도입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받은 통제집단간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따라서는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 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수업은 과학 성취도와 태도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교수-학습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이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 김정선;강호감;임희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382-38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al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ix stages for problem-based learning were applied: Orientation, Presenting problems and the process of learning, preliminary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sharing results, and wrapping up/evaluating. The subjects were 74 students in two six-grade classes in Gyeonggi province.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students who were engaged in problem-based learning showed better progress in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Seco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experimental group were better than traditional group.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PDF

고등학생들의 그래프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y to Science-Process Skill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태선;고수경;김범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624-633
    • /
    • 2005
  • 본 연구는 그래프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학업 성취도의 상관 관계를 알아본 것이다. 그래프 능력과 과학 탐구 능력인 정적인 .41의 상관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그래프 능력은 과학 학업 성취도와 거의 통계적으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래프는 과학 학습에서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이다. 또한 그래프 능력은 과학 탐구 능력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그래프 능력의 부족한 부분을 신장시켜 과학 학습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해야 될 것이다.

비계 설정으로서의 언어적 비유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as Scaffold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 여상인;이주연;신명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507-51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Students consolidated lessons by making short sentences with core words that a teacher gave for scaffolding instruction. Many researches about analogies have been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m considered analogy as learning tools, whereas this research considers analogy as a cognitive process. To see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two groups were selected from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working with the student-generated verbal analogy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with teacher-centered and textbook-centered activitie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retention were tested after the treated lessons.

  • PDF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한 초등 과학 수업이 메타인지, 과학 학습 동기,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on the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 배진호;옥수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4호
    • /
    • pp.519-52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 on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ience learning. The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that is applied to this study was comprised of 5 stages, 'introduction', 'inquiry activity', 'small group emergent activity', 'large group emergent activity', 'conclusion and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pplying the learning model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to the experimental group l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regarding metacognition, especifically those of declarative knowledge. And meaningful difference was drawn from the results of all elements in the lower category of regulation of cogn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regarding learning motive, especially those of attention, relation, and self-confidence. Third, after applying the learning model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to the science clas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test.

  • PDF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 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Smart Personalized Assessment(SPA) System for Using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 손준호;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 system using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in earth science classes in order to discuss its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otal management system, app for teachers, and app for students. This research was practiced to 76 students in 5th grad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ed by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ing achievement. However, as for learning achievement long 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no effect. Secondly,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s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of improving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As for self-directed long-term endurance test, the group taking a class using app for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had an effect. In conclusion, I hope that this SPA system might apply to the science classes as it is a system that will satisfy the need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giving much needed feedback to students.

중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작성 과정에서의 오류 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Types of Errors in Science Graph Construction Proce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유정;문세정;강훈식;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8-178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실험 결과를 그래프로 작성하는 과정에서 범하는 오류들을 과학 학업 성취도에 따라 조사했다. 중학교 1학년 145명을 대상으로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에 대한 그래프 작성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래프작성 과정에서 많은 오류를 보였으며, '변수의 잘못된 해석', '그래프 기본 요소의 잘못된 표기', '자료의 잘못된 사용'범주에서 총 12가지의 오류 유형이 나타났다. '막대그래프로 표현', '자료제시 순서대로 눈금 표기'오류 유형에서는 과학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에 비해 낮은 학생들의 발생 비율이 높았지만, '독립 종속 변수 반대로 표기', '자료 추가', '자료 삭제'오류 유형에서는 그 반대였고, 나머지 오류 유형에서는 과학 학업 성취도에 따른 발생 비율 차이가 작았다.

신뢰성 이론을 이용한 공급 사슬 시스템 분석에 관한 연구 (A Methodology for Analysis of Supply Chain System using Reliability Theory)

  • 조민관;이영해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7-260
    • /
    • 2001
  • The primary objective of Supply Chain Management (SCM) is to optimize the cash, material and information flow considering all components of Supply Chain (SC) . The plan, established for achieving such objective, is called Supply Chain Planning (SCP) . This SCP gives each SC component specific volume or operation task, should be done in specific due date, for optimizing SC. In detail,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for SCP, depends on the SCP achievement of each SC components, is very close to successful SCM. However, this achievement is affected by uncertainties about time and volume. In general, reliability concepts means the probability that a product or system will perform its specified function under prescribed conditions without failure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concept of Supply Chain Reliability (SCR) and an analytic methodology to calculate the degree of achievement SCP using reliability concept are proposed in this paper. SCR means that the degree of achievement for SCP considering all SC components in due date. SCR can be used to measure the performance of whole supply chain and indicate the direction of SC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