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ic acid

검색결과 2,973건 처리시간 0.035초

초산과 구연산의 조합이 사골로부터 칼슘과 인의 용출에 미치는 영향 (Combination effect of acetic acid and citric acid on calcium and phosphorus extraction from shank bone)

  • 김동청;원선임;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19-22
    • /
    • 2017
  • 사골로부터 칼슘과 인의 용출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칼슘의 흡수에 효과적인 비율로 칼슘과 인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초산과 구연산의 혼합효과를 조사하였다. 사골에 구연산과 초산을 각각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결과, 구연산은 사골로부터 칼슘과 인을 유사하게 용출시키나, 초산은 인보다 칼슘을 선택적으로 용출시켰다. 초산 0.2 %와 구연산 0.1 %를 혼합하여 제조한 추출물은 초산 0.2 %의 결과에 비하여 칼슘의 용출량은 약 30 %($26.89{\rightarrow}34.22mg$) 증가하였으나 인의 용출량은 약 400 % ($3.57{\rightarrow}18.45mg$) 증가하였으며, 칼슘과 인의 비율은 7.53에서 1.85로 크게 개선되었다. 관능평가에서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0.2 % 초산+0.1 % 구연산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가 증류수와 0.2 % 초산을 사용한 시료보다 우수하였다.

막걸리 종초 제조에 적합한 초산균의 분리 및 발효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Producing "Makgeolli Seed-Vinegar")

  • 이혜빈;오현화;정도연;전현일;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0호
    • /
    • pp.1216-1224
    • /
    • 2017
  • 자연발효식초로부터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한 10종의 균주를 분리한 후 에탄올 저항성과 아황산 저항성을 평가하였고,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균주를 동정한 다음 명명하였다. 분리 동정된 10종의 균주 중 식품원료 사용 가능 균주인 Acetobacter pasteurianus는 8종으로 확인되었다. A. pasteurianus 8종 중 에탄올 저항성이 우수한 JAC002, JAC005, JAC008의 세 균주를 이용하여 막걸리 종초를 제조하였다. 진탕배양($30^{\circ}C$, 120 rpm) 조건에서 2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막걸리 종초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과 유기산의 변화,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선발 균주 중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는 발효 20일 경과 후 총산도 4.21%, acetic acid 함량 3,791.77 mg%, 에탄올 소모량 2,931.78 mg%로 대조구나 다른 초산균에 비해 에탄올의 acetic acid 전환능이 우수하였다. 식품유해 지표균인 Staphylococcus aureus(KACC1927)와 Escherichia coli(KACC 10115)에 대한 항균 활성은 A. pasteurianus JAC002 균주가 접종된 막걸리 종초의 발효기간이 20일까지 경과했을 때 acetic acid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A. pasteurianus JAC002 균주를 막걸리 종초 제조를 위한 종균으로 사용하였을 때 acetic acid 생성능이 우수하여 우점화가 유리하며 에탄올로부터 acetic acid로의 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막걸리 종초를 사용하여 다양한 원료의 식초를 제조한다면 식초의 풍미를 유지하면서 기능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구리냄비의 구리용출에 미치는 산성조미료의 영향 (The Effect on Copper Dissolution from Copper Cookware by Acid Condiments)

  • 한재숙;최영희;김명선;송주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39-244
    • /
    • 2000
  • Effects of acetic acid, malic acid and citric acid on copper dissolution from new and used copper saucepan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0, 0.02. 0.04, 0.1 0.2, 0.4, 1.0, 2.0, 4.0%), different boiling times (0,10, 20. 30, 40, 50, 60mins.), and different temperatures (5, 20, 40, 60, 80, 10$0^{\circ}C$ ) were investigated. As acetic acid concentration increases, copper content increases. Copper dissolution concentration from copper saucepans at boiling in malic acid increases more than in acetic acid or citric acid. At above 6$0^{\circ}C$, as the temperature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opper dissolved from copper saucepans also increases. As boiling time increases, the concentration of copper dissolved from copper saucepans also increases. In addition, through repeated use, the concentration of copper increases as well. And copper concentration dissolves in large amounts from used saucepans rather than new saucepans. The dissolution of copper with distilled water by repeated use does not dissolve at all. 1% acetic acid dissolves in large quantities.

  • PDF

2-치환-1-Cyclohexenyl-1-acetic acid의 브롬락톤화 반응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

  • 주상섭
    • 약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6-210
    • /
    • 1989
  • Bromolactonization of 2-Substituted-1-cyclohexenyl-1-acetic acid (1) with 1,3-dibromo-5,5-dimethylhydantoin (dibromantin) in N,N-dimethylformamide gave the corresponding ${\gamma}-bromo-{\beta}-lactone$ (2) and ${\beta}-bromo-{\gamma}-lactone$ (3). The effect of the substituents,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solvent on the regioselectivity was discussed.

  • PDF

2단계 발효에 의한 현미식초와 시판현미식초의 품질 비교 (The quality Comparison of Uncleaned Rice Vinegar by Two Stages Fermentation with Commercial Uncleaned Rice Vinegar)

  • 정용진;서지형;정소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374-379
    • /
    • 1998
  • 알콜발효 및 초산발효의 2단계 발효에 의해 현미식초를 제조하였을 때 1단계 알콜발효의 알콜 함량은 10.8%이었고, 2단계 초산발효의 총산함량은 5.78%이었다. 2단계 발효 현미식초의 산도와 pH는 시판 현미식초에 비해 높았고, 색도 중 명도는 4개사의 제품보다 낮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반대현상이다. 유기산의 함량은 acetic acid 이외에 malic, citric acid, tartar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각 유기산의 함량은 제품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2단계 발효식초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99.7${\mu}\ell$/ml이었으며, 시판 4개사의 제품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 PDF

유기산 및 초음파 병용처리된 전해수를 이용한 들깻잎 중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의 저감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on Perilla Leaves)

  • 김세리;오기원;이명희;정찬식;이서현;박선자;박정현;류경열;김병석;김두호;윤종철;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4-270
    • /
    • 2012
  • 본 연구는 들깻잎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해수의 세척 효과를 검정하고 아울러 전해수와 유기산, 초음파 병용처리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병용처리할 유기산을 선정하기 위하여 acetic acid, citric acid, maleic acid를 전해수 100 ppm에 2%씩 첨가하고 약 8.0 log CFU/mL 의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와 반응시켰다. 세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높아 첨가 농도별 저해 효과를 분석하고자 0.5, 1.0, 1.5, 2.0%씩 100 ppm 전해수에 첨가하고 배양액과 들깻잎표면에서 식중독세균 저감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100 ppm 전해수와 초음파 (25 KHz), 100 ppm 전해수, 0.5% acetic acid, 초음파를 병용처리를 하였다. 세 종류의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상승효과가 가장 탁월하였고, B. cereus, S. Typhimurium은 acetic acid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 저감효과도 높아졌으며 2.0% 첨가시 약 1.0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다.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2.08 $log_{10}$ CFU/g감소)에 비하여 1.5%까지는 상승효과가 없었지만 2.0% 결합처리에서 0.68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한편, 들깻잎은 acetic acid의 첨가량이 0.5% 이상일 경우 변색되기 때문에 0.5% 이상 첨가하는 것은 품질적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해수와 초음파를 병용처리하였을 때, 들깻잎 중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는 전해수 단독처리보다 0.72, 0.51, 0.42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고, 전해수, 초음파, 0.5% acetic acid 병용처리에 의해 0.95, 1.23 $log_{10}$ CFU/g의 상승효과가 관찰되었으나 S. aureus의 경우 전해수 단독처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들깻잎 중 식중독세균의 저감화를 위하여 전해수, 0.5% acetic acid와 초음파 병용처리가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의 저해를 조절하기 위한 Escherichia coli의 전기투석배양 (Control of Organic Acid Inhibition in Escherichia coli Culture with Eledtroudialysis)

  • 김인호;윤태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47-754
    • /
    • 1995
  • E. coli growth is inhibited by organic acids produced in the broth. In order to reduce the inhibition, an electrodialysis unit was used. Model solutions (acetic acid plus distilled water or M-9 medium) were tested in the unit for investigating the optimum condition of current and voltage. Electrodialysis cultures were performed with the optimum condition where the highest current efficiency could be attained. The distilled water plus acetic acid gave us a higher current efficiency than the M-9 plus acetic acid. Electrodialysis efficiently removed acetic acid and so enhanced the specific growth rate of E. coli compared with the control experiment without clectrodialysis.

  • PDF

초산균에 따른 감자식초의 품질 비교 (Quality Comparison of Potato Vinegars Produced by Various Acetobacter Bacteria)

  • 서지형;정용진;김주남;우철주;윤성란;김대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0-65
    • /
    • 2001
  • 초산균을 달리하여 제조한 감자식초의 품질을 상호 비교하여, 초산균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감자식초에 대한 pH는 2.90∼3.09, 총산 함량은 5.30∼5.60%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cetobacter sp. PA96을 이용한 감자식초(II)의 색상은 감자식초(I, III)과 구별되었다. 또한 acetic acid를 제외한 유기산 조성은 Acetobacter sp. PA97을 이용한 감자식초(I)에서 citric acid, oxalic acid, succinic acid, Acetobacter pasterianus JK99를 이용한(감자식초 III)에서 lactic acid, Acetobacter sp. PA96을 이용한 감자식초(II)에서 magic acid 비율이 높았다. 3종의 감자식초에서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histidine, proline 등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주요 휘발성 성분으로는 acetic acid, isoamyl acetate, isobutyl acetate, 3-methyl-1-butanol, 3-methyl-butanoic acid, phenethyl alcohol 등이 확인되었고, 초산균에 따라 구성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 PDF

Production of Weak Acid by Anaerobic Fermentation of Soil and Antifungal Effect

  • Kim, Hong-Lim;Jung, Bong-Nam;Sohn, Bo-Ky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4호
    • /
    • pp.691-694
    • /
    • 2007
  •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were produced by the anaerobic fermentation of soil mixed with wheat or rice bran.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produced in the wheat and rice bran-treated soil was 31.2mM and 8mM, respectively, whereas the concentration of butyric acid in the wheat and rice bran-treated soil was 25.0mM and 8mM, respectively. The minimal fungicidal concentration (MFC) for all the fungal strains was 40-60mM acetic acid, 20-40mM butyric acid, and 40-60mM mixture of acetic acid: butyric acid (1:1, v/v). Consequently, the efficacy of mixing wheat-bran with soil to control soil diseases was demonstrated.

재조합된 대장균의 세포성장에 미치는 저해제의 영향 (Effects of Inhibitor Concentrations on the Growth of Recombinant E. chli)

  • 차월석;나재운이동병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132-139
    • /
    • 1996
  • 재조합 대장균의 성장과 그 부산물 생성 관계를 알기위하여 탄소원을 glucose로하여 d-cycloserine, acetic acid 첨가에 따른 각각의 영향들을 검토하였다. 세포벽에 자극을 주는 d-cycloserine을 초기 농도 $0.1g/\ell$ 로 첨가하면 첨가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세포 성장이 93% 증가 했고 ${\alpha}$-amylase 생성은 5 5%정도 분비가 촉진 되였다. 그러나 d -cycloserine 초기 농도 $0.2g/\ell$로 첨가하면 세포와 a-amylase 아주 적게 생성되었다. 또한 d-cycloserine을 첨가하면 부산물에 lactic acid 생성에는 영향이 없으나 acetic acid는 적게 생성되었다. 그러므로 d­c cycloserine과 같은 자극제를 적당히 첨가하면 세포 성장 및 ${\alpha}$-amylase 분비가 촉진되지만 너무 많이 첨가 면 저해 작용이 얼어남을 알 수 있다. 저해제 acetic acid는 세포 성장에 작용을 주는 결과를 보였고 acetic acid의 농도가 높지 않는 상 태에서 lactic acid의 생성은 높은 양으로 생성 되엣 다. 이상의 결과에서 lactic acid를 적게 나오게 하 는것은 세포 수율에 큰영향을 주며 acetic acid가 척게 생성되면 성장에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상의 전체적인 결과는 세포 성장과 부산물 생성 상태를 고려할때 d -cycloserine은 초기 농도 $0.1g/\ell$ 정도 첨가하고 저해제 acetic acid의 생성을 적게 하는 배양방법을 검토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