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uracy of survey

검색결과 1,064건 처리시간 0.031초

해상기상정보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설문조사분석 (Survey Research Analysis for Enhancing the Utilization Level of Marine Meteorological Information)

  • 박종길;정우식;김은별;최수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095-1104
    • /
    • 2011
  • A survey of professionals employed in marine related fields was conducted on subjects related to marine meteorological forecasts and special reports. The outcome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zones related to marine meteorological forecasts and special reports and with the number of forecast factors, but in regards to the questions about specific adjustment method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perceived a need for adjustment. In addition, although there was a high consensus among the respondents that the criteria for watch and warning in the marine special reports were suitable, they voiced the opinion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implement changes in the current criteria for watch and warning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compatibility of the criteria. The survey found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utilization for the marine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and that respondents mostly acquired this information via internet and TV.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the accuracy of the marine meteorological information was low in comparison to the utilization level. The survey regarding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forecasts and special reports also indicated that the need for 'improvement in the accuracy of forecasts' was cited most frequently.

LX 대한지적공사 위성측위 인프라 구축 및 네트워크 실시간 이동측위 성능 분석 (Establishment of LX GNSS Network and Accuracy Analysis of Network Real Time Kinematic)

  • 하지현;김현호;김재복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46-554
    • /
    • 2014
  • 대한지적공사 공간정보연구원에서는 네트워크 RTK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국에 30개소의 LX 위성측위 인프라를 구축하고 MAC 기반의 네트워크 RTK 서비스를 시험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LX 위성측위 인프라의 구축 현황을 소개하고 MAC 기반의 네트워크 RTK 서비스의 측위 성능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하여 임시 고정점을 설치하고 국토지리정보원의 VRS와 동시관측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인프라는 동서, 남북 방향으로 평균 $1{\sim}2{\pm}1cm$ 차이를 보였으며, 초기화 시간도 10초 이내에서 근소한 차이를 보였다.

네트워크 RTK 무인기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of Aerial Triangulation of Network RTK UAV)

  • 한수희;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663-67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건물이 혼재한 준 도심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재해를 가정하여 네트워크 RTK (Real Time Kinematic) 측위가 가능한 무인기를 이용한 항공삼각측량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점 측위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검사점을 건물의 옥상에 설치하여 네 시간 이상의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적 측위를 수행하였다. 객관적인 정확도 평가를 위해 소프트웨어에서 자동으로 인식 가능한 코드화된 대공 타겟을 사용하였다. 무인기에서는 네트워크 RTK 측위의 일종인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 취득 당시 카메라의 3차원 좌표를 측정하였고,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와 짐벌 회전각 측정을 통해 카메라의 3축 회전각을 측정하였다. Agisoft Metashape를 이용하여 내·외부 표정요소를 추정·갱신한 결과, 항공삼각측량의 3차원 RMSE (Root Mean Square Error)는 영상의 중복도와 촬영 각도의 조합에 따라 크게는 0.153 m에서 작게는 0.102 m로 나타났다. 더욱 높은 수준의 항공삼각측량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직 영상의 중복도를 높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경사 영상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응 단계의 재난/재해 현장에서 긴급하게 무인기 매핑을 수행할 경우 중복도를 높이기 보다는 경사 영상도 함께 취득할 필요가 있다.

GNSS 정지측량을 통한 표고 산출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Orthometric Heights Based on GNSS Static Surveying)

  • 신광수;한중희;권재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27-537
    • /
    • 2014
  • 2013년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합성 지오이드 모델 KNGeoid13(Korean National Geoid Model 2013)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GNSS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높이측량을 적용하기 위한 기반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GNSS 정지측량 및 KNGeoid13을 이용하여 지역적인 수직기준과 부합하는 GNSS 기반 표고를 결정하기 위해 기지점의 타원체고 성과를 직접수준측량 성과와 모델 지오이드고를 더하여 계산된 보정타원체고로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보정타원체고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약 3cm 수준의 편의가 나타나는 반면 보정타원체고를 이용하면, 오차의 평균이 0.5cm 이하로 지역적인 편의가 제거되었다. GNSS 기반 표고의 정밀도를 관측시간에 따라 분석한 결과, 1일 4시간씩 2일간 관측할 경우에는 전체 데이터의 95%가 4cm 미만의 오차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1일 4시간 및 2시간 관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5cm 이하의 오차를 보였다. 30분 관측하여 모호수가 고정될 경우, 전체 데이터의 95%가 10cm 이하의 정확도를 갖는 표고를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측량에 GNSS 높이측량 도입을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curacy Analysis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in Mountainous Areas

  • Lee, Jisun;Kwon, Jay Hyoun;Lee, Hungkyu;Park, Jong Soo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3-412
    • /
    • 2018
  • Recentl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derived orthometric height determination has been studied to improve the time and cost-effectiveness of traditional leveling surveying. However, the accuracy of this new survey method was evaluated when unknown points are located lower than control point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was examined using TPs (Triangulation Points) to verify the stability of surveying in mountainous areas. The GNSS survey data were obtained from Mungyeong, Unbong/Hadong, Uljin, and Jangseong. Three unknown points were surrounded by more than three UCPs (Unified Control Points) or BMs (Benchmarks) following the guideline for applying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determination. A newly developed national geoid model, KNGeoid17 (Korean National Geoid 2017), has been applied for determining the orthometric height. In comparison with the official orthometric heights of the TPs, the heights of the unknown points in Mungyeong and Unbong/Hadong differ by more than 20 cm. On the other hand, TPs in Uljin and Jangseong show 15-16 cm of local bias with respect to the official products. Since the precision of official orthometric heights of TPs is known to be about 10 cm, these errors exceed the limit of the precision. Therefore, the official products should be checked to offer more reliable results to surveyors. As an alternative method of verifying accuracy, three different GNSS post-processing software were applied, and the results from each software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whole test areas did not exceed 5 cm.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cision of the GNSS-derived orthometric height was less than 5 cm, even though the unknown point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points.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수준측량장비 개발 및 성능분석 (An Analysis of Bench Mark Accura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Smart Leveling Equipment)

  • 김용석;이기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8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시대에 맞게 기존 수준측량 장비를 개선한 스마트 수준측량 장비를 개발하였다. 하드웨어부분과 소프트웨어 부분으로 나누어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수준측량 장비를 이용하여 수준점 결과 값에 대한 검측을 실시해 보았다. 수준측량의 검측방법은 국가기준점(UO992)-A, 수준점(15-00-06-24)-B, 수준점(15-00-06-23)-C로 선정하여 왕복수준측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오토레벨과 디지털레벨의 경우 오차범위 내의 안정된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고, 스마트 레벨의 경우 A-B구간에서 약 24mm, B-C구간에서 약 26mm가 발생되었다. 이는 하드웨어의 완성도가 부족한 부분이 있었고, 상대적으로 많은 설치횟수 등에 따른 오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거리구간별 스마트레벨 수준측량을 실시해 본 결과 평균 RMSE가 약 46mm정도 발생되었다. 이 역시 짧은 구간에서는 적은 오차가 발생되었지만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오차가 누적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정밀도의 향상부분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추진하여 실생활에 사용가능하도록 향상할 수 있다면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ison of Orthophotos and 3D Models Generated by UAV-Based Oblique Images Taken in Various Angles

  • Lee, Ki Rim;Han, You Kyung;Lee, Won Hee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7-126
    • /
    • 2018
  • Due to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location-based applications, and augmented reality, demand for image maps and 3D (Three-Dimensional) maps is increasing. As a result, data acquisition using UAV (Unmanned Aerial Vehicles) has flourished in recent years. However, even though orthophoto map production and research using UAVs are flourishing, few studies on 3D modeling have been conducted. In this study, orthophoto and 3D modeling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various angle images acquired by a UAV. For orthophotos, accuracy was evaluated using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urvey that employed VRS (Virtual Reference Station) acquired checkpoints. 3D modeling was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line height values of buildings obtained from the GPS survey to the corresponding 3D modeling height values. The orthophotos satisfied the acceptable accuracy of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r a 1/500 scale map from all angles. In the case of 3D modeling, models based on images taken at 45 degrees revealed better accuracy of building outlines than models based on images taken at 30, 60, or 75 degrees. To summarize, it was shown that for orthophotos, the accuracy for 1/500 maps was satisfied at all angles; for 3D modeling, images taken at 45 degrees produced the most accurate models.

간호사의 의료인 간 의사소통에 대한 조사연구 (Nurses' Communications with Health Professionals)

  • 조용애;김미경;조명숙;남은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19권1호
    • /
    • pp.20-32
    • /
    • 2013
  • Purpose: To present necessary data for improvement in communications between health professionals in as characterized by nurses' communication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ith a survey of 1,510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f at least 1,900 beds) in Seoul. A questionnaire on communication in the ICU, nurse-physician and nurse-nurse,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9 to 20, 2012, and the response rate was 85.0%. Results: Cronbach ${\alpha}$ values ranged from .75 to .89, except for .59 for accuracy (nurse-physician), with .89 overall. The highest mean score was for perception for timeliness [$3.83{\pm}.57$], followed by shift communication (nurse-nurse) [$3.64{\pm}.66$], openness (nurse-nurse) [$3.64{\pm}.65$], accuracy (nurse-nurse) [$3.14{\pm}.61$], openness (nurse-physician) [$2.90{\pm}.75$], understanding (nurse-physician) [$2.82{\pm}.65$], and accuracy (nurse-physician) [$2.70{\pm}.59$]. Subscales of openness, understanding, and shift communication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satisfac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with different perceptions of communications included age, clinical experience, work pattern, and department. Conclusion: Proactive activities to improve accuracy, openness an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physicians and nurses are required for patient safety. Further studies are also needed to reassess communications and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outcomes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fter application of strategies to improve communications.

전자유도 탐사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탐지 정확도 분석 (A Study on the Detecting Accuracy of EM Induction Survey Data of Buried Utility)

  • 권형석;최준호;황대진;김문재;윤정섭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73-81
    • /
    • 2008
  • 전자유도 탐사는 매설관로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측정하는 탐사방법으로 하나의 관로만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는 20 cm 이내의 높은 정확도를 보이지만, 탐지대상 관로 인근에 다른 관로가 매설되어 있으면 자기장의 교란으로 정확도가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 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대칭성을 이용하여 매설관로의 수평위치를 검증하는 방법과 에너지 크기 비교법과 삼각법을 이용하여 매설심도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판매되는 전자유도 탐사장비가 별도의 저장장치를 가지고 있지 않아 측정자료의 분석이 불가능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Bluetooth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측정자료를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인접관로를 하나로 오인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장모형실험을 통해 인접관로의 거리에 따른 분해능을 고찰하였다.

  • PDF

지상기준점측량 적용을 위한 Network-RTK 측량 정확도 평가 (Evaluation of Network-RTK Survey Accuracy for Applying to Ground Control Points Survey)

  • 김광배;이창경;안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7-133
    • /
    • 2014
  • 본 연구는 2007년 이래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Network-RTK(VRS) 측량을 항공사진도화에 필요한 지상기준점측량에 적용하기 위하여 그 정확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세계측지계(ITRF2000)에 근거하여 국가기준점을 고정한 상대측위방식 Static GNSS 측량으로 지상기준점(GCP)을 측정하여 이를 정확값으로 간주하였다. 2종의 Network-RTK 수신기를 이용하여 동일 지상기준점의 위치를 구한 후, 좌표변환과 지오이드 모델을 적용하여 세계측지계 좌표로 변환하였다. Static GNSS 측량과 2종의 Network-RTK 측량에 의한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GCP 위치좌표의 평균제곱근오차는 평면에서 ${\pm}2.0cm$, 표고에서 ${\pm}7.0cm$ 이었다. 즉, 지상기준점측량에서 GPS 수신기 1세트로 짧은 시간 관측할 수 있는 Network-RTK 측량은 GNSS 수신기 2세트 이상을 필요로 하는 RTK 측량이나 GNSS 수신기 2세트 이상으로 장시간의 관측이 필요한 Static GNSS 측량의 실용적인 대안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