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tat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79초

석유탈황 미생물 Desulfovibrio sp. B5의 생육특성과 성장 Modeling (Characterization and Modeling of Growth Properties of Petroleum Desulfurizing Bacterium Desulfovibrio sp. B5)

  • 신철수;김명동;안장우;신평균;서진호
    • KSBB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45-5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석유의 탈황에 이용될 수 있는 미생물인 Desuljovrvbrio sp. B5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Postgate medium C에서의 생육 최적 온도는 $38^{\circ}C$,pH는 6.6~7.0으로 나타났다. Corn steep liquer를 대체 배지성분으로 사용한 결과 0.79g/L의 균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결과와 비교하여 약 1.8배 증가한 값이다. Postgate medium C에서 Lactate의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acctate는 10g/L 이상에서 성장저해를 유발하였다. $H_2S$는 10mM의 total sulfide 농도에서도 균체성장이 저해되었지만 이는 질소가스 주입으로 해소할 수 있었다. 또한 회분식 배양의 결과와 $H_2S$에 의한 product ingixtion에 근거한 균체성장의 modeling 결과는 잘 일치하였다.

  • PDF

해양환경의 에어로졸 화학- 농도와 함량비를 이용한 이온성분간의 관계에 대한 추론 (Aerosol Chemistry in the Marine Environment: Inference of Inter-logic Relationships from the Concentrations and Ratios of Sonic Constituents)

  • 김기현;이강웅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3-152
    • /
    • 1998
  • The aerosol concentrations of ionic components were measured on a daily basis from a coastal monitoring site located at Kosan, Cheju Island from 26 September to 5 October 1997 as a field-intensive for a LRTAP project The chemical species we investigated include most of important inorganic species (i.e., Cl-, NO3-, F-, SO42-, Na+, NH4+, and K+) and some organic species (i.e. formats, acetate, and methanesulfonate (MSA) ions). The concentration data of those important inorganic and organic species obtained during this study were evaluated to properly address their che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Most of major inorganic components including sulfate, sodium, chloride, and potassium ions exhibited very conservativ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uch that the concentration ratios of any pair are quite analogous to that of seawater ratio. Since the oceans serve as the major sources of ionic constituents, their concentration changes appear to be senstively reflected by the factors affecting air-sea processes such as an increase in wind speed or changes in wind direc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sulfur-containing species such as seasalt (SS) and nonseasalt (NSS) sulfate and MSA were also made to asses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 cycling. An evaluation of NSS/SS ratios suggests that most of sulfate be associated with NSS fraction rather than 55 one. The finding of lower MSA/NSS-SO42- ratio along with a line of physical evidence such as intrusion of anthropogenically affected air mass suggests that the oxidation of S species have been promoted under the conditions encountered during the study period. Finally, the concentration data of carboxylic species (such as formats and acetate ions) were also analyzed. Although the existence of temporal trends were difficult to assess, these data indicate that their contribution to the precipitation acidity may not be significant enough.

  • PDF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및 phenylmercuric acetate가 호마엽고병균의 호흡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and phenylmercuric acetate on respiration of Cochliobolus miyabeanus)

  • 김기청;서용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_6권
    • /
    • pp.65-69
    • /
    • 1968
  • 본 실험에 있어서는 phenylmercuric acetate에 못지 않은 살균력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phenylemercuric 8-oxyquinolinate를 phenylmercuric acetate 와 대비시켜 벼 고마엽고병균 에 대하여 먼저 균체의 건물량에 의한 균사발육 효과를 확인하고 포자 및 균사의 호흡 저해효과를 검토한 바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균사발육 억제효과를 보면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약간 떨어지나 현저한 차이는 없으며, 양자 모두 0.01ppm부터 1.0ppm까지의 사이에서 급격히 발육 억제효과가 증가한다. (2) 포자효흡 저해작용은 0.1ppm을 제외하고는 phenylmercuric acetate가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보다 약간 강하나 뚜렷한 차이는 인정할 수 없으며 0.01ppm에서는 거의 저해효과가 없는 듯하다. (3) 균사호흡 저해작용은 포자호흡과는 반대로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가 phenylmercuric acctate 보다 강하며, 또한 그 차도 커서 약 $10\%$쯤 된다. (4)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포자발아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와 동정도이거나 약간 높으며, 균사발육 억제효과는 phenylmercuric acetate보다 낮음이 명백하다.

  • PDF

담배가루이에 대한 Wild Mint 오일의 기피효과 (Repellent Effect of Wild Mint Oil Against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정진원;문상래;조선란;신윤호;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3-439
    • /
    • 2010
  •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식물정유의 기피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종의 식물정유를 대상으로 담배가루이 성충의 기피반응을 검정한 결과, mint 오일만이 $5{\mu}{\ell}$의 약량처리에서 90% 이상의 높은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2, 1, 0.5, $0.1{\mu}{\ell}$ 약량처리에서는 77.8~65.7%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Wild mint 오일을 분석하고 생물검정을 수행한 결과, GC/MS 분석으로 wild 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이 menthol(56.5%), menthone(29.0%), menthyl acetate(14.5%)로 밝혀졌으며, 기피활성을 보인 주요구성성분은 원래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비율로 $10{\mu}{\ell}$ 오일을 처리하였을 때 menthol과 menthone이 각각 77.8과 75.8%의 기피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enthyl acctate는 유의성이 없었다. 주요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잠정한 결과, 단독검정시와 비교하여 기피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