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s related object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소규모 섬유업종의 산업재해 특성 및 예방 (Characteristics and Prevention of Occupational Accidents in the Small-Sized Textile Industry)

  • 이경수;정병용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01-107
    • /
    • 2009
  • In this study 1,079 occupational accident reports were us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occupational injuries in the small-sized textile companies with less than 50 employees. These data were analyzed in terms of age of injured person, work experience, accident type, injury type, and agency of accident.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ome patterns: (1) injuries occur more frequently in the 40~49yr age group; (2) about half of all accident occurred during the first year of employment; (3) there is a higher percentage of sick people leaving in the 29~90day range; (4) 'caught in and between objects' represents the leading accident type; (5) the most common type of incidence is related to the machinery; (6) 'lower back injuries' is the leading type of occupational disorder.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more effective accidental occupational injury prevention programs for small-sized textile industries.

Foreign body aspirations in dental clinics: a narrative review

  • Huh, Jin-Young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3호
    • /
    • pp.161-174
    • /
    • 2022
  • Foreign body aspiration can produce a medical emergency. Obstruction of the airways can be life-threatening, and complications may develop in less-severe cases if it is left untreated. Although it is more prevalent in children by approximately three times, adults can still experience it, and it is more frequently related to healthcare in adults. Objects used in dental treatment are usually placed in the oral cavity and can be ingested or inhaled by accident. Dental treatment has been identified as an important cause of the misplacement of foreign bodies in the airway. However, few reports have been published on dentistry-related foreign body aspira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disease course, management, and clinical outcomes of foreign body aspiration, especially those associated with dentistry. The patient must be examined for respiratory distress. If the patient is unstable, urgent airway management and the maneuvers for removal should be performed.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can help identify and locate the object. The treatment of choice is often bronchoscopy, and both flexible and rigid endoscope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Preventive measures need to be implemented to avoid inhalation accidents given the potential consequences. Though the incidence is rare, healthcare levels need to be enhanced to avert morbidity and mortality. Radiological evaluation and bronchoscopy are vital for management.

8주간의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근골격계 요통환자의 생체역학적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8 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the Biomechanical Function Recovery of Patients Suffering from Work-Related Back Problems)

  • 김도형;이경일;정진영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67-5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복합운동프로그램이 근골격계 요통환자들의 생체역학적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43명의 산업재해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요부근력과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켜 요부기능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고, 요통으로 인해 낮아진 유연성을 증가시켜 정상인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자세의 교정 및 척추변형 정도의 개선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들기, 사회생활, 통증지속시간, 통증발생빈도 감소에 효과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의 결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작업관련성 요통환자들의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고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LiDAR 센서기반 근접물체 탐지계측 알고리즘 (Algorithm on Detection and Measurement for Proximity Object based on the LiDAR Sensor)

  • 정종택;최조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92-197
    • /
    • 2020
  • 최근 운송수단의 안전운행 및 사고방지를 목표로 하는 자율운행 관련 기술이 적극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현재 자율운행에서 장애물 탐지를 위하여 레이다 및 카메라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근접한 물체의 탐지 및 이격거리의 정밀계측에는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 LiDAR 센서는 레이저 펄스빔을 발사하고 물체로부터 반사되어 온 반사빔과의 시간차를 취득하여 이것으로 정밀한 거리를 계산하는 측정기로, 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대기환경에서 물체의 인식률이 감소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LiDAR 센서의 raw 데이타에 대한 신뢰성 향상과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주변물체에 대한 탐지 및 이격거리 계측에서 오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삼각함수에 의한 포인트 cloud를 추출하고, 선형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계측알고리즘을 구현하였으며, Python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물체탐지의 오차범위를 개선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Occupational Exposure during Intraperitoneal Pressurized Aerosol Chemotherapy Using Doxorubicin in a Pig Model

  • Wongeon Jung;Mijin Park;Soo Jin Park;Eun Ji Lee;Hee Seung Kim;Sun Ho Chung;Chungsik Yo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2호
    • /
    • pp.237-242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occupational exposure levels of doxorubicin in healthcare workers performing rotational intraperitoneal pressurized aerosol chemotherapy (PIPAC) procedures. Methods: All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PIPAC procedures applying doxorubicin to an experimental animal model (pigs). All procedures were applied to seven pigs, each for approximately 44 min. Surface samples (n = 51) were obtained from substances contaminating the PIPAC devices, surrounding objects, and protective equipment. Airborne samples were also collected around the operating table (n = 39). All samples were analyzed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Results: Among the surface samples, doxorubicin was detected in only five samples (9.8%) that were directly exposed to antineoplastic drug aerosols in the abdominal cavity originating from PIPAC devices. The telescopes showed concentrations of 0.48-5.44 ng/cm2 and the trocar showed 0.98 ng/cm2 in the region where the spraying nozzles were inserted. The syringe line connector showed a maximum concentration of 181.07 ng/cm2, following a leakage. Contamination was not detected on the surgeons' gloves or shoes. Objects surrounding the operating table, including tables, operating lights, entrance doors, and trocar holders, were found to be uncontaminated. All air samples collected at locations where healthcare workers performed procedures were found to be uncontaminated. Conclusions: Most air and surface samples were uncontaminated or showed very low doxorubicin concentrations during PIPAC procedures. However, there remains a potential for leakage, in which case dermal exposure may occur. Safety protocols related to leakage accidents, selection of appropriate protective equipment, and the use of disposable devices are necessary to prevent occupational exposure.

Falls in Patients of Medical Institutions in South Korea: A Literature Review

  • Jongwon Choi;Woochol Joseph Cho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
    • /
    • 2023
  • Background: Like many other countries, falls and related injuries in older adults are great concerns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falls are common in medical institutions, often causing the increase of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Objects: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help understand and address falls in hospitalized individuals in South Korea. Methods: The review was conducted on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from 2010 to 2022, searc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and PubMed. Key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as follows: falls, fall risk, fall risk assessment, hospital, inpatient, intervention, Korea, and prevention. Results: A total of 54 articles were found and reviewed. The most common place of fall accidents was the inpatient room, where there were many cases of falls while walking. Loss of balance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falls, and many falls occurred in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rnal medicine. Furthermore, a risk of falling increased with the type of medications taken. In terms of tools to assess patients' fall risk, the Morse Fall Scale (MFS) was commonly used. Patient-specific fall prevention activities were common to address falls, and they decreased the frequency of falls and the fear of falling.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iveness of the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cluded attitudes toward falls, education, environmental factors, patient safety culture, and self-efficacy in preventing falls. Conclusion: Our results should help understand and address falls and injuries in medical institutions.

C-ITS 환경에서 V2I 실현을 위한 버스 전용 차선 및 주행 차량 번호판 인식 (Bus-only Lane and Traveling Vehicle's License Plate Number Recognition for Realizing V2I in C-ITS Environments)

  • 임창재;김대원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1호
    • /
    • pp.87-104
    • /
    • 2015
  • 최근 지능화된 사물들이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상호 소통하고 상황인식 기반의 지식이 결합되어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IoT : Internet of Things) 환경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사물인터넷의 발전과 더불어 C-ITS (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환경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기존의 노변 인프라 외에 주행 중인 다른 차량까지 교통 인프라에 포함하여 차선 및 번호판 인식, 전방 사고 및 도로 공사 감지 등 쌍방향 정보 공유를 통해 효율적인 도로 주행을 함으로써 운전자에게 편리성과 안전성을 높여주고 나아가 교통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ITS 환경에서 고속도로 주행 시 버스전용 차선 인식 후 교통 인프라와 연계하여 버스전용 차선 내 주행차량의 주행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이에 따른 후속 조치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버스전용차선 인식을 통해 버스전용 차로의 위치를 파악한 후 후속 차량의 정면 전방 및 측면 전방 차량의 번호판 인식을 진행하고 향후 교통 인프라로 하여금 인지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학습과 해당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V2X 기반 군집주행을 위한 적정 화물차 및 품목 선정 기초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ing Appropriate Truck and Commodity Types for V2X-based Truck Platooning)

  • 류승규;최윤혁;정하림;권봉경;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22-134
    • /
    • 2020
  • 승용차의 자율주행 뿐만 아니라 교통정체 효과 개선, 연료절감, 화물차 운행의 안정성 개선을 위해서 여러 대의 화물차가 하나의 군집을 구성하여 운행하는 화물차 군집주행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일 차량 운행에 비해서 군집차량 운행은 군집 내 차량한 대의 돌발상황으로 인하여 군집내의 모든 차량의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운행에 앞서서 더 많은 신중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군집주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군집주행에 적절한 화물차 및 화물의 종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차량의 종류의 경우 낙하물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서 폐쇄형 화물차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물의 종류의 경우, 액체류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의하는 위험물질들은 군집주행에 배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스프링클러 설치기준과 소방관련 법에 관한 고찰 (The Proposition of Domestic Sprinklers Installation Standard and the Fire Services Act)

  • 김용문;이영재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7-24
    • /
    • 2014
  • 최근 들어 주택 및 집합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되어 있어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서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를 자주 목격하게 된다. 건축물 화재가 발생하면 초기에 진압하는 소화설비로써 가장 적합한 것은 스프링클러라 여겨진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법체계의 미비로 인해 스프링클러 설비가 가진 본연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준은 스프링클러 설비의 설치 대상을 업종과 건축물 형태에 따라 단순하게 분류하며, 건물의 용도나 건축물의 층수로 구분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에만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게 되어 있을 뿐, 법적으로 10층 이하의 건물에는 스프링클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안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클러 설비에 관한 개념, 국내외 법체계상에서 규정하는 스프링클러의 설치기준, 그리고 근래에 발생한 화재사고에서 스프링클러 설치 및 관리기준의 허점으로 인해 피해를 키운 사례를 분석하여 그 원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의 경우 신축 건물에 대해서 층수에 관계없이 모든 집합건물은 스프링클러를 의무적으로 설치하게 하는 법 및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기존의 건축물 중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건물의 경우에는 신규로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고자 하면, 정부 보조금을 지급하여 스프링클러 설치를 장려하는 정책적 시행도 요구된다. 더욱이 스프링클러의 설치적 기준의 강화뿐만 아니라 전문기술자격자에 의한 수시, 정기점검을 강화하는 등 스프링클러의 운용 및 유지에 대한 관리적 기준도 보완하여 화재 발생 시 소방 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건설분야 직업관련 연구동향 내용분석 (Content Analysis of Vocational Research Trend in Construction Field)

  • 남경우;장명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31-41
    • /
    • 2021
  • 평생직장의 개념이 사라져가고 커리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건설분야에서도 고용환경 변화에 따른 직업문제가 복잡하고 다양화되어가면서 건설분야의 직업과 관련된 연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연구는 그 간 축적되어 온 건설분야 직업관련 선행 연구들의 속성을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건설분야의 직업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모집단은 KCI등재 논문 중 건설분야의 직업과 관련된 연구로 설정하였고, 판단추출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 71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내용분석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목체계를 설정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신뢰도 측정을 실시한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학의 학문적 기틀 마련 초기에는 해당 논문게재가 없었으나, 이후 15년 간 완연한 증가세를 보였다. 둘째, 건설분야 직업 관련 연구는 사회과학보다는 공학분야에서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셋째, 2차 자료 방법보다 1차 자료 방법이 월등히 많았으며,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연구 방식이 가장 보편적인 연구방법이었다. 넷째, 연구대상으로는 인적 객체가 78.9%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그 중에서 기술자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연구주제로는 직무만족, 직무스트레스, 이직의도, 조직몰입과 같은 심리·행동적 측면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 국가직무능력표준, 직무분석, 건설재해, 경력개발과 같은 구조·환경적 측면의 주제도 활발히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