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persistence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대화 지속성 암묵적 단서를 고려한 차량 내 음성 인터랙션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In-Vehicle Voice Interaction Structure Considering Implicit context with Persistence of Conversation)

  • 남궁기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79-18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차량 내 음성 인터랙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대화 행태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스템과의 음성 인터랙션에서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대화 요소를 파악하여 사람 간의 대화와 유사한 음성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차량 내 음성 인터랙션 행태를 관찰하기 위해 맥락 질문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개방 코딩을 사용하여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음성 인터랙션 기능의 유용성을 탐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유용성은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사용 지속성을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경험적 요구를 대인관계 모델인 대화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Linux 교과목에서 성찰일지 적용이 학업에 미치는 영향 (Academic Effect of a Reflection Journal applied on Linux Courses)

  • 김차종;김혜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75-481
    • /
    • 2017
  • 본 논문은 성찰일지 작성이 Linux 교과목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Linux 교과목 수강학생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성찰일지 작성을 적용한 후 성적을 비교 분석하였다. 성찰일지의 적용은 중간고사 후 6주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 목표 및 기대감, 학습지속 의향, 자기 효능감, 학습태도, 성찰일지 작성에 대한 만족도, 교과학습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Linux교과목의 학업성취도에서 매우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컴퓨터공학 교육을 위한 교수법으로 의미가 있다.

아동의 기질 및 주장적 행동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 조희원;박성연;지연경
    • 아동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5-32
    • /
    • 2011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mechanisms by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temperament influences academic achievement in late childhood.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effects of child temperament on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assertive behavior on the part of childre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self-report questionnaires completed by 657 elementary school children (343 boys, 314 girl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demonstrated that child temperament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both assertive behavior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this was evidenced across the entire sample. Child temperament (approach-withdrawal, mood quality, persistence) also had a number of positive effects on assertive behavior (directiveness, social assertiveness, defense of rights and interests) and maternal parental behavior (warmth-acceptance, guidance). These results were found to be the case for both boys and girls.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vealed that maternal parent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chievement for boys, whereas assertive behavior played the same role for girl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 approaches in developing programs to improv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which give due consideration to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behavior as well as parenting, based on child gender.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넷 정보자원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ability of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for Academic Communications in LIS Domain of Korea)

  • 김성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5-62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및 보급은 학문 연구와 학술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한 우리 생활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인터넷 구축의 목적이 연구기관간의 정보교류와 국가의 주요 정보를 분산 보존하여 안정성(stability)을 확보하고자 함에 있었음을 고려할 때, 학문 연구의 과정에서 인터넷 정보자원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당연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학문 연구와 학술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인용된 인터넷 정보자원의 안정성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접속가능성(accessibility)의 변화, 접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인, 접근이 가능한 경우 내용상의 변화여부, 그리고 접근이 불가능한 경우 대체경로를 통한 구득가능성의 네 가지 관점에서 종합 검증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원격 교육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우울이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학업 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in Distance Education Due to COVID-19)

  • 김효정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79-91
    • /
    • 2022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depression on college students' academic persistence in the COVID-19 epidemic and the resulting non-face-to-face education situation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effects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y in Daegu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path coefficient was estimated by the Smart PLS bootstrap metho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path coefficient was verifie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as a parameter.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Third, depression and ease of us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Finally, a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continuity intention with self-efficacy, usefulness, ease of use,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s parameters. As a result of both regression analyses, it was found that β values decreased, and learning satisfaction had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to increase learner satisfaction and develop various content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hat can increase self-efficacy and perceived usefulness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I think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measures to continue studying for college students in natural disaster situations or psychological crisis situations called COVID-19.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 이용섭;김윤경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2-141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반과 비교반을 선정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실험처치는 10주에 거쳐 초등학교 과학과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으로 과학수업을 하였다. 과학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의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탐구',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인 '지식'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전체검사 결과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은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된다. 창의적 인성 검사의 하위 영역인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상상',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하위 영역인 '호기심'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 검사의 전체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은 창의적 인성 함양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미치는 교우관계의 영향력과 학교적응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friendship to academic persistence and drop out and mediation effect of school adaptation)

  • 김효은;김기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87-109
    • /
    • 2011
  •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friendship, school adaptation, drop out. In our research model, goal setting, self improvement,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hip is exogenous variable and school adaption and drop out is endogenous variable. A total of 323 undergraduate student(254 female, 69 male) complete the questionnaires.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ed that, as hypothesized, establishment of goals, social support of parent and friendship have effect on school adaptation, and friendship also have direct effect on drop out. School adaptation mediate path from goal setting, social support of parents, and friendship.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a model that show how to control the drop out of students.

비도시권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비즈니스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siness Model for Career and Academic Counseling in Non-Urban High Schools)

  • 박성택;조민우;김태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7-58
    • /
    • 2017
  • 진로 및 학업상담교육은 학생들과의 지속적이고 일관성있는 상호작용과정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진로교육은 단순히 전공, 대학 및 직업에 대한 조언이나 상담수준에 머무르지 않는다. 학생들의 장기적인 진로관련 효능감 제고를 위해서는 진로교육 상담교사와의 지속적이고 개인적인 접촉이 요구된다. 그러나 통계조사에 의하면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의 경우 대도시의 학교와는 달리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담하는 교사들의 배치율이 낮아 진로교육과 관련한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상황을 다소나마 보완할 수 있는 현업전문가의 교육기부를 전제로 하는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대도시 MBA 동문회의 지원을 전제로 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를 설계하고자 한다. MBA 재학생 및 동문들의 스킬, 지식, 역량 등을 활용하여 진로교육 및 상담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결론으로 비도시지역의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에 대한 동기 유발과 지속적인 관심유발을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의 편익을 강조하는 것으로 마무리하고자 한다.

사이버대학 중도탈락 개선을 위한 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to Improve Dropout of Cyber University)

  • 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80-390
    • /
    • 2020
  • 사이버대학교는 20대 중심의 일반대학교 학생보다 사회적 배경, 경제적 요인, IT 지식 및 활용능력 등. 복잡한 교육환경의 변화 요인으로 신입생들의 중도탈락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사이버대학교 학생은 일반대학교와 다른 중도탈락 방지 대책과 개선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A 사이버대학의 2017년 및 2018년 1학기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고 '의사결정트리모델'을 통하여 중점관리 및 상담기준을 분류하여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각 주요 요인에 대하여 의사결정 적용기준과 주차별 추진방법을 제시하여 '중도탈락개선모형'으로 구현하였다. 그리고 2019년 1학기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대학 강의운영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중도탈락개선모형'을 적용한 신입생의 중도탈락률은 4.2% 감소하였고 학업지속비율은 11.4%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의미는 설문지 조사와 사이버대학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활동 결과를 동시에 적용하여 객관적인 분석을 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 자료에 대한 정량적인 요인분석은 되었지만, 정성적인 요인분석이 반영되지 못하였고 연구의 구조적인 한계점이 있어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개선모형은 사이버대학의 중도탈락률 및 학업지속비율 개선에 유효하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Improvement and Backsliding after Chronic-disease Self-management Education in Japan: One-year Cohort Study

  • Park, Min Jeong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51
    • /
    • 2017
  • Purpose: In people who have chronic diseases, disabilities, and rehabilitation needs, self-management education can improve health and health-related behavior, and it can reduce the utilization of healthcar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long-term effects of chronic-disease self-management education in Japa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84 adults living with various chronic medical conditions who participated in the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Program (CDSMP) in Japan. Data were collected before the program began, and then collected 3 more times over 1 year. Results: Healthcare-service utilization was low at baseline, and it did not change. Self-evaluated health status, health-related distress, coping with symptoms, communication with doctors, and self-efficacy to manage symptoms all improved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re was backsliding in all of the outcomes that had improved. Conclusion: Some benefits of this program can last for at least 1 year, but interventions to prevent attenuation may be needed. For economic evaluations, research should focus on populations with higher baseline levels healthcare-service utilization, including use of rehabilitation services. Also, more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longer-term decay or persistence of the program's benefits, particularly regarding on preventing and reducing disabilities and with regard to rehabilitation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