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normal cell divisio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2초

직접 암모니아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Direct Ammonia Anion -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 김선엽;채지언;최지선;이선엽;박철웅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1-51
    • /
    • 2023
  • 지구 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탄소 중립을 선언하였고, 수소경제 사회로의 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때 암모니아는 수소 저장 밀도가 높아 수소 캐리어로써의 역할로 주목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무탄소 연료로써 활용의 역할도 주목받고 있다. 특히 암모니아 연료전지에 있어서,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에서는 별도의 암모니아 분해 장비나 수소 고순도화 장비가 필요 없이 암모니아를 바로 연료전지로 공급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의 작동 원리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에서 암모니아를 직접 연료로 활용한 연구 사례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Central giant-cell granuloma in a patient with neurofibromatosis type 1: 7 years of follow-up

  • Michelle Briner Garrido;Rohan Jagtap;Christopher D. Matesi;Vivian Diaz;John Hardeman;Anita Gohe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50권1호
    • /
    • pp.49-55
    • /
    • 2024
  • Neurofibromatosis type 1 (NF1) is an autosomally dominant tumor suppressor syndrome and multisystem disease. Central giant-cell granulomas (CGCGs) can be seen in patients with NF1. A 21-year-old female was diagnosed with two CGCGs, one in the mandible and then one in the maxilla, in a 7-year period. Increased incidence of CGCGs in NF1 patients was thought to be caused by an underlying susceptibility to developing CGCG-like lesions in qualitatively abnormal bone, such as fibrous dysplasia. However, germline and somatic truncating second-hit mutations in the NF1 gene have been detected in NF1 patients with CGCGs, validating that they are NF1-associated lesions. Oral manifestations in patients with NF1 are very common. Knowledge of these manifestations and the genetic link between NF1 and CGCGs will enhance early detection and enable optimal patient care.

세포분열에 관여하는 인간의 CIP29/Hcc1 유전자와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1+의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s1+ of Schizosaccharomyces pombe, a Homologue of Human CIP29/Hcc-1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ell Division)

  • 차재영;신상민;하세은;이정섭;박종군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666-1677
    • /
    • 2011
  • 세포주기조절에서 유전자 발현의 조절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유전자인 CIP29/Hcc1과 상동성을 가지는 분열형 효모의 새로운 유전자 mas1+을 분리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하여 cDNA를 얻고 이 c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mas1+의 전체 염기서열은 735 bp로서, 245개의 아미노산을 암호화하고 있다. mas1+의 프로모터에서는 M-G1에 특이적인 전사를 보이는 유전자들에 보존되어 있는 PCB 서열이 발견되었다. 세포주기별 mas1+의 전사 수준을 분석한 결과 격막이 형성된 세포수의 빈도를 나타내는 격막 세포지표 의 양상과 유사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mas1+ 결손 돌연변이를 $25^{\circ}C$$36^{\circ}C$에서 배양한 결과, 세포질 분열과정이 늦어진 다중격막 세포의 빈도가 증가하였다. 이를 FACS로 분석하여 DNA 함량이 2C, 4C와 6C등이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mas1+결손 돌연변이 세포를 질소 결핍 배양액에서 배양한 결과 다중격막 세포의 형성이 확연히 증가하였는데 이는 질소 결핍에 따른 세포분열의 가속화 단계에서 mas1+의 결손이 특히 부정적 영향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mas1+ 유전자 결손 돌연변이 세포에 mas1+을 포함한 plasmid를 형질전환한 후 mas1+의 발현을 유도한 결과 정상의 세포 형태로 전환됨을 확인하였다. Mas1 단백질에 EGFP를 융합시켜 발현을 유도한 결과 핵내에서 위치함을 분열형 효모와 인간 배양세포인 HeLa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mas1+ 결손 돌연변이에서 상동성을 가지는 인간 유전자 CIP29/Hcc1을 발현시킨 결과 multi-septate 세포가 줄어들었다. 한편, 생쥐의 배발달 단계에 따른 CIP29 유전자의 전사체 수준은 세포 분열이 활발한 시기에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Mas1은 인간의 핵단백질인 유전자 CIP29/Hcc1과 구조 기능적으로 상동성을 가지며, 세포주기 중 M-G1에 속하는 세포질 분열에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Ethalfluralin이 귀리 (Avena sativa L.)의 생장억제(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The Mode of Action of Ethalfluralin on Growth Inhibition in Oat (Avena sativa L.))

  • 정남용;권성환;김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1
    • /
    • 1991
  • 식물생장 억제제인 ethalfluralin의 작용기구를 구명하기 위하여 제초제의 작용에 민감한 귀리(Avena sativa L.)를 택하여 조사한 세포분열(細胞分裂), 세포신장(細胞伸長)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그리고 조직(組織)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Ethalfluralin를 처리한 모든 처리구의 세포분열(細胞分裂) 억제(抑制)효과는 metaphase arrest로 인하여 후기(後期)와 말기(末期)의 세포분열(細胞分裂)이 나타나지 않았다. 2. 세포신장(細胞伸長) 억제(抑制)효과는 $1{\times}10^{-6}$M 이상의 농도에서 50%가 억제(抑制)되었으며 $1{\times}10^{-3}$M에서 87%의 억제(抑制)를 보여 ethalfluralin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률이 증가했다. 3. 단백질합성(蛋白質合成) 억제(抑制)는 8시간 처리후 모든 농도 ($1{\times}10^{-6}$M to $1{\times}10^{-3}$)에서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효과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조직(組織)의 변화는 24시간 처리후$1{\times}10^{-7}$M에서 근단 세포가 크게 보였으며 세포질(細胞質)이 없는 세포, 다핵(多核) 세포(細胞) 및 균일(均一)하지 않은 핵(核)이 관찰되었다.

  • PDF

비소세포폐암주에서 산소 농도에 따른 미세 배양 환경과 세포 증식능 (Microenvironments and Cellular Proliferation Affected by Oxygen Concentra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

  • 신종욱;전은주;곽희원;송주한;이영우;정재우;최재철;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3호
    • /
    • pp.242-250
    • /
    • 2007
  • 배경 및 목적: 암세포는 빠른 증식 속도로 인하여 상대적인 저산소증에 노출되면서 비정상적인 종양 혈관을 형성하여 치명적인 병인을 형성한다. 저산소증에서의 암세포 내의 유전자 표현을 연구하는 것은 병인의 규명과 나아가 치료에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외 배양한 비소세포폐암의 증식과 저산소증 상태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비소세포폐암주인 A549를 RPMI 배지에서 계대 배양하였다. 저산소 유사 상태는 Modular Incubator Chamber(MIC-101)을 이용하였고 5% 이산화탄소와 95% 질소 혼합 가스를 5분간 공급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들었으며 세포 배양액을 채취하여 혈액가스분석기(Blood Gas Analyzer ABL 725)로 세포 배양 상태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5% $CO_2$와 멸균한 대기 공기 95%가 혼합된 가스를 사용하였다. 세포의 증식 상태는 MTT 방법을 실시하였다. 결과: 1. MIC-101을 이용하였을 때, 무산소혼합가스를 투여 후 30분에 50%의 산소 분압저하를 확인하였으며, 대기 가스에 의해 산소농도를 회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무산소 혼합가스로 정화(purging)를 하면 산소의 분압을 더 낮출 수 있었다. 3. 저산소 상태에서 세포 배양액 내에는 pH 감소, 젖산 증가, 포도당의 감소와 같은 미세환경이 변하였다. 4. 세포배양액에 따라 저산소에 의해 유도되는 포도당 저하에 차이가 있었다. 5. 비소세포폐암주는 저산소에 의해 증식능이 억제되었다. 결론: 저산소 상태는 세포 배양액 내 포도당 농도의 감소, 젖산의 증가, pH의 감소 등 세포 배양 미세 환경을 변화시키며, 비소세포폐암세포는 증식이 억제된다. 저산소는 미세 환경 변화와 함께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비소세포의 증식능에 영향을 미친다.

Paclitaxel에 의한 관절연골 세포의 capase-비의존적 mitotic catastrophe 유도 (Paclitaxel Induced Caspase-Independent Mitotic Catastrophe in Rabbit Articular Chondrocyte)

  • 임정희;김송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9-527
    • /
    • 2010
  • Paclitaxel은 미세소관의 탈중합을 억제하는 시약으로 알려져 있다. Paclitaxel은 다양한 세포에서 세포 내 방추체를 안정화시킴으로써 유사분열 억제 및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본 실험에서는 토끼 관절 연골세포에서 paclitaxel이 연골세포의 증식과 사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paclitaxel은 연골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증식을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FACS analysis와 Western blot analysis를 수행한 결과, paclitaxel이 G2/M 정지를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clitaxel이 비정상적인 세포 분열유도와 핵 단편분절 유도없이 일어나는 mitotic catastrophe 즉, caspase-3 비의존적인 세포사멸을 유도하였다. Paclitaxel을 처리한 세포에서 일어나는 이러한 mitotic catastrophe에 의한 세포 죽음은 G1/S기의 진행을 억제하는 시약인 thymidine을 처리하는 것에 의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paclitaxel에 의한 토끼 관절 연골 세포에서의 세포 죽음은 caspase-3 비의존적인 mitotic catastrophe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소포자 배양에 의한 반수체 식물유도 효율이 높은 국내 유채 품종 선발 (Comparison of Frequency Embryogenesis through Microspore Culture of Domestic Cultivars in Brassica napus L.)

  • 박윤정;김광수;장영석;김철우;방진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237-241
    • /
    • 2006
  • 국내육성 유채품종 간 반수체식물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화아로부터 분리된 소포자를 13%의 sucrose, $0.05mg/{\ell}$ BA 와 $0.5mg/{\ell}$ 의 NAA가 첨가된 NLN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반수체 배의 생산에는 유전형이 중요한 요인이였으며, 탐라유채가 가장 높은 반수체 배 생산능을 보여 화아당 176개의 반수체 배가 발생하였으나, 한라유채와 영산유채는 배 생산은 물론 세포분열도 관찰되지 않았다. 발생한 반수체 배를 NLN배지에서 현탁배양하여 Multilobe abnormal embryos를 형성시켰으며, 계속하여 생장조절제가 첨가되지 않은 MS고체 배지에 치상 배양하여 반수체식물체를 유도 하였다. 재생된 반수체 식물체는 성공적으로 순화되었다.

Importance of FISH combined with Morphology, Immunophenotype and Cytogenetic Analysis of Childhood/Adul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 Omani Patients

  • Goud, Tadakal Mallana;Al Salmani, Kamla Khalfan;Al Harasi, Salma Mohammed;Al Musalhi, Muhanna;Wasifuddin, Shah Mohammed;Rajab, Ann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343-7350
    • /
    • 2015
  • Genetic changes associated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 provide very important diagnostic and prognostic information with a direct impact on patient management. Detection of chromosome abnormalities by conventional cytogenetics combined with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play a very significant role in assessing risk stratification. Identification of specific chromosome abnormalities has led to the recognition of genetic subgroups based on reciprocal translocations, deletions and modal number in B or T-cell ALL. In the last twelve years 102 newly diagnosed childhood/adult ALL bone marrow samples were analysed for chromosomal abnormalities with conventional G-banding, and FISH (selected cases) using specific probes in our hospital. G-banded karyotype analysis found clonal numerical and/or structural chromosomal aberrations in 74.2% of cases. Patients with pseudodiploidy represented the most frequent group (38.7%) followed by high hyperdiploidy group (12.9%), low hyperdiploidy group (9.7%), hypodiploidy (<46) group (9.7%) and high hypertriploidy group (3.2%). The highest observed numerical chromosomal alteration was high hyperdiploidy (12.9%) with abnormal karyotypes while abnormal 12p (7.5%) was the highest observed structural abnormality followed by t(12;21)(p13.3;q22) resulting in ETV6/RUNX1 fusion (5.4%) and t(9;22)(q34.1;q11.2) resulting in BCR/ABL1 fusion (4.3%). Interestingly, we identified 16 cases with rare and complex structural aberrations. Application of the FISH technique produced major improvements in the sensitivity and accuracy of cytogenetic analysis with ALL patients. In conclusion it confirmed heterogeneity of ALL by identifying various recurrent chromosomal aberrations along with non-specific rearrangeme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pecific immunophenotypes. This study pool is representative of paediatric/adult ALL patients in Oman.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Kimchi-Derived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U532 in B16F10 Melanoma Cells

  • Meng, Ziyao;Oh, Sej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90-998
    • /
    • 2021
  • Melanin is a natural skin pigment produced by specialized cells called melanocytes via a multistage biochemical pathway known as melanogenesis, involving the oxidation and polymerization of tyrosine. Melanogenesis is initiated upon exposure to ultraviolet (UV) radiation, causing the skin to darken, which protects skin cells from UVB radiation damage. However, the abnormal accumulation of melanin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certain skin diseases, including skin canc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the cell-free supernatant (CFS) of twenty strain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s of 60%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y, 21%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capacity, and a 50% ascorbic acid equivalen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value,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JNU532 was selected as the strain with the highest antioxidant potential. No cytotoxicity was observed in cells treated with the CFS of L. fermentum JNU532. Tyrosinase activity was reduced by 16.7% in CFS-treated B16F10 cells (but not in the cell-free system), with >23.2% reduction in melanin content upon treatment with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on B16F10 cell melanogenesis pathways was investigated using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ting. The inhibitory effects of the L. fermentum JNU532-derived CFS were mediated by inhibiting the transcription of TYR, TRP-1, TRP-2, and MITF an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 TRP-1, TRP-2, and MITF. Therefore, L. fermentum JNU532 may be considered a potentially useful, natural depigmentation agent.

인삼의 종간잡종 Panax ginseng x P Quinquefoilium의 발생학적 연구 특히 결실불능의 원인에 관하여 (The embryological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hybrid of ginseng plant (Panax ginseng x P. Quiuquefolium)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seed abortion)

  • 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86
    • /
    • 1969
  • 인삼식물의 종간교잡에 있어서 일대잡종식물은 양친에 대하여 약 1.6~3.0배의 강제를 나타내지만 심한 불임현상으로 거의 잡종 제삼세대를 얻을수 없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밝히고저 고려인삼${\times}$인 미국인삼의 잡종에 대한 발생학적조사관찰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잡종인삼의 영양생장은 양친과 같이 정상적이며 강세를 나타내나 생식생장에서는 심한 조해를 받는다. 2. 생식기관형성에 있어서도 감수분열기 이전까지는 제조직의 발생은 거의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3. 대포자모세포나 소포자모세포의 감수분 장과정은 심한 불규칙성을 나타내며 어떠한 것은 분열직전부터 퇴화되기 시작한다. 4. 소포자모세포의 핵분열에 있어서 제1분열 중기 또는 후기에 일가염색체 또는 염색체교 등이 출현하는 이상분열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감수분열이 끝난 것은 역시 사분자가 대부분이고 이분자나 사분자 이상의 소포자형성은 볼 수 없었다. 5. 소포자형성 또는 화분형성과정에 있어서 한 약내에서 여러 단계의 발육상을 볼 수 있었다. 6. 거대, 미소, 공허화분은 극히 적었다.(Fig. 23). 7. 대포자모세포기 이후 배주의 발육속도는 전반적으로 지연된다. 8. 감수분열을 마친 후 대포자는 오분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Fig. 5). 9. 대개는 합점측의 대포자가 활성화하는데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활성대포자인 것도 불 수 있다.(Fig. 6). 10. 배주의 퇴화는 대포자모세포기부터 팔핵배낭기까지 사이에 일어나는데 그 시작 시기는 개체마다 조만이 있으며 각양각색이다. 11.0 대포자의 배열은 양친에서는 선장, 중간형인데 F1에서는 선장, 중간형, T형, ㅗ형 등 여러 가지 형을 볼 수 있다.(Fig. 5, 7). 12. 배주에 있어서 감수분열이나 배낭핵분열 또는 배낭형성에 불규칙성에 심할수록 합점기부에 잔재하는 배심조직이 크다(Fig. 8, 10). 13. 배낭형성기까지 도달한 것이라 하더라도 배낭핵은 항시 불안정하여 정해진 장소에 배치되지 못한다.(Fig. 10, 11, 12). 14. 배유조직을 결한 배낭내에 선장의 4세포원배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었다.(Fig. 20) 15. 인삼의 잡종에 있어서의 불임원인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a) 잡종의 불임현상은 교잡에 의한 Gene-action system의 재조합으로 생체대사계에 혼란을 일으켜 배우자형성세포와 위요세포간의 우열관계가 전도되여 성적결함을 가져오는데 있다고 보았다. 즉 정상배낭에서는 배우자형성세포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위요세포보다 크고 농염되며 활성적이어서 위요세포를 소화흡수하여 발육케 된다. 그러나 퇴화배낭에서는 재조합으로 인한 세포질의 변화는 극성 (Polarity) 또는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