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dominal sonography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4초

종합검진 수검자의 스트레스 수준과 생활습관, 자각증상 및 임상적 진단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Level of Stress, Life Style,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in Clients taken Multiphasic Screening Program)

  • 박준한;전진호;강장미;손병철;김대환;이창희;정귀원;엄상화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1권4호
    • /
    • pp.728-739
    • /
    • 1998
  • To improve wellness and quality of life by recognizing the health efforts of stress, the author estim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tress,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battery of specified laboratory tests; electrocardiography, blood pressure,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lanine aminotransferase(ALT), gamma glutamyl transferase$(\gamma-GTP)$, fasting blood sugar, gastro-endoscopy or UGI, abdominal sonography, etc. The data was gathered from 337 clients who were undergoing multiphasic screening program at 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March 1998.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46.5{\pm}11.2$ years and the mean of body mass index was $24.0{\pm}3.7kg/m^2$. The mean vol of stress was $18.5{\pm}6.0$ expressed as the score out of 40.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lift style among male, mean level of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lower socioeconomic status, habitual drug use, longer daily working time(>10 hours), no regular exercise, drinkers, irregular meal, skip-ping breakfast(p<0.05). In case of female, th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se of lower education, lowe. socioeconomic status, longer daily working time(>10 hours), no regular exercise, drinkers, smokers, irregular meal, skipping breakfast(p<0.05).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stress and subjective symptoms in all kinds of organ system (p<0.01).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ess among male were relatively high with neuro-psychiatric symptom$(\gamma=0.476)$ and cardio-vascular symptom$(\gamma=0.361)$ in order,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ess among female was highest with neuro-psychiatric symptom$(\gamma=0.371)$. The prevalence of the diagnosis through the battery of laboratory tests was high in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hypercholesterolemia in order in both sex group. Among male the mean score of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 in ulcerative peptic disorder of upper gastrointestine and hepatopathy in order (p<0.05) . Among female that was significantly high in diabetes mellitus. In summary, it is likely that there are associations between stress, subjective symptoms and clinical diagnosis. To promote wellness and quality of life it would be of value that periodic stress evaluation program and stress management including apropriate control of smoking and 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meal.

  • PDF

Postnatal Management of Antenatally Diagnosed Patent Urachus with Bladder Prolapse

  • Choi, Hyun-Shin;Kim, Hae-Eun;Kim, Eun-Sun;Oh, Soo-Young;Chang, Yun-Sil;Seo, Jeong-Meen;Park, Won-Soon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262-264
    • /
    • 2010
  • 요막관은 총 배설관에서 유래된 구조물로서, 태생기에 방광의 첨부와 제대 사이를 연결해주는 관이며, 임신 8-9개월에 완전히 막히게 되어 출생시에는 정중제인대로 남게된다. 드물게 요막관이 출생 후에도 요막관 게실, 요막관 낭종, 개방성 요막관 등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가장 심한 형태가 개방성 요막관으로 이를 통해 방광이 탈출되는 경우는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아는 재태연령 41주, 출생체중 3,110 g, 아프가점수 1분 1점, 5분 7점, 정상 질식 분만되었으며, 산모는 35세로 임신 기간 중 약물 복용이나 다른 병력은 없었다. 재태연령 20주 2일에 시행한 산전 초음파상 낭성의 요막관 잔여물이 발견되었으며, 태아 자기공명영상에서 방광과 연결되는 낭종이 관찰되었다. 재태연령 40주 4일에는 고형종물 양상으로 관찰되어 초기의 낭종 형태에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출생 후 진찰 소견상, 제대 하방에 점막으로 둘러싸인 $3{\times}4cm$의 종물이 있었으며 요도로 삽입한 도관이 종물의 개구부를 통해 나오는 것이 확인되어 종물이 요도와 연결된 천공된 상태의 방광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생후 1일에 시행한 복부 초음파상 수신증이나 다른 요로기형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생후 2일째 방광 복원술 및 요막관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생후 9일째 시행한 배설성 방광 요로 조영술에서 방광 요로 역류는 없었고, 방광 기능은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생후 10일째, 정상적인 배뇨를 보여 퇴원하였고 이후 특별한 문제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저자들은 재태연령 20주 2일에 산전 초음파에서 요막관 잔여물로 추정되었던 낭종이 출생 후 요막관을 통한 방광 탈줄증으로 확진된 후 합병증 없이 수술적으로 완치되어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외상환자의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에서 나타난 달무리 소견의 임상적 유용성 (The Clinical Usefulness of Halo Sign on CT Image of Trauma Patients)

  • 이승용;손유동;안희철;강구현;최정태;안무업;서정열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0권2호
    • /
    • pp.144-148
    • /
    • 2007
  • Purpose: The management of hemorrhagic shock is critical for trauma patients. To assess hemorrhagic shock, the clinician commonly uses a change in positional blood pressure, the shock index, an estimate of the diameter of inferior vena cava based on sonography, and an evaluation of hypoperfusion complex shown on a CT scan. To add the finding for the hypoperfusion complex, the 'halo sign' was introduced recently. To our knowledge, this 'halo sign' has not been evaluated for its clinical usefulness, so we designed this study to evaluate its usefulness and to find the useful CT signs for hypoperfusion complex. Methods: The study was done from January 2007 to May 2007. All medical records and CT images of 124 patients with trauma were reviewed, of which 103 patients were included. Exclusion criteria was as follows: 1) age < 15 year old and 2) head trauma score of AIS ${\geq}$ 5. Results: The value of kappa, to assess the inter-observer agreement, was 0.51 (p < 0.001). The variables of the halo-sign-positive group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alo-sign-negative group. The rate of transfusion for the halo-sign-positive group was about 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halo-sign-negative group and the rate of mortality was about 6 times higher. Conclusion: In the setting of trauma, early abdominal CT can show diffuse abnormalities due to hypoperfusion complex. Recognition of these signs is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an unwanted outcome in hemorrhagic shock. We conclude that the halo sign is a useful one for hypoperfusion complex and that it is useful for assessing the degree of hemorrhagic shock.

폐렴 간균-괴사성 근막염에 이어 발생한 간농양 (Klebsiella Pneumonia-Necrotizing Fasciitis followed by Liver Abscess)

  • 이승현;최정우;이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27-431
    • /
    • 2018
  • 본 저자들은 괴사성 근막염 환자에서 간농양이 발생한 사례가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5일 동안 지속되는 우측 대퇴부의 통증을 동반한 부종, 발열, 오한을 주소로 51세 남자 환자가 본원에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시행한 MRI 검사 상 우측 대퇴부의 후내측과 후외측 부분에 공기 방울로 보이는 다량의 어두운 음영과 액체 군집이 있어 괴사성 근막염으로 추정 진단하였다. 입원 당시 시행한 복부 초음파 검사 상 양측 신장의 실질 에코는 증가하였지만 간 내 농양은 보이지 않았다. 근막절개 10일 후에 시행한 복부 컴퓨터 단층촬영 검사 상 간 내 농양이 보여, 초음파 검사를 통한 경피적 배액술을 시행하였다. 우측 대퇴부와 간농양에서 배약된 농 검체 모두 폐렴 간균이 배양되었다. 환자는 몇 차례 근막 절개술을 시행 받았고 비경구항생제로 치료한 결과 점차 호전이 되기 시작했다. 치료 시작 5주 후 간농양의 크기는 감소하였고, 10주 후 간농양은 사라졌다. 우리가 아는 한 폐렴 간균 괴사성 근막염에서 간농양이 발생한 첫 사례이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신장 초음파 검사에서 연령대에 따른 신장 기능 지표와 신장 크기 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Kidney Function Indicators and Kidney Size According Age Groups in Ultrasonography)

  • 고려원;성열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871-8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검사 시 정상인을 대상으로 연령대에 따른 신장 기능 지표와 신장 크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 정상인 170명(남:86명, 여:84명)을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피검사자는 옆으로 누운 자세로 좌/우측 신장을 2번씩 신장 길이와 너비 그리고 단면적으로 신장 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신장 길이는 최대 상극에서 최대 하극까지 측정하고 같은 초음파 영상에서 가장 넓은 너비를 계측하여 단면적을 구하였다. 그 외 관련인자로 체표면적, 혈중크레아티닌, 사구체여과율, MDRD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C-G (Cockcroft-Gault)를 조사하였다. 성별에 따른 연령대별로 관련인자 간의 유의한 차이 비교는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관련인자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했으며 Pearson과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이때 p 값이 0.05보다 작을 때 유의성이 있다고 정의하였다. 그 결과, 신장의 길이, 너비, 단면적 등은 사구체 여과율, C-G, MDRD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신장 초음파 검사 시 신장 길이 하나만을 측정하기보다는 관련 인자를 함께 평가한다면 신장 질환에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소아 급성 세균성 신엽염의 임상상 및 신장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enal Outcomes of Acute Focal Bacterial Nephritis in Children)

  • 이동기;권덕근;임윤주;신윤혜;윤석남;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8권2호
    • /
    • pp.229-238
    • /
    • 2004
  • 목적: 소아에서 드문 질병인 급성 세균성 신엽염의 질병 성격을 살피기 위하여, 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발현 증상, 임상 경과, 치료 반응, 동반 요로 기형, 신장 손상 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복부 초음파 또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하여 신엽염으로 확진된 9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진료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들의 연령분포는 1개월에서 6세까지 평균 $2.8{\pm}2.2$세였으며, 성별로는 남자 6명 여자 3명이었다. 발열 및 오한은 모든 환자에서 있었고, 그 외 복통, 배뇨곤란 및 빈뇨가 있었다. 내원 당시 시행한 검사실 검사상, 백혈구수 $21,000{\pm}5,600/uL$, ESR $60{\pm}23mm/hr$, CRP $17{\pm}10\;mg/dl$이었으며. 혈액 배양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소변 검사상, 농뇨 및 현미경적 혈뇨는 모든 환자에게 있었고, 치료후 농뇨가 소실되기까지 $10.5{\pm}7.8$일이 소요되었다. 복부 초음파 검사상, 신장에 국소적으로 경계가 불명확하면서 에코가 떨어져 있는 신엽염 소견이 5명(55.5%)에서 관찰되었다.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는 불명확한 경계를 띠고 조영제에 증강이 잘 되지 않는 쐐기 모양의 신엽염의 소견이 모든 환자에서 관찰되었다. 방광요관역류는 3명(33.3%)에서 있었으며, 모두 3단계 이상이었다. $^{99m}Tc-DMSA$ 스캔에서는 일측 또는 양측 신장의 피질 손상이 확인되었다. 4개월 후 추적한 스캔상, 6명중 2명(33%)은 이전에 비해 병변의 크기가 감소되었으나, 나머지 4명(67%)은 병변의 크기가 불변 또는 약간 악화된 소견이었다 환아의 총 발열기간은 $11.8{\pm}6.3$일로, 이중 입원전 기간은 $4.0{\pm}3.0$일, 입원후 기간은 $7.8{\pm}5.5$일이었다. 입원 기간은 7일에서 31일까지 평균 $17.2{\pm}8.1$일이었다. 결론: 요로감염 환아에서 치료 후에도 1주이상 발열, 농뇨, 높은 혈액 염증 수치가 지속될 경우 '급성 세균성 신엽염'을 적극 의심하여야 하며, 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신장 초음파검사 보다는 컴퓨터 단층 촬영을 우선 실시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 대장 게실염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f Acute Colonic Diverticulitis in Children)

  • 심재훈;송금호;심은정;조도준;김덕하;민기식;유기양;이혜란;이관섭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1호
    • /
    • pp.1095-1100
    • /
    • 2003
  • 목 적 : 대장 게실염은 일반적으로 주로 노인층에서 발생하고 젊은 연령층에서는 드물게 발생하지만,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오진되어 불필요한 수술을 받기도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소아에서 대장 게실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드물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발생한 대장 게실염의 임상 양상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5년간 한림대학교 의료원 산하 한림대학교 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에서 대장 게실염으로 진단되어 치료받은 18세 이하의 환자, 총 15명을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 분포, 증상 및 징후, 추정 진단명, 게실염의 진단 방법, 게실염의 발생 위치 등의 임상 양상과 치료 방법, 경과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성별 및 연령 분포: 전체 15명의 평균 나이는 15세였고, 최연소는 8세이었으며 남녀 비는 1.5 : 1이었다. 2) 임상 증상과 징후 : 환자의 입원 당시 주증상으로는 우하복부 통증이 12명(80%)으로 가장 많았고 주증상과 동반된 임상 양상으로는 오심, 구토 등이 주로 있었다. 3) 입원 당시 추정 진단명 : 급성 충수 돌기염이 13명(87%)으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난소 낭종 파열 1명, 급성 신우신염 1명씩 있었다. 4) 진단 방법 : 대장 게실염을 진단한 방법으로는 복부 초음파 10명, 대장 조영술이 3명, 수술 소견으로 확인된 경우가 1명이었고, 1명에서는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진단되었다. 5) 대장 게실염의 위치 : 모두 우측 대장에 발생하였고, 이 중 상행 결장에 단발성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 상행 결장과 맹장에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3명이 있었으며 맹장에 단발성으로 발견된 경우는 3명이 있었다. 6) 치료 및 경과 : 14명의 환자가 항생제를 포함한 보존적 치료를 받았고 1명의 환자가 수술적 치료를 받았는데, 보존적 치료를 받은 14명 중 2명에서 반복적인 복통이 있었고 이 중 1명은 재입원하였고 다른 1명은 재발된 복통으로 인해 응급실을 방문하여 보존적 처치 후 귀가하였다. 수술 받은 환아 1명에서 복통의 재발은 없었다. 7) 대장 게실염의 빈도 : 같은 연구 기간 동안에 18세 이하에서 급성 충수 돌기염으로 진단 받은 환아는 총 1,272명이었고 따라서 급성 대장 게실염은 급성 충수 돌기염 1,000명당 11.7명의 빈도로 발생하였다(약 1.2%). 결 론 : 우하복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소아의 경우 급성 대장 게실염을 감별진단으로 고려해야 하고 급성 충수 돌기염과 감별하기 위해 복부 초음파 검사나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의 방사선학적인 진단 기술을 이용하여 세밀히 진단한 후 그 치료 방법을 정하는 것이 합당하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급성 대장 게실염은 보존적 치료로 완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중국 흑룡강성 간흡충증 관리사업(2001-2004) (Final Report of China-Korea Collaborative Project of Control Strategies of Clonorchiasis in Heilongjiang Pilot Areas(2001-2004))

  • 지주오;이즈민;왕수유;위안런;거타오;위안샹;추이창위안;거홍안;평정;슈롱치;홍성태;최민호;조승열;최동일;홍광선;임한종;이순형
    • 한국건강관리협회지
    • /
    • 제3권1호
    • /
    • pp.72-83
    • /
    • 2005
  • The present pilot project was executed to recommend a strategy of clonorchiasis control in China. The pilot area of this project was Zhaoyuan, Hailin, and Ningan, Heiloagjiang province. A baseline survey subjecting 4,865 residents in Heilongjiang confirmed Zhaoyuan asa high endemic area and Hailin and Ningan as moderate endemic areas. Six different control strategies were implemented in Zhaoyuan, two were in Hailin, and one was in Ningan. Including the baseline survey and project programs from 2000 to 2004, total 63,274subject-times were examined of their feces for Clonorchiseggs, 26,680 were treated, 10,082 were screened by ELISA, and 6,130 subjects were examined of their liver by sonography. The egg Positive rates in 6 villages of Zhaoyuan were as high as 44.8% 70,0%. Following the protocolof each strategy, the subjected residents were examined of their feces and treated with 25 mg/kg praziquantel, 3 times. Except the control group, all of the villages showed 72.8% to 92.0% reduction of their original egg Positive rates at Zhaoyuan. Mass treatments of all subjected residents in 2001 and 2003 reduced the egg rate from 68.8% to18.7% and 4 annual mass treatments reduced the rate from 44.8% in 2001 to 8.7% in 2004.Selective annual treatments of egg positive subjects reduced the egg rates from 50.8% in2001 to 13.8% in 2004 or from 70.0% in 2001 to 11.6% in 2004, and two treatments in a year reduced the rate from 57.6% in 2001 to 4.6% in 2004. According to repeated treatments, EPG counts decreased remarkably. In moderate endemic areas, the original egg rates were 22.6% and 28.3% in 2001 but were 1.7% and 1.1% after 2 or 3 selective treatments. The present findings of the chemotherapeutic control of clonorchiasis prove that repeated medication is important. The reduction is directly correlated with dose of praziquantel but not with mass or selective treatments. Chemotherapeutic control of reservoirhosts has little effect on reinfection of clonorchiasis because the field along the Songhua-jiang is too wide to be impacted. ELISA confirmed many serologically positive cases to Clonorchisantigen but only a few cases were positive to other antigens (Paragonimus, cysticercus, sparganum). The abdominal soaography visualized intrahepatic bile duct dilatation and periductal echo in 2,002 of 6,070 examined subjects. In addition to these examinations and treatment, health education supplemented tㅗe control activities. The present findings prove clonorchiasis is very widely prevalent and heavily endemic along the rivers in Heiloagjiang. The results suggest that group chemotherapy with praziquantel is effective to reduce endemicity of clonorchiasis. Mass treatment without individual fecal examination is recommended in heavy endemic areas where the egg rate is over 40% while one selective treatment is effective enough in moderate endemic areas.

  • PDF

비만 소아에서 1년 후 추적검사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 및 혈중 아디포넥틴의 변화 (Alteration of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diponectin levels after one year follow-up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 정민지;신정연;김수영;이정화;이기형;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8호
    • /
    • pp.767-773
    • /
    • 2007
  • 목 적 :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소아비만은 성인기까지 지속될 뿐 아니라 소아기에 이미 고지혈증, 지방간, 인슐린 저항성 등이 나타나며 향후 성인시기에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을 초래할 수 있어 더욱 문제가 된다. 본 연구는 동일한 비만 환아들을 1년 후 추적검사 하여 주요 임상지표 및 인슐린저항성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관리되지 않은 상태인 소아비만의 자연경과 및 예후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같은 성별과 연령에서 체질량지수(BMI)가 95 백분위수 이상인 8-15세 사이의 비만아 42명을 2004년 6월과 2005년 7월에 소집하여 신체치수 측정과 성 성숙도를 평가하고 혈액 검사를(공복 시의 혈당 및 인슐린, 간효소치, 혈청 지질치, 아디포넥틴)하여 1년 후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1년 후 대상 비만아의 BMI, 공복 인슐린 농도, 인슐린 저항성 및 고인슐린혈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감소하였다. 인슐린 저항성(HOMA-IR)은 BMI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춘기 전 보다 사춘기 시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춘기 전 보다 사춘기 시기의 비만아에서 의미있게 낮았다. 결 론 : 연구대상의 비만 소아들은 특별한 관리 없이 1년 후 검사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혈중 아디포넥틴 농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으로 이행하면서 발생하는 비만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비만 청소년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