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mectin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Determination of Abamectin Residue in Paprik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Xie, Wen-Ming;Ko, Kwang-Yong;Kim, Sung-Hun;Chang, Hee-Ra;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9-364
    • /
    • 2006
  • Reversed-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quantify abamectin (ABM) in paprika (Capsicum annum). Separation was achieved on a $C_{18}$ ODS column with a mobile phase of acetonitrile/water (96/4, v/v) mixture in an isocratic elution at the flow tate of 1.2 mL/min for avermectins (AVMs). The retention times were 8.0 and 9.7mins for AVM $B_{lb}$ and AVM $B_{1a}$, respectively. Residual AVMs (sum of AVM $B_{1a}$, AVM $B_{1b}$ and 8,9-Z-AVM $B_{1a}$) in the vegetable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 the silica solid-phase extraction cartridges were used to purify the extract. AVMs were derivatized using trifluoroacetic acid and 1-methylimidazole, and the derivatives were determined with a fluorescence detector (excitation at 365 nm and emission at 470 nm). High and consistent recoveries, ranging from 93% to 115%, were obtained for AVM $B_{1a}$ and 8, 9-Z-AVM $B_{1a}$ at fortified levels of $20{\mu}g/kg\;and\;200{\mu}g/kg$ for paprika.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was $2{\mu}g/kg$. The residual levels of AVMs in paprika in a field experiment from one day to seven days after the last application decreased from 18.40 to $7.59{\mu}g/kg$. The half-life $(T_{1/2})$ of AVMs in paprika was 1.47 days.

Amblyseius cucumeris 및 Amblyseius fallacis에 대한 저독성약제 선발 (Selection of low toxic insecticides for phytoseiid predatory mites, Amblyseius cucumeris and Amblyseius fallacis)

  • 최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96-301
    • /
    • 2003
  • 최근 경제작물 재배를 위해 시설재배 면적이 증가되고 있으며, 해충방제를 위해 사용된 농약의 부작용 문제로 인하여 농약과 천적의 조화로운 사용을 강조하는 해충의 종합적 방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시설재배지에서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점박이응애 및 총채벌레의 천적인 Amblyseius cucumeris와 Amblyseius fallacis에 대해 저독성약제를 선발하기 위해 2가지 생물검정기술 (slide dipping method, potter spray tower method)을 이용하였다. Potter spray tower method로 살포된 약제는 살충작용과 기피효과를 보였으며, 기피효과를 보이는 살충제는 slide dipping method 에 의해 살충율을 효과적으로 평가 할 수 있었다. 1994년에 선발 개발된 permethrin 저항성계통 A. fallacis 상품의 저항성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1999년 현재 같은 피레스로이드계통인 deltamethrin에 대한 저항성 감소는 보이지 않았으며, permethrin 저항성계통에 대해 imidacloprid, fipronil, chlorfenapyr, abamectin, spinosad 등의 약제가 비교차저항성을 보였다.

점박이응애 야외개체군의 살비제 저항성 모니터링 (Monitoring of Acaricide Resistance in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in Korea)

  • Jum Bae Cho;Young Joon Kim;Young Joon Ahn;Jai Ki Yoo;Jeong Oon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0-45
    • /
    • 1995
  • 전국 8개 지역별 각 사과원에서 채집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일본 감수성 계통과 비교한 결과 지역별 현저한 감수성 차이를 보였다. Azocyclotin, fenpropathrin, propargite 및 abamectin에 대해서는 낮거나 중간 정도의 저항성을, dicofol, fenpyroximate 및 pyridaben에 대해서는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계통은 한종 또는 두종 이상의 약제에 대해 감수성을 보여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적당한 살비제의 선택적 이용으로 점박이응애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딸기에 등록된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급성 및 엽상잔류독성 (Evaluation of Acute and Residual Toxicity of Insecticides Registered on Strawberry against Honeybee (Apis mellifera))

  • 안기수;윤창만;김기현;남상영;오만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5-192
    • /
    • 2013
  • 딸기에 등록된 52종 살충제의 꿀벌 성충에 대한 분무독성검정, 엽상잔류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무 급성독성검정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 (IOBC)의 기준에 따라 30% 이하의 독성을 해 없음으로 분류한 결과, 딸기에 등록된 32종(flonicamid, lufenuron, novaluron, acetamiprid 3종, thiacloprid, milbemectin, acequinocyl, TBI-1, chlorfenapyr 2종, chlorfluazuron, cyenopyrafen, cyfumetofen, etoxazole, fenpyroximate, flubendiamide, flufenoxuron, hexythiazox, metaflumizone, methoxyfenozide 2종, DBB-2032, pyridalyl, spiromesifen, tebufenpyrad, teflubenzuron, acetamiprid + methoxyfenozide, acrinathrin + spiromesifen, bifenazate + spiromesifen, Cyenopyrafen + flufenoxuron)이 독성이 낮아 꿀벌에 안전하고, 20종이 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독성검정에서 90%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엽상잔류독성을 검정하였다. 약제처리 1일후에 emamectin benzoate EC, indoxacarb SC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Emamectin benzoate는 약제처리 3일, idoxacarb SC는 약제처리 7일, abamectin는 약제처리 14일에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Indoxacarb WP, thiamethoxam WG, abamectin + chlorantraniliprole SC, acetamiprid + etofenprox WP, acetamiprid + indoxacarb WP,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 bifenazate + pyridaben SC, chlorfenapyr + clothianidin SC는 31일까지 90%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여 잔류독성이 매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관주처리에서 thiamethoxam WG은 약제처리 28일이 지난 후에 76.9% 독성을 보인 후 31일에 50.0% 독성을 보였고, 그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과 tefluthrin + thiamethoxam GR은 약제처리 24일에 각각 57.1%와 80.0%의 독성을 보였지만 그 이후에는 독성이 없었다. 분무처리에서 thiamethoxam WG와 bifenthrin + clothianidin SC는 약제처리 35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Thiamethoxam WG,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를 약제처리 후 7일간격으로 물을 분무 살포하고 잔류독성을 평가한 결과, thiamethoxam WG는 처리 21일까지는 100%의 잔류독성을 보였으나 28일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와 bifenthrin + imidacloprid WP는 약제처리 49일까지 100%의 사충율을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Compatibil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Lecanicillium attenuatum and Pesticides to control Cotton Aphid, Aphis gossypii

  • Kim, Jeong-Jun;Kim, Kyu-C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43-146
    • /
    • 2007
  • Concerns of entomopathogenic fungi as alternative pest control agents are increasing even though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control agents for pests and diseases in crop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of fungicides and insecticides on an isolate of Lecanicillium attenuatum that was reported to have the pathogenicity against cotton aphid, because fungicides and/or insecticides can apply with mycopesticides simultaneous, before and/or after. Fungicides fenbuconazole+thiram and propineb inhibited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L. attenuatum CS625; dimethomorph and procymidone did not affect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 insecticide abamectin, deltamethrin, imidachropride, and spinosad had no detrimental effects on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areful selection of pesticides and fungicides can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pest and disease control with microbial pesticide.

Avoidance Behavior of Honey bee, Apis mellifera from Commonly used Fungicides, Acaricides and Insecticides in Apple Orchards

  • Kang, Moonsu;Jung, Chuleui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95-302
    • /
    • 2017
  • Avoidance behavior is an important life history strategy to survive hazardous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ct the avoidance tendency of the honeybee Apis mellifera against commonly used pesticides in apple production. Choice test given only 50% sucrose solution and pesticide-mixed sucrose solution as food estimated the avoidance in laboratory. Most of the acaricides and fungicides tested were shown avoided. Among insecticides, honeybee showed strong avoidance to cyhexatine, carbosulfan and fenpyroximate but low to diflubenzuron, tebufenpyrad, and acrinathrin. Avoidance behavior to neonicotinoid insecticides showed bifurcated; highly avoided from thiacloprid, acetamiprid while less avoided from imidacloprid, thiamethoxam and dinotefuran. From the field study, abamectin, fenthion, amitraz and acequinocyl showed highly avoided while fungicide of fenarimol, acaricides of acrinathrin and phosphamidon, IGR insecticide of diflubenzuron, neonicotinoid insecticide of imidacloprid, and carbamate insecticide of carbaryl showed less avoidance in the field. These results partly explained high bee poisoning from carbaryl in apple flowering period, and neonicotinoids during season.

사과원에서 채집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의 지역별 살비제 감수성 (Acaricide susceptibilities of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Acari:Tetranychidae) from Apple Orchards)

  • 송철;김길하;안수정;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8-333
    • /
    • 1995
  • 전국 6개 지역의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를 채집하여, 15종의 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감수성을 비교하였다. 공시살비제에 대한 성충과 알의 약제감수성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제의 종류별 감수성은 지역에 따라 다향하게 나타났는데, 지역 계통별 살비제에 대한 저항성비가 20이상인 약제들을 성충과 알로 나누어 정리하며, 성충의 경우, 수원 계통은 azocyclotin, cyhexatin,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청주 계통은 dicofol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cyhexatin, dicofol, fenbutatin-oxide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알의 경우는 수원 계통은 bifenthrin, clofentezine, hexythiazox, tetradifon에 대하여, 군위, 청주, 광주 계통들은 bifenthrin에 대하여, 대전 계통은 amitraz, bifenthrin에 대하여, 진주 계통은 amitraz, bifenthrin, clofentezine, dicofol, tetradifon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abamectin, chlorfenson, fenpyroximate에 대한 약제감수성은 채집 지역에 관계없이 실내 감수성 계통과 차이가 없었다.

  • PDF

Dicofol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저항성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if Resistance in Dicofol-selected Strai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and its Cross Resostance)

  • 김길하;송철;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0-236
    • /
    • 1994
  •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R_d$$LC_{50}$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F_1$ (R♀, XS♂, R♂, XS♀)은 농도와 사망률 관계에서 감수성 차이가 있었다. 또 $F_1$ (R♀, XS♂, R♂, XS♀)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2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_d$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와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Schicha)에 대한 몇가지 농약의 선택독성 (Toxicity of Some Pesticides to Twospotted Spider Mite (Acari: Tetranychidae) and its Predator Amblyseius womersleyi (Acari; Phytoseiidae))

  • C. G. Park;J. K. Yoo;J. O. Lee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2-237
    • /
    • 1996
  • 사과원에서 사용되는 살비제 5종, 살충제 4종, 살균제 6종올 추천농도로 희석하여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한 상대독성을 엽침지법으로 실험실에서 조사하였다. Dicofol은 점박이응애와 긴털이리응애에 대해 독성이 매우 강하였으며, 이들의 난에 대해서도 각각 46%와 40%의 致死效果가 있었다. Abamectin 용액에 침지된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의 사망율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으나 점박이응애의 암컷성충은 24시간 이내에 모두 사망하였다. Tetradifon, Clofentezine, Hexythiazox등 3종의 살란성 살비제는 점박이 응애의 난에 대해서는 90%이상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긴털이리응애 난의 부화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다. Teflubenzuron, Triflumuron, Diflubenzuron, lmidacloprid 등 4종의 살충제와 Propineb, Fenarimol, Polyoxin-B.captan 등 3종의 살균제는 긴털이리응애 암컷성충에 대해 살비효과가 없었으며, Chlorothalonil, Nuarimol . Mancozeb, Folpet 등 3종의 살균제도 23% 이하의 낮은 살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긴털이리응애 난이나 암컷성충에 저독성을 나타내는 4종의 살충제와 4종의 살비제 및 6종의 살균제는 사과원 병해충 종합관리체계에서 긴털이리응애와 함께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여러 환경 조건에 따른 균사 생장 특성 (Mycelial growth properties of an Amanita javanica strain under various culture conditions)

  • 강정아;가강현;김준영;윤성탁;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91-196
    • /
    • 2019
  • 노란달걀버섯은(Amanita javanica) 국내에서 산림법으로 보호받고 있는 식용 가능한 외생균근성 버섯이나, 중요한 산림자원으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특성 연구에 대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채집 야생버섯 자실체로부터 분리한 노란달걀버섯 NIFoS 1267 균주를 이용하여 PDA 배지 상에서 물리적 요인(온도, pH, 광)과 화학적인 요인(염분, 중금속, 농약)에 따른 균사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최적의 물리적 환경은 온도가 30℃, pH가 5-6, 암조건으로 배양이었을 때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적 요인으로서 염분은 2.0% 농도 조건까지 버섯균주의 균사 생장이 가능하였다. 50 ppm 농도의 중금속 이온 환경에서 비소(As) 이온은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생장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카드뮴(Cd)와 납(Pb) 이온은 균사 생장이 불가능하게 하였다. 국내 산림에 사용되고 있는 2가지 농약의 경우, Abamectin 첨가 배지에서는 노란달걀버섯 균주의 균사 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나 Acetamiprid, Emamectin benzoate, Thiacloprid가 첨가된 배지 환경에서는 균사 생장이 모두 다 저해 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상업적 생산을 위한 새로운 자원으로서 노란달걀버섯의 인공재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