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balon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9초

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육상수조사육에 관한 연구 I. 치패성장에 미치는 수조형태 및 사육밀도의 영향 (Indoor Tank Culture of th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 . Effects of tank shape and stocking density on the growth of young abalone)

  • 정성채;지영주;손팔원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20
    • /
    • 1994
  • 전복을 육상에서 사육하기 위한 시설형태 및 적절한 사육밀도의 구명을 위해 수조형태 및 수용밀도별 사육실험을 한 결과 1. 수조형태, 단별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리는 인정되지 않았고, 유수식과 순환식사육의 비교에서는 유수식의 성장도와 생존율이 좋았다. 2. 수조단수별 (3단)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아 동일량의 사육수로 단위면적 당 3배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3. 밀도별실험에서 $1000-2000마리/m^2$로 수용한 각장 약 20mm치패는 수용밀도에 따른 성장 차가 없었지만, 각각 200-600, 100-300마리의 밀도로 수용한 각장 약 40mm와 50mm의 치패는 수용밀도가 낮을수록 성장이 빨랐다. 4. 일간섭식률과 사료전환효율은 밀도가 낮을수록 높았고, 치패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다

  • PDF

참전복 치패에 대한 부착성 규조류의 먹이효율 (Dietary Value of Benthic Diatoms for Newly Settled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한형균;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3-161
    • /
    • 2000
  • 10종의 부착성 규조류를 대상으로 참전복 치패의 먹이효율을 조사하였다. 유생의 부착율을 실험 1에서 Rhaphoneis sp.가 31.6%, 실험 2에서는 P. tricornutum가 16.4%로 가장 높았다. 부착성 규조류를 먹이로 한 치패의 생존율은 실험1에서 Raphoneis sp.가 62.7%로 가장 높았고, N. incerta, C. schroderi, N. closterium 는 각각 56.8%, 55.2%, 54.3%로 비교적 높았으며, Navicula sp. (B-38)는 30.5%로 가장 낮았다. 그리고 실험 2와 3에서는 C. schroderi, N. incerta, P. tricornutum 및 Raphoneis sp.는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특히 C. schroderi는 67.6%, 49.4%로 가장 높았다. 반면, H. marina (40.4%, 15.7%), Nitzschia sp. (39.1%, 27.1%), N. closterium (35.2%, 18.0%)은 비교적 낮았다. 치패의 성장에 있어서 일간성장량은 부착율과 생존율이 높았던 C. schroderi에서 최고 83.3 ${\mu}$m로 가장 높았고, 생존율이 낮았던 H. marina와 N. closterium은 19.9~38.7 ${\mu}$m로 가장 낮은 일간성장량을 보였다.

  • PDF

온도구간별 파라아미노안식향산에틸과 담수에 의한 양식산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치패의 박리 및 마취회복에 관한 연구 (Study on Exfoliation and Recovery of Anesthetized Yound Abalones, Haliotis discus hannai Treated with Ethy-p-aminobenzoate and Freshwater in Different Temperatures of Sea water)

  • 최상덕;정성채;김호진;공용근;백재민;최규정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1-288
    • /
    • 1997
  • 참전복치패의 박리에 의한 패각 파손 및 연체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온에 따른 마취농도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및 담수)와 회복시간 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온 14$^{\circ}C$ 시험구에서 공시패 전부를 박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150 ppm, 100 ppm, 75 ppm, 50 ppm에서 각각 16분, 35분, 35분. 35분(80% 박리)이었고, 회복시간은 각각 100분, 60분, 30분, 30분이었다. 수온 $18^{\circ}C$ 시험구에서 공시패 전부를 박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300 ppm, 200 ppm, 150 ppm, 100 ppm, 75 ppm, 50 ppm에서 각각 4분, 4분, 6분, 8분, 8분, 12분이었고, 회복시간은 각각 210분(90%회복), 180분(95%), 90분, 60분, 30분, 20분이었다. 수온 $24^{\circ}C$24$^{\circ}C$시험구에서 공시패 전부를 박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150ppm, 100ppm, 75ppm, 50ppm에서 각각 8분, 10분, 10분, 12분이었고, 회복시간은 각각 70분, 50분, 30분, 20분이었다. 또한 공시패를 담수에 20분간 침적시켰을 때 담수 100%, 75%, 50%, 25%에서 각각 80%, 50%, 30%, 5% 박리되었고, 회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각각 60분(94%회복), 15분, 10분, 2분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온 ($14^{\circ}C$)보다는 고온 ($18^{\circ}C,\;24^{\circ}C$)에서 적정마취농도는 50ppm으로 사료된다. 해수 1l에 공시패 20마리 수용된 $16^{\circ}C$시험구의 용존산소량은 6.17-6.20 mg/$\ell$이었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용존산소량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파라아미노 안식향산 에틸 75 ppm에 60분 노출된 시험구의 용존산소량은 대조구보다 적게 감소하였다. 대조구 및 시험구 수조내 용존산소량은 각각 5.27 mg/$\ell$, 5.42-5.46 mg/$\ell$이었다. 마취 40분 경과후 용존 산소량은 변동하지 않았다. 또한 마취전과 후에 있어서 전복의 1분간 심장 박동수는 각각 33-45, 0이었다. 그리고 회복 후의 1분간 심장박동수는 29-43회로 정상을 유지하였다.

  • PDF

울산 연안의 전복 방류사업에 대한 경제적 효과분석 (An Analysis on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ai Releasing Project in the coastal area near Ulsan city)

  • 김광수;황진욱;박현철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261-271
    • /
    • 2006
  •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economic effectiveness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ai Releasing Project(ARP) conducted in the fishing ground owned by a fishing village in Ulsan, Ko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verage ratio of released abalones in the total landing after releasing is shown to be 85.0%. Second, the recapture rate of released abalones is 46.8%, exceeding the recapture rate of BEP(Break-Even-Point), 22.9%. Third, it is evaluated that total economic effectiveness of the ARP is 6.7-6.8 times, net effectiveness is 2.2-2.3 times, and the NPV(Net Present Value) discounted by a 8% interest rate is 474, 635 thousand wons, indicating the project is profitable. Considerable parts of the positive results on the ARP are based on some beneficial conditions, including the selection of favorable releasing sites, best self-regulation system of a fishing village for preservation of seaweed facilities and continued activities for protecting small abalones and their rearing.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success of the ARP would be primarily dependent upon the selection of releasing site and effective management system after releasing.

한국산 전복을 이용한 교잡종 개발 (Molecular and Physiological Aspects of Breed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Hybrids between Abalones Distributed in the Coast of Korea)

  • 이종규;서용배;김군도;임한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218-1223
    • /
    • 2016
  • 전복은 전복과 전복속에 속하는 복족류 연체동물로, 전 세계적으로 어업에 의한 식용전복의 공급은 감소하고, 양식에 의한 전복생산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일본, 중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전복은 중요한 해양 식량자원이며, 양식 산업에 있어서도 그 비중이 증가되고 있긴 하나, 그 느린 성장 속도가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로 여겨진다. 선별, 종내교잡, 종간교잡, 배수체 등과 같은 여러 진보된 기술의 도입을 통하여 전복의 주요 양식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양식용 전복품종개발을 위하여, 한국 해안에 서식하고 있는 전복은 6종(Haliotis discus hannai,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discus, 둥근전복; Haliotis makada, 왕전복; Haliotis gigantea, 말전복; Haliotis diversicolor diversicolor, 마대오분자기; Haliotis diversicolor supertexta, 오분자기) 간의 교배를 통한 교배종 개발이 유용한 기술 중의 하나가 될 수 있으며,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에 서식하는 종 간의 교배종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오고 있다. 유용한 잠재적 형질을 가진 한국 산 전복들의 계통학적 관계와 이들의 종 판별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며, 이들 종들로부터 개발된 분자 마커의 현황과, 성공적인 양식용 교잡종 개발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유전적 사항들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β-glucan 첨가물 (이뮨글루®) 급이를 통한 북방전복 (Nordotis discus hannai) 의 비특이 면역력과 생존율 증대 효과 (Effects of β-glucan (Immuneglu®) on the modulation of non-specific immune parameters and survival rates of cultured abalone Nordotis discus hannai)

  • 김승현;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9-125
    • /
    • 2016
  • 본 연구는 ${\beta}$-glucan이 첨가된 사료첨가제 (이뮨글루$^{TM}$) 급이시 전복의 비특이 면역력의 증강 효과와 전염성 질병 감염 시 생존율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참전복 치패와 성패를 대상으로 이뮨글루$^{TM}$ 0, 0.1, 1%가 함유된 사료를 14일간 급이 하면서 면역력, 정균력, 생존율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이뮨글루$^{TM}$가 함유된 사료를 급이한 전복의 치패와 성패의 식세포작용이 증가하였으며 전복폐사 원인균인 Vibrio alginolyticus에 대한 정균력과 생존율이 상승하였다. 반면 염증량을 나타내는 NO량 역시 증가하였다. 따라서 ${\beta}$-glucan이 첨가된 사료첨가제 이뮨글루$^{TM}$는 전복 사육 시 전복의 면역력을 높이고 폐사율을 낮추는데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 배합사료, 관행사료 및 미역 공급이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및 참전복 치패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perimental Diet, Commercial Diets and Algar(Undaria)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Among Juvenile Abalones (Haliotis disucs, H. sieboldii and H. discus hannai))

  • 김재우;이상민;한석중;김병학;박승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05-512
    • /
    • 1998
  • 이미 연구된 참전복용 경제적인 실험 배합사료로 까막전복과 시볼트전복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상품사료 및 미역과 비교하였다. 3 종류의 전복 모두 평균 체중 0.31g 인 치패를 각 사료마다 3반복으로 9주간 사육한 결과 ,체중 및 패각성장은 동일 전복종류내에서는 배합사료를 공급한 실험구들이 미역 공급구보다 성장이 좋았고(P<0.05), 동일 사료내에서는 시볼트전복, 까막전복, 참전복 순으로 성장이 좋았다(P<0.05). 생존율은 시볼트전복과 까막전복이 97~99%로 참전복의 74~77%에 비해 높았으며(P<0.05), 각 전복 종내에서의 사료 종류별로는 그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는다(P>0.05). 전복 가식부의 일반 성분은 전복종류 및 사료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서 사용된 배합사료들은 3종류 전복 모두에 실용적인 사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3배체의 생식능력 (Maturity and Spawning of the Triploid Pacific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지영주;남보혜;이정용;장영진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5-111
    • /
    • 2013
  • 참전복의 배수체별 생식소 조직 관찰에서 2배체 난소의 경우에는 성숙기를 거쳐 방출기로 들어가고 있는 상태이며, 2배체 정소의 경우에는 방출기의 상태였다, 이에 비해 3배체 전복의 생식소는 발달이 억제되어 난소는 성장기 혹은 성숙기의 상태이고, 정소는 성숙기의 단계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전복은 완전한 불임이 되는 것은 아니고 어느 정도 성숙이 억제된다고 생각된다. 3배체 참전복의 산란 유발 실험에서 산란 유발에 반응한 개체는 2배체는 암수 전부 반응해서 100%의 산란 유발율을 나타냈고, 3배체는 암컷 50%, 수컷은 25%의 산란 유발율을 나타냈다. 산란된 알과 정자를 배수체별로 조사한 결과, 2배체의 정자는 장경 17.47 ${\mu}m$, 단경 11.40 ${\mu}m$ 및 정자의 길이 103.94 ${\mu}m$이었던 데 비해 3배체 정자는 장경 10.86 ${\mu}m$, 단경 8.47 ${\mu}m$ 및 정자의 길이 85.06 ${\mu}m$로서 2배체 정자가 3배체 정자보다 장경, 단경, 정자의 길이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길었다 (P < 0.05). 알의 직경은 2배체가 199.50 ${\mu}m$, 3배체가 192.50 ${\mu}m$로서 2배체가 컸으나 유의한 차는 없었다 (P > 0.05). 배수체별 교배 실험에서 2배체 ${\times}$ 2배체는 정상적으로 수정되어서 발생을 했으나 2배체 알 ${\times}$ 3배체 정자와 3배체 알 ${\times}$ 2배체 정자의 경우에는 수정이 되지 않았다.

배합사료에 모자반 분말 첨가가 참전복 치패의 성장과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Sargassum Supplemented Diets on Growth and Composition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이상민;임태준;허용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9-244
    • /
    • 2000
  • 참전복 치패용 배합사료 원료로서 모자반의 이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사료의 어분, 대두박 및 소맥분을 모자반으로 각각 10%씩 대체한 배합사료를 제조하여 평균체중 428 mg의 참전복을 대상으로 사료당 4반복으로 130일간 사육실험하였다. 생존율은 89~95%로 모든 실험구간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증중량은 소맥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가 대조구와 대두박을 모자반 대체한 실험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P<0.05), 어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는 타실험구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가식부의 수분, 회분과 지질 함량은 실험구간에 서로 유의차가 없었으며 (p>0.05),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어분을 모자반으로 대체한 실험구와는 유의차가 없었다 (P>0.05). 위와 같이 참전복 배합사료에 어분이나 소맥분을 각각 모자반으로 10% 정도 대체할 수 있어 참전복 배합사료의 단백질원에 대한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chlodinium Red Tide Effects on the Respir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Ino

  • Seo, Kyung-Suk;Lee, Chang-Kyu
    • ALGAE
    • /
    • 제22권3호
    • /
    • pp.241-246
    • /
    • 2007
  • Cochtodinium votykrikoides -related red tide is the most notorious tidal bloom, resulting in mass mortality to marineanimals.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 of C. polyknkoides on the lethality to Haliotis discus hannai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he oxygen demand of C. polykrikoides increases to reach its peak duhng the night, while the oxy-gen usage by H. discus hannai was continuously decreased with a threshold of 2 mg L U. The addition of C.polykrikoides did not effect the respiration of the H. discus hannai. However, the usage of oxygen by C. polykrikoidesduhng the night may lead to anoxia in the animal. With aeration,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D.O.) was between6.06 and 7.28 mg LU; 90% of abalones survived even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C. potykrikoides (9000 cells mL U).Without aeration (3 mg LU of D.O.), however, the H. discus hannai suffocated immediately. Once 20 hours hadelapsed, all of the abalones were dead. The density of the H. discus hannai population contributed to their mortality.Therefore, aeration during the night and maintaining lower abalone densities is the best way to promote the sur-vivorship of H. discus hannai during a C. polykrikoides red t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