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tocopherol

검색결과 753건 처리시간 0.028초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생분해성 폴리($\varepsilon$-카프로락톤)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Release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varepsilon$-caprolactone) Microcapsules Containing Tocopherol)

  • 박수진;김기석;민병각;홍성권
    • 폴리머
    • /
    • 제28권2호
    • /
    • pp.103-110
    • /
    • 2004
  •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폴리($\varepsilon$-카프로락톤)(PCL) 마이크로캡슐은 액중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하였고, 제조 조건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특성과 PCL 필름을 사용하여 PCL의 분해거동을 측정하였다 제조된 마이크로캡슐의 크기 및 형태와 구조적 특성은 각각 SEM과 XRD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심물질의 농도에 따른 마이크로캡슐의 표면자유에너지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마이크로캡슐은 유화제로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한 경우 안정된 구형의 마이크로캡슐이 형성되었고, 마이크로캡슐의 표면자유에너지와 PCL의 결정성은 감소하고, PCL 필름은 악 21일 후 분해가 시작되었다. 토코페롤의 방출특성은 UV/vis.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마이크로캡슐의 방출속도는 교반속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이는 교반속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된 마이크로캡슐 입자 크기에 의한 방출용액과 마이크로캡슐 사이의 계면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Determination of Optimal Harvest Time of Chuchung Variety Green Rice® (Oryza sativa L.) with High Contents of GABA, γ-Oryzanol, and α-Tocopherol

  • Kim, Hoon;Kim, Oui-Woung;Ha, Ae Wha;Park, Sooj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2호
    • /
    • pp.97-103
    • /
    • 2016
  • In our previous study, an early-maturing variety of rice (Oryza sativa L.), Jinbu can have feature with unique green color, various phytochemicals as well as nutritive components by the optimal early harvesting, called Green Rice$^{(R)}$ (GR). The aims of the present field experiments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in the weight of 1,000 kernels, yield, and contents of proximate and bioactive compounds in Chuchung, a mid-late maturing variety, during the pre-harvest maturation of rough rice and to research the appropriate harvest time and potent bioactivity of Chuchung GR. The weights of 1,000 kernels of Chuchung GR dramatically increased until 27 days after heading (DAH). The yields of Chuchung GR declined after 27 DAH and significantly declined to 0.0% after 45 DAH. The caloric value and total minera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GR than in the full ripe stage, the brown rice (BR). In the GR, the contents of bioactive compounds, such as ${\gamma}$-aminobutyric acid, ${\gamma}$-oryzanol, and ${\alpha}$-tocopherol, were much higher (P<0.05) than those in the BR, specifically during 24~27 DAH. Therefore, bioactive Chuchung GR can be produced with a reasonable yield at 24~27 DAH and it could be useful for applications in various nutritive and functional food products.

$H_2O_2$로 유도된 WB-F344 세포의 GJIC 억제에 대한 색상별 파프리카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Lipophilic Extract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s on Inhibition of $H_2O_2$-induced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s)

  • 김지선;김선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59-367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phytochemicals, including various carotenoids, tocopherol and L-ascorbic acid, in green, yellow and orange paprikas (GP, YP and OP) and measured the preventive effects of lipophilic extract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s on the blockage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GJIC), which is known as a cellular event associated with tumor promotion. Main carotenoids were lutein and ${\beta}$-carotene in GP, lutein, ${\beta}$-carotene, capsanthin, violaxanthin, ${\beta}$-carotene and capsorubin in YP, and lutein, ${\beta}$-carotene, cryptoxanthin and zeaxanthin in OP. Total carotenoid contents were $65.54{\pm}15.87$ mg/100 g dw in OP, $11.98{\pm}0.69$ mg/100 g dw in YP and $10.30{\pm}1.43$ mg/100 g dw in GP. Tocopherol contents were highest in GP compared with in YP and OP, whereas L-ascorbic acid contents were very high in all paprikas. We determined the non-cytotoxic levels of paprika extracts by MTT assay, which showed less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induced by $500{\mu}M$ $H_2O_2$ for 1h. Finally, we showed that pretreatment of paprika extracts prevented inhibition of GJIC induced by $500{\mu}M$ $H_2O_2$ by the scrape-loading/dye-transfer technique. In conclusion, each colored paprika has unique phytochemicals and showed a protective effect on inhibition of GJIC.

항산화제 첨가가 한우 체외 수정란의 체외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ntioxidants on In Vitro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Derived from In Vitro Fertilization)

  • 문승주;김은국;김재홍;명규호;선상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4
    • /
    • 1999
  • The effect of several potential antioxidants were examined as a means of increasing the in vitro development of in vitro matured and in vitro fertilized oocytes into morulae and blastocysts. Korean native cattle embryos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cultrued for 7 days at 38.5$^{\circ}C$ in CR1aa containing varing concentration of the antioxidants in a gas phases consisting of 5% CO2, 95% humidified air.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ed to morulae and blastocysts in CR1aa containing 2.5uM $\alpha$-tocopherol(11.0% and 6.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5.0, and 7.5uM $\alpha$-tocopherol (P<0.05). concentration of 50uM L-ascorbic acid (7.5% blastocysts) did affect the proportion of embryos developing into blastocystes(P>0.05). Addition of 200uM cysteami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100 and 300uM (P<0.05). When the fertilized oocytes were cultured at 0. 200, 400 and 600uM of selenium for 168 hrs, the morulae rates were 12.2, 5.2, 16.0 and 16.1% respectively, and addition of 200uM seleniu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0, 400, 600uM (P<0.05).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alpha$-tocopherol, L-ascorbic acid, cysteamine and selenicum can enhanced development to the morulae and blastocysts of in vitro derived fertilized oocytes.

  • PDF

떡쑥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들의 항산화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Antioxidant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Di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Isolated from Gnaphalium Affine D. DON)

  • 임나리;김해수;하지훈;노근영;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6권4호
    • /
    • pp.470-47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떡쑥 추출물로부터 3가지 dicaffeoylquinic acid (DCQA)를 분리 정제하여 구조를 결정하고, 항산화 활성,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tyrosin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떡쑥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 $^1H$-NMR 및 MS 분석을 한 결과, 분리된 화합물은 총 3가지 DCQA 유도체 : 3,5-dicaffoylquinic acid (3,5-DCQA, 1), 4,5-dicaffeoylquinic acid (4,5-DCQA, 2), 1,5-dicaffoylquinic acid (1,5-DCQA, 3)로 나타났다. 분리된 compound 1-3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활성($FSC_{50}$)은 각각 3.70, 5.80 및 $5.50{\mu}M$로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FSC_{50}=21.90{\mu}M$)과 비교하여 더 큰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1O_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는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세포보호활성을 나타내었다. Compound 1-3의 tyrosinase 저해활성($IC_{50}$)은 각각 0.15, 0.16, 및 0.13 mM로 미백성분으로 알려진 arbutin ($IC_{50}=0.33mM$)과 비교하여 높은 tyrosinase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세 가지 DCQA가 식품 또는 화장품 산업에서 항산화 및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Bulk와 Emulsion System에서 유지에 대한 항산화제와 유화제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Some Antioxidants and Emulsifiers in Bulk and Emulsion Systems)

  • 김인원;신동화;장영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77-1083
    • /
    • 1999
  • 다른 유지상(bulk, oil-in-water)에 친수성 항산화제로서 gallic acid를 소수성 항산화제로서 ${\delta}-tocopherol$을 처리하고, HLB(hydrophilic lipophilic balance)에 따른 유화제를 처리하여 기질의 차이에 따른 항산화제와 유화제가 유지의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정도를 실험하였다. 유지는 정제하지 않은 콩기름을 사용하였고 bulk상에서 12일 경과시 gallic acid를 첨가한 처리구의 유도기간이 Rancimat method로 측정시 4.13인데 비해 ${\delta}-tocopherol$을 첨가한 처리구의 유도기간은 1.18로 친수성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3배 정도의 유지산화지연효과를 보였다. 또한 유화제의 처리에 있어서는 lecithin을 처리한 것의 유도기간이 5.07로 tween 20 처리 2.23, span 60의 경우 2.9인것에 비해 산화안정성면에서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과산화물가와 공액이중산함량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Emulsion상(oil-in-water)에서도 bulk상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emulsion상에 소수성 항산화제를 처리한 것이 유지 산화안정성면에서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와는 차이가 있는데 기질의 차이, 즉 정제하지 않은 시판 콩기름을 사용한 것에 의한 차이인 것 같다. Emulsion상에서 유지방구의 크기는 저장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것은 유지방구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표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공기와 접하는 면이 커지게 되므로 유지상은 안정해지나 산화는 더 촉진되므로 상의 안정과 산화안정성의 적절한 설정기준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항산화제 또는 팜유로 보강된 미강유를 이용한 라면의 산화안정성 (Oxidative Stability of Deep-Fried Instant Noodle Prepared with Ricebran Oil Fortified by Adding Antioxidants or by Blending with Palm Oil)

  • 강동호;박혜경;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9-418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라면제조시 미강유를 튀김유로 사용했을 때, 그 산화 안정성에 대한 ${\alpha}-tocopherol$, BHA, TBHQ, ascorbyl palmitate+구연산의 첨가효과와 미강유에 팜유를 가각 30, 50, 70%(w/w) 혼합한 혼합유의 경우 그 혼합효과 등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했다. 이상의 항산화제들은 미강유에 0.02%의 수준으로 첨가했으며, 혼합유의 경우에는 전술한대로 혼합하여 실험에 사용했다. 이상의 기름으로 튀긴 시제라면들을 각각 30분식을 무색, 투명의 polypropylene 봉지에 넣어 $35.0{\pm}0.5^{\circ}C$의 항온기내에서 90일간 저장했다. 일정기간마다 각 시료구와 실험대조구에서 라면시료를 채취한 후 그 속의 유지를 추출하여, 추출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요오드가, 유전항수, 지방산조성 등을 측정했다. 그리고 이상의 측정치들의 변과를 토대로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과 시제라면의 저장 안정성을 추정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실험대조구와 각 항산화제 첨가구에서 추출한 유지의 과산화물가, 산가, 유전항수, 지방산 조성의 변화 등에서 판단할 때 ${\alpha}-tocopherol$은 항산화효과가 거의 없었으며, 한편 BHA는 약간의 효과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ascorbyl palmitate와 구연산을 병용한 경우와 TBHQ의 경우에는 상당한 항산화효과를 보였다. 특히, TBHQ를 0.02% 첨가한 미강유를 사용했을 경우의 그 산화 안정성은 팜유를 사용했을 경우와 거의 같았다. 2. 혼합유 시료구들의 경우, 튀김에 사용한 혼합유 중의 팜유의 비율이 커질수록 그 산화 안정성은 증가했다. 즉, 팜유가 30% 혼합된 혼합유로 만든 시제라면의 추출유지의 산화 안정성은 미강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에 비해서 현저히 증가했다. 그리고 팜유가 70% 함유된 혼합유를 사용했을 경우 그 산화 안정성은 함유를 단독 사용했을 경우의 안정성과 거의 같았다.

  • PDF

장미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균성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bility of Ethanol Extracts from Rosa hybrida)

  • 이혜란;이지민;최남순;이종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73-378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버려지고 있는 장미(Rosa hybrida L. cv. Mary Devor)를 이용하여 기능성을 조사한 뒤 그 이용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미의 일반성분, 식이섬유 및 총 flavonoids 함량을 분석하고 총산화 효과와 추출수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에탄올의 농도(0, 75, 85, 95%)를 달리하여 추출하고 추출물의 첨가농도(0.02, 0.05%)와 저장기간에 따라 과산화물가, 산가, TBA가를 측정하였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여 산화유도기간을 살펴본 결과, 장미 추출물 첨가군이 대조군이나 ${\alpha}$-tocopherol, BHT 첨가군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나 항산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을 0.05%의 농도로 첨가했을 때 가장 긴 유도기간을 나타냈다. 산가 및 TBA가는 장미 추출물 및 BHT 첨가군이 대조군 및 ${\alpha}$-tocopherol 첨가군보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즉, 장미 추출물은 BHT와 유사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시험균주(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장미 추출물은 대체로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85% 에탄올 추출물은 E. coli에 대해 유의적으로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장미 추출물을 천연항산화제 및 항균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려지는 장미를 이용한다는 면에서 경제적 효율성도 기대할 수 있다. 장미추출물의 항산화성과 항균성이 확인되어 그 이용성이 기대됨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DLPC Liposome에 미치는 도라지 추출성분의 비타민 C 첨가에 의한 항산화력 상승효과 (Enhancement of Antioxidation Effect of Platycodon grandiflorum with Vitamin C on the DLPC Liposomes)

  • 배송자;강보영;김미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6-510
    • /
    • 2002
  • 본 연구는 불포화 인지질인 DLPC liposome에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 A. DC, PG)의 용매별 분획물 일정 량을 가하고, 산화제 benzoyl peroxide를 가한 후 시료의 항산화 작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라지 용매별 추출물 중 ethylether 분획물인 PGMEE와 ethylacetate 분획물인 PGMEA는 $\alpha$-tocopherol의 경우 보다 훨씬 그 산화지수가 낮아두 분획물에 의한 강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잘알려진 강력한 항산화제인 BHT(butylated hydroxytoluence)의 경우와 비슷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PGMEE 분획층에 비타민 C를 일정량을 첨가함으로서 상호 보강 작용에 의한 항산화 상승효과를 본 결과, Vit C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산화지수가 횔씬 낮아졌다. BHT 함유의 DLPC liposome의 경우도 Vit C에 의한 비슷한 추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여 도라지의 PGMEE 분획층에는 BHT와 비슷한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물질의 존재가 분명하다고 사료되며 비타민 C 첨가로 인한 항산화 상승 효과도 본 연구결과에 의해 뚜렷이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에 의해 여러 질병들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세포막 손상을 일으키는 활성 산소 또는 유리기의 생성억제 등 균형된 식생활을 통한 식품 섭취의 중요성이 매우크다고 인식되며 특히 식품으로서 애용되고 있는 도라지의 인지질 세포막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가 식품으로서 약이 되는 기전 규명에 기초자료가될 것을 바라는 바이다.

치자와 오미자를 첨가한 인삼 피클의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Chija and Omija)

  • 김애정;한명륜;우나리야;강신정;이건순;김명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4-529
    • /
    • 2008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physiological evaluation of Korean Ginseng pickles with added Chija and Omija pigment. Prior to the processing of 3 different colors of pickles, SOD-liked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and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assessed. After processing the 3 colors of pickles, sensory evaluation and color values were conducted. SOD-liked activity of Korean Ginseng(42.58%) and Chija(41.88%) water extracts were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54.62%),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mija(29.01%).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nseng water extract(87.85%) was similar to that of BHT(83.13%) and tocopherol(71.57%), bu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hija(68.01%) and Omija(37.15%). The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of Korean Ginseng, Chija, and Omija water extracts were measured at $1.01{\sim}1.66\;mg/m{\ell}$, levels similar to those of tocopherol($1.26\;mg/m{\ell}$)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HT($3.89\;mg/m{\ell}$)(p<0.05). The lecithin oxidation inhibitory effects of Ginseng water extract(98.86%) was similar to that of BHT(92.82%) and tocopherol(89.13%),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ja(64.28%) and Omija (53.34%).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for the 3 colors of Ginseng pickles, the color and overall quality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p<0.05). With regard to luminance, P1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P2 and P3(p<0.05). The a value of P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1 and P2, and the b values of P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1 and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