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wooden printing block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남충장공시고"의 편차와 산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ilation and Revision of Texts in the Nam-chungjanggong-sigo)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95-215
    • /
    • 2003
  • This study is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Nam-Chungjanggong-sigo(남충장공시고), a wooden block printed book. On the view of physical bibliography, a table of contents on the Nam-Chungjanggong-sigo is compiled by a preface, a Chungjanggong's poetical works, an extra appendixes and an epilogue; and its wooden printing block has made of 52 plates. On the row of textual bibliography, text of Chungjanggong's poetical works is revised second times, such as each title or text, also title and text; and shorten for verses. And some of verses are prepared for revised the same case of compilation, but omitted in the process of last compilation.

  • PDF

목판 교환 방법을 활용한 다색 협힐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ulticolored clamp resist dyeing techniques using a wooden printing-block exchange method)

  • 이정은;스가노켄이치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5호
    • /
    • pp.607-620
    • /
    • 2020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ew expressive techniques for multicolored clamp resist (hyuphill) dyeing, based on empirical verification on relics that are estimated to be dyed by the exchange of more than two wood blocks: a previously undiscovered technique. Clamp resist dyeing (assumed to be made by exchanging wood blocks) have uneven resist printing lines or cloudy gradation. These are reproduced as follows: first, they have uneven contour lines, particularly with the color blue. It is possible to exchange wood blocks separately on patterns with uneven resist printing line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exchange of wood blocks makes these irregular resist printing lines. It has also been verified that exchanging the wood blocks according to the gradation (to emphasize the cubic effect on the patterns) yields clamp resist dyeing with no resist printing lines but with cloudy gradations that have accented border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enables methods of multicolored clamp resist dyeing through wood block exchange to be deduced (something that has not been attempted for a long time). Thus, the revival of the modern Korean dyeing culture based on the conservation and perseverance of the traditional dyeing techniques can be achieved.

일본 판목의 구조에 대한 기초연구 - 3D 계측을 통한 조사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Structure of the Wooden Printing Blocks in Japan - Based on the 3D Measurement Method -)

  • 안도 마리코;류성욱;이마즈 세츠오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본 목판 인쇄에 사용된 판목 구조의 과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판목이 입체적인 구조의 유물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여 2차원보다 3차원의 조사가 유효하다고 판단, 판목 연구에서 첫 사례가 되는 3D CT스캐너, 고화질 3차원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3D CT스캐너를 이용한 조사 결과, 판목의 단면 정보로부터 사용된 나뭇결과 내부 구조의 확인 및 계측, 생존 중인 벌레의 존재를 밝혀내었다. 3차원 디지타이저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0.02 mm 단위의 관찰이 가능하여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조사가 곤란했던 판목의 표면 정보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었다.

목조문화재 열화 및 보존기술에 관한 연구(제2보) -장경각 구조부재중 실내 판가 기둥의 생물적 열화 특성- (Deterioration and Preservation Technique of Wooden Cultural Properties (Part 2) -Biodeterioration of Square Post to Support Wooden Printing Blocks Shelves, Janggeongpanjeon-)

  • 김영숙;한상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64-72
    • /
    • 2007
  • 팔만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판전 내부의 판가 기둥에 대하여 생물적 열화 특성을 조사 연구하였다. 장경판전의 법보전과 수다라장의 판가기둥을 대상으로 연구 검토한 결과, 서가의 위치 및 부위 그리고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열화 현상이 있음이 밝혀졌다. 부재의 주요 열화는 미생물에 의한 부후현상으로 밝혀졌으나, 부후가 나타난 부분들은 초석에 접촉된 부위였으며 부후 정도가 매우 극심한 상태를 보였다. 법보전 판가기둥 부후가 더 심했다. 부후형은 백색부후형이 많았다. 그리고 일부판가기둥에서는 곰팡이류의 표면오염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북, 서북, 북향에 위치한 부재에 더 심한 열화가 나타났으며 건물내부의 전면보다는 후면에 위치한 판가 부재의 부후가 심한 것으로 밝혀졌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거의 없었다.

퇴계와 심경부주 (Toegye and Hsin-Cjing-fu-chu)

  • 윤병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권
    • /
    • pp.67-89
    • /
    • 1978
  • This study is the third partial study of the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Toegye.' The contents of the study is divided into three chapters as following : In the first chapter, the authorship of Hsin-ching-fu-chu(心經附註) is described Hsin-ching(心經) was edited by Chen-Te-Hsiu(眞德秀), a scholar of the Sung Dynasty (1178-1235A.D.). He selected several articles on Hsin Study(心學) from classics of ancient China, with the view of spreading of Hsin thought of ancestor. Hsin-ching-fu-chu is an annotated work of Hsin-ching, which was edited by $Ch'\^{e}ng-Min-Ch\^{e}ng$(程敏政). $Ch'\^{e}ng-Min-Ch\^{e}ng$ was a scholar of the Ming Dynasty (died 1499 A.D). His annotation of Hsin-ching was according to the edition of Tuan-Ping (端平) 1st (1234 A.D.). Hsin-ching-fu-chu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1492 A.D., by his student, named Wang-Tsu(汪祚). In the second chapter, the editions of Hsin-ching-fu-chu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before 1566 A.D., when Toe-gye's postscript was written, are described. In Korea, three editions were published. The first was published before 1523 A.D. in, kwang-ju(光州), by the wooden plate block. The second was published ca 1564 A.D. in Pyeong-yang(平壤), by the wooden plate, too. These two editions have remained. The last was published ca 1564 A.D., in Hae-ju(海州), but the method of printing couldn't be found out because I have not been able to get the book itself and records on the printing. In the last chapter, facts on Hsin-ching-fu-chu related to Toegye are described. Toegye found Kwang-ju edition of Hsin-ching-fu-chu in 1533 A.D., at Seong-gyun-gwan(成均館) in Seoul. He acquired the book from his friend. He read and studied very hard and remembered all the text. Also, he taught the Hsin-ching-fu-chu to his pupils and guided the reading of Hsin-ching-fu-chu to his followers and student. He read many proof sheets of the new publication of Hsin-ching-fy-chu, correcting then on detail and making notes on them.

  • PDF

조선후기 영남 문집 목판본 간행의 확산 양상에 관한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Spread of Public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 by Wood-block printing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 Centered on wooden blocks for printing housed in KSAC -)

  • 손계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47-470
    • /
    • 2013
  • 이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목판본 문집 간행의 문화적 양상이 시기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조선 초기 조정에서는 명현의 글을 보존하기 위해 문집 간행의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부각되었으며,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문집 간행을 주도하였다. 16세기부터 18세기 초반에는 감사 수령이 중앙에서 지방으로 파견되어 그들의 주도에 의해 지방관아에서 문집이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17세기를 거쳐 18세기 초중반에는 부세 제도 변화로 지방관아의 재정이 제한되어 문집간행 사업이 현격하게 줄어든 반면, 숙종대에 서원의 수가 폭증하자 지방관 중심의 문집 간행이 18~19세기에는 서원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이전 시기의 형태들이 여전히 존재하였던 반면, 서원의 제도권에 속하지 못하거나 서원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던 사족들의 문집 간행이 19세기 말부터 폭발적으로 이루어져 양반층 전반의 문화로 확산되어 갔다.

하와이 목질의복(木質衣服)(Bark Cloth) KAPA에 대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Hawaiian Bark Cloth Kapa)

  • 박민녀
    • 복식
    • /
    • 제17권
    • /
    • pp.137-148
    • /
    • 1991
  • The use of bark cloth, made of the inner bark of certain trees, was widespread along tropical zones from the Africa to the Hawaii encompassing the globe. They include Malaysia, Indonesia, New Guinea, Polynesian Islands and South America. Among them the Hawaiian bark cloth, named Kapa(pronounced as tapa) was rated as the best quality and most admired. It has variety in designs and colors as well as the most sophistcated production methods. The distinct processes of kapa making are composed of two stages. The first is called first beating and it is a preparatory stage to beat the sea-water soaked bast. It was done with a round beater on a stone anvil. The second beating process was carried out with the squared beater and wooden anvil. The strips from the first beating was soaked again in the water and then beaten lightly to break up fibers. The craftmen laid a bundle of strips over the anvil and beat it into pieces of kapa. The second beater of Hawaii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ne among bark cloth producing countries. On their surfaces were the engraved patterns, which were creation of theirs. These distinguished designs enabled them to produce the kapa with the thinner and finer texture and an elaboration of impressed designs known as "watermaks". The Hawaiian culture was self-sufficient one : Everything they used was of their own creation until 19th century. Among their inventions of printing designs on kapa are three most important and distinguished processes. They are the overlaying, the cord snapping and the block printing techniques. Their inventiveness as well as self sufficient environment made it possible to develop their fine art of the kapa making. It is said that the mass producing and cheap western technology of loom forced them to gradually abandon their traditional art and as a result this fine and valuable legacy of Hawaiian traditional kapa making technique is all but disappeared. However it is encouraging and heart warming to find that some of the people as well as specialized researchers pined together to form a group to try to reproduce the old kapa and study the traditional art. They consider the kapa as an expression of the ethnic identity with Hawaii's heritage as well as valuable art of human history.

  • PDF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현황 및 과제 (Preservation of World Records Heritage in Korea and Further Registry)

  • 김성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48
    • /
    • 2005
  • 이 논문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하여 먼저 그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하고, 이들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 관리 및 그 현황을 조사하며, 한국의 기록유산을 디지털화 하는데 있어서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추후 한국의 기록유산 중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기를 희망하는 4종의 기록물들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가치와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세계기록유산의 선정기준과 절차 등을 먼저 파악하고,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인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白雲和尙抄錄佛祖直指心體要節))"에 대하여 각각 그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에서는 세계기록유산을 보존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가기록원 부산기록정보센터> <간송미술관>의 기관별로 그 보존 관리 현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이 3기관 모두 세계기록유산 보존 관리 현황은 '매우 우수하다'고 평가할 수 있었다. 즉, 1)그 세부적인 보안대책이 완벽하다. 2)그 보존방법에 있어서도 항온 항습의 특별한 서고를 별도로 마련하고, 이 서고 내에서 다시 '오동나무 상자 서장(書欌)'을 설치한 후, 이들 상자와 서장 속에 세계기록유산을 납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3)방화장치와 서고조명 및 소독 등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음 등을 파악하였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한국의 기록유산 디지털화 과제'에 대하여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 기록유산의 디지털작업 및 DB구축에서 '디지털화 표준'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며,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디지털화(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국가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한 경험이 있는 <국가기록원>과 한국학 고기록물의 디지털화에 많은 관심을 가진 <문화재청>이 공동으로 노력하여, 한국학 관련 기록유산의 디지타이제이션(Digitization)에 대한 총체적이고 표준적인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됨을 파악하였다. 넷째, 제5장 '세계기록유산 등록을 추후 희망하는 한국의 기록유산'에서는 한민족의 기록유산 중에서 차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를 희망하는 4종 즉, 1)<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 2)"동의보감", 3)"삼국유사", 4)"무구정광대다라니경"의 기록물에 국한하여, 그 어떤 의미에서 세계적인 가치와 의의가 있는가를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