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medium of text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1초

EEG Asymmetry Changes by the Left and the Right SMR Brainwave of the Computer Learning Versus the Paper and Pencil Learning

  • Kwon, Hyung-Kyu;Cho, J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1073-107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uter learning and the paper and pencil learning through the math learning (simple computation and complex computation) and the cartoon learning and text learning. The canonical correlation and pairwise t-test of the SMR asymmetry brainwaves of the left and the right brain show the brainwaves with the respect to the manner in which they process information during the specified task by identifying the relative activity of the brainwaves of the left and the right brain. SMR brainwave which known as the scientific measure tool for the activity and the function of the neuronal cell were found to predict the level of the awakening to check the readiness of study preparation. Computer education as a medium of the individualized and the repetitive education shows the difference from the paper and the pencil test in the respect of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MR brainwave of the learning process.

  • PDF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기법을 활용한 『제1차조선교육령』과 『조선교육요람』(1913, 1920)의영어번역본 분석 (Analysis 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First Chosen Educational Ordinance, Manual of Education of Koreans (1913), and Manual of Education in Chosen 1920 (1920) Using Text Mining Analytics)

  • 탁진영;곽은주;진실로;손민주;김동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309-317
    • /
    • 2023
  • 본 논문의 목표는 1911년에 공포된 『제1차 조선교육령』, 1913년에 발행된 『조선교육요람』과 1920년에 발행된 『조선교육요람(1920)』의 영어 텍스트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조선 통제 수단으로 활용된 식민지 교육정책을 추적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조선총독부의 식민지 교육정책의 전체적인 흐름과 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기존의 단편적이고 질적인 역사서 연구와는 달리 통시적·양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상위 50개 단어 빈도 순위와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와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lation)의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1911년 『제1차 조선교육령』은 '전체적인 규정'이나 '교육과정 및 운영'에 초점을 두었고 둘째, 1913년의 『조선교육요람』은 '교육 방식 및 매체'와 전반적인 '교육 내용'에 대한 지침을 싣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20년 『조선교육요람(1920)』은 교육의 구체적인 '교육 실행 및 교육의 주체'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Comparison of Gadobenate Dimeglumine and Gadopentetate Dimeglumine for Breast MRI Screening: a Meta-analysis

  • Yang, Xiao-Ping;Han, Yue-Dong;Ye, Jian-Jun;Chen, Gang;Luo, Ying;Ma, Hong-Xia;Yu, Xue-Wen;Niu, Juan-Qin;Ren, Fang-Yuan;Guo, You-M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2호
    • /
    • pp.5089-5095
    • /
    • 2014
  • Background: As a common and essential contrast medium at present, gadobenate dimeglumine has shown better performance than some other agents when applied to Breast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reening (Breast MRI Screening). Nevertheless, reports on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se two mediums (gadobenate dimeglumine and gadopentetate dimeglumine) are not completely consistent. Objective: To assess the diagnostic value of gadobenate dimeglumine and gadopentetate dimeglumine for Breast MRI Screening in patients suffering from breast cancer and to provide more convinced evidence to guide clinical practice in terms of appropriate contrast agents. Data Sources and Review Methods: Original articles in English and Chinese published before January 2013 were selected from available databases (The Cochrane Library, PUBMED, EMBASE, Chinese Biomedical Literature Database, Chinese Scientific Journals Full-text Database, Chinese Journal Full-text). The criteria for inclusion and exclusion were based on the standard for diagnosis tests. Meta-Disc software (Version 1.4)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n, the area under curve (AUC) of SROC and the spearman rank correlation of sensitivity against (1-specificity) were calculated. Results: Total of 17 researches involving 1934 patients were included. The pooled sensitivity of gadobenate dimeglumine and gadopentetate dimeglumine were 0.99 (0.97, 1.00) and 0.93 (0.88, 1.00) respectively. The pooled specificity for these two contrast agents were 0.924 (0.902, 0.943) and 0.838 (0.817, 0.858) respectively, and the AUC of SROC curve were 0.9781 and 0.9215 respectively. Conclusions: Gadobenate dimeglumine can be regarded as a more effective and feasible contrast medium for Breast MRI Screening. At least 5% differences in diagnostic performance are usually considered as clinically relevant.

심혈관질환 위험인자를 가진 중소규모 사업장 남성 근로자의 모바일헬스 앱 활용 건강파트너십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실험연구 (Effects of a Health Partnership Program Using Mobile Health Application for Male Worker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김은진;황선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4-5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pply a health partnership program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obile health apps to improv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male employees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Methods: Using a 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male employees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from five small and medium-sized workplace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 = 32) and a control group (n = 31).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couraged to use three mobile health apps for 12 weeks to acquire the necessary cardiovascular disease-related information and practice strengthening training, walking, and diet management appropriate to their level. They also received feedback on their weekly activities and motivational text messages from health partners.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he SPSS WIN 22.0.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mobile health app (p < .05), self-efficacy for exercise and diet, self-management partnership, and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health behavior (p < .001). In particular,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body mass index, ratio, serum fasting blood sugar,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experimental group (p < .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nclusion: Intervention using mobile apps based on partnership with health managers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bjective cardiovascular risk index in male employees; therefore, such intervention should be continuously used as a useful lifestyle modification strategy in the workplace.

알레고리 관점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 크렉 오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as Viewed from the Allegorical - Based on the theory of Craig Owens -)

  • 김미현
    • 복식
    • /
    • 제62권4호
    • /
    • pp.81-90
    • /
    • 2012
  •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academic understanding has been achieved by exploring the theoretical concept "allegory", and a new theoretical approached methodology has been sought. Second, an analysis-index of fashion illustration cases has been suggested based on the allegory theory of Craig Owens. Third, in order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as viewed from the allegorical viewpoint and find out its feasibility, the case studies has been referred and the internal significance, external significance that combines different characteristics has been extracted. In regards to this study method, literature studies and case studies has been done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is study was done in the following seq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tudy system, the drawing of the allegory-associated concepts and the discov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fashion illustration as viewed from the allegorical viewpoint of Craig Owens are as follows. First, the borrowing of image,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allegory, contains the meaning of uncertainty in the fashion illustration as it expresses the image-synthesis and forms a completely different meaning as the fixed meaning is dissolved and it is utilized as a photo-montage technique. Second, the inference of pictogram is the mixture of linguistic medium and visual medium. Fashion illustration utilizes the characters and transmits the fashion information visually and immanently.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making the information into pictograms and the internal significances of mutual-text with communication function. Third, the uniqueness of location in the fashion illustration has the special nature of utilized mediums as it is used for advertising or publicizing. The fashion illustration from the viewpoint of allegory has the impermanency of existing only for a limited time and reflects the coincidence that gives the meaning of utilized location according to the season trend. Fourth, the cross-breeding is expressed as the mixture of various materials in the fashion illustration. The expressions made by the mixture of media, such as the use of computer graphic programs mixed together with various materials showed the trend of diversity and genre dissolution.

지상파 TV 콘텐츠에 나타난 음주 : 황금시간대 고시청률 드라마 분석과 수용자 인식조사 (Representation of Drinking in Cultural Contents: Analysis of Television Drama Texts)

  • 양정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3-264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매체 경계를 허물면서 IP TV, PMP, 온라인 등을 통해 그 도달 범위가 날로 확산되는 티비 드라마가 은주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할애했던 음주의 맥락과 그 사회적 함의에 중점을 두면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신 인기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해 음주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시청하는 수용자들이 음주 현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지상파 3사에서 방영된 시청률 20% 이상 현대물 드라마 12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한 결과 술 마시기는 일상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남녀 간 이상적인 로맨스 매개물로서 제시되는 양상이 지배적이며 인간관계에서 갈등, 어색함을 풀고 화해와 이해를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주자 성별 면에서는 여성 음주자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드라마 속 여성 음주는 대부분 남성의 보호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문화 산물이 구성하는 음주 현실은 가부장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수용자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의 음주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 음주가 관찰학습의 대상이 되고 모방욕구를 창출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영상매체에 형상화 된 시인 '이상' 표상 연구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Yi Sang Representation in Media -Focusing on the cinema and the drama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9-36
    • /
    • 2019
  • 이상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매체 및 장르의 특성에 따라 시인 이상의 표상과 그의 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며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시인 이상의 표상이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된 양상을 검토하였으며, 각 텍스트들에서 시인 이상이 표상화되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과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에서는 이상의 시를 사건의 단서가 숨겨진 퍼즐로 활용하고 있다. 이 영화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의 '천재' 표상을 활용하여 이상의 비밀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이 영화는 추리스릴러라는 장르의 관습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상을 표상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은 시인 이상을 내면에 열정을 지닌 청년으로 새로이 표상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냉소적인 태도 또한 민족과 시대를 향한 애정의 이면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표상의 방식은 '이상'이라는 문학가의 대중적 인식과 새로운 표상화 시도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와 관객과의 감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전시 해석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motional Communication of Interactive Media Art and Audience -a focus on the affects of exhibition interpretation medium-)

  • 정면주;손주영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415-424
    • /
    • 2011
  •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는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참여와 소통이 가장 중요시 되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예술작품을 관람하는 관객은 작가가 전달하는 메시지를 일 방향적으로 수용하는 입장이었다면,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를 관람하는 관객의 입장은 작품과 상호작용하면서 작품을 완성하는 적극적 참여자이며 생산자적 입장으로 변화 되었다. 본 연구는 수용미학적 측면에서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전시장에 전시된 작품의 사례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 아트 작품과 관객이 어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작품과의 교감이 이루어지는지 살펴보고, 전시 해석매체인 도슨트의 설명과 월텍스트를 활용하여 관람하였을 때 관객의 감성커뮤니케이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였다. 도슨트는 작가의 의도와 작품에 대하여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설명하면서 관람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작품에 집중하도록 유도하였다. 그 결과 작품과의 교감도를 높이는데 전시 해석매체의 역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도슨트의 역할이 작품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관객의 적극적 참여와 교감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구강건강 관련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분석 (Analysis of oral health-related smartphone applications)

  • 정재연;김수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3-50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oral health applications developed for smartphones because they can be used as a new educational medium to manage and improve oral health. Methods: This study examined 60 basic oral health applications provided by Google Play Store and Apple App Store as of May 2019 and examined delivery contents, delivery methods, application types, and other information. Results: Apple included 65.4% of oral apps in the game category whereas Android included 64.3% in the education category (p>0.05). All Apple's apps and 71.4% of Android apps were developed overseas (p<0.01). The delivery contents were 61.5% for Brushing + tooth decay in Apple, and 78.6% for others (oral care products and gum diseases) in Android (p>0.05). For the delivery method, game + video was 65.4% in Apple, and game and other methods (text, image, augmented reality) was 42.9% in Android (p>0.05). In the case of application type, play type was the most common with 88.5% in Apple, and 46.4% play type and 39.3% other type (text, appreciation, problem-solving types) in Android (p<0.01). In addition, play type was high in both education (53.8%) and game (90.0%) categories (p>0.05). The average review score was 4.30 in the education category, 4.34 in the case of brushing and care (delivery contents), 4.37 in the case of using game + video (delivery methods), and 4.57 in the case of Play + other types (application type) (p>0.05). Conclusions: The use of healthcare apps is expected to increase owing to improved lifestyles,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cost-effectiveness, and convenience that is not affected by time and place. Effective use of oral health apps will require the participation of dental professionals in the development process to identify the exact status, expand subjects,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코로나19 전후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키워드 검색 경향 분석 (Analysis of Keyword Search Trends Related to Adolescents and Dietary Habits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 오상미;정난희;전은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9-54
    • /
    • 2024
  • 본 연구는 네이버, 다음, 구글, 유튜브와 트위터 등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8일 기준으로 2년 전후 4년 동안 텍스톰(TEXTOM)을 사용하여 코로나19 전후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검색 키워드 데이터를 수집하여 빈도와 가중치를 분석하고 시각화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키워드 검색 전체 데이터의 수와 용량은 코로나19 이후가 조금 더 높은 수치를 보여 코로나19로 인해 관심이 증가했음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의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검색된 결과 키워드 중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이전에는 '교육', 코로나19 이후에는 '건강'이 가장 높아 코로나 19로 인하여 건강, 면역 등에 대한 중요성이 커져 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50개 상위 키워드의 빈도 가중치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전 가장 높은 빈도 가중치를 나타낸 키워드는 '교육'이었고, 코로나19 이후 가장 높은 빈도 가중치를 나타낸 키워드는 '여드름' 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외출 감소, 활동 감소 등과 식생활의 영향으로 나타날 수 있는 여드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검색 키워드 빈도 분석 결과를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한 결과는 코로나19 이전에는 '교육', 코로나19 이후에는 '건강' 의 키워드가 가장 크고 굵게 나타나 빈도와 중요성이 가장 높음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코로나19 전후 청소년과 식생활 관련 검색 키워드 검색 경향을 알아보고 빈도와 중요성이 높은 키워드를 한 눈에 쉽게 볼 수 있게 됨으로써 텍스트 마이닝 방법을 활용해 식생활에 적용한 계기를 마련하였고, 가정 교과의 청소년기의 식생활문제와 균형 잡힌 식사계획과 선택 등의 단원에서 가독성이 뛰어난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의 매체로 활용하는 등 올바른 식생활 교육에 있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