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Literati Garde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ulcorner$원야$\Ircorner$에 나타난 계성의 원림조영이론 연구 (A study on Ji Cheng's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 이유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4.2-104.2
    • /
    • 1997
  • Ji Cheng''''s great work on garden design theory, the ''''Yuanye'''', written in 1631 and originally published in 1634 is the first surviving treatise and most famous and comprehensive work on the suvject in the Chinese tradition. He constructed Dongdiyuan in Changzhou about 1623, Wuyuan in Yizheng in 1631, and Yingyuan in Yangzhou about 1634. But no poems and paintings written by him still exist, and none of his known gardens has survived. Therefore his design philosophy is able to be interpreted only by his work, Yuany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Yuanye reflected the garden tastes of literati, and Ji Cheng endeavored to express the deas of literati painting into gardens. 2) The essence of the garden design theory is Xingzao, and Yindi, following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and Jiejing, to borrow from the scenery, are two major activities of Xingzao. 3) Ji Cheng''''s design theory build up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masters. 4) Yindi i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method. This is the activity to reach the state of artistry through suitability. 5) Jiejing is not merely borrowing the landscape but the making use of scenery around the garden. And only the master has the skill in fitting in with the form of the land. 6) Ji Cheng pursuits the garden which will look like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ough manmade. It is the goal of the Chinese traditional gardens and ideal situation. 7) Ji Cheng aims to unify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design dialectically into Xingzao.

"원야"에 나타난 계성의 원림조영이론 연구 (A study on Ji Cheng's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 이유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7-134
    • /
    • 1997
  • Ji Cheng's great work on garden design theory, the 'Yuanye', written in 1631 and originally published in 1634 is the first surviving treatise and most famous and comprehensive work on the suvject in the Chinese tradition. He constructed Dongdiyuan in Changzhou about 1623, Wuyuan in Yizheng in 1631, and Yingyuan in Yangzhou about 1634. But no poems and paintings written by him still exist, and none of his known gardens has survived. Therefore his design philosophy is able to be interpreted only by his work, Yuanye.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garden design theory in Yuany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Yuanye reflected the garden tastes of literati, and Ji Cheng endeavored to express the deas of literati painting into gardens. 2) The essence of the garden design theory is Xingzao, and Yindi, following the existing lie of the land, and Jiejing, to borrow from the scenery, are two major activities of Xingzao. 3) Ji Cheng's design theory build up on the basis of recognizing the existence of masters. 4) Yindi is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and design method. This is the activity to reach the state of artistry through suitability. 5) Jiejing is not merely borrowing the landscape but the making use of scenery around the garden. And only the master has the skill in fitting in with the form of the land. 6) Ji Cheng pursuits the garden which will look like something naturally created though manmade. It is the goal of the Chinese traditional gardens and ideal situation. 7) Ji Cheng aims to unify the environment and landscape design dialectically into Xingzao.

  • PDF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 화목류에 나타난 문인원림 취미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Yanghwasorok」 and 『Zhangwuzhi』 - Focused on the Taste of Plants in Scholar's Garden, Korea and China -)

  • 박희성;윈쟈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9-93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 원림서(園林書) 가운데 하나인 "양화소록(養花小錄)"과 "장물지(長物志)"를 비교하여 한중 원림에 나타난 문인의 취향을 이해하고자 했다. 주요 비교 대상은 화목류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희안은 화목을 기르고 감상하는 궁극적인 목적을 자신의 완성에 두었지만, 문진형(文震亨)은 은일의 삶을 실천하는 수단으로 화목을 이용하였다. 둘째, 강희안이 화목을 기르는 것은 성리학적 '격물치지(格物致知)'를 바탕으로 한 인간의 덕성 함양이지만, 문진형은 화목의 형태나 배식방법을 통해 '아(아취(雅趣))'를 구현하였다. 셋째, 양국 문인의 화목 선호도는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지만, 화목을 화분에 두고 감상하는데 있어서는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인다. 일례로 화분을 선택하거나 배치하는데 있어서만 하더라도 강희안에게는 소박함과 담백함이, 문진형에게는 화려함과 세련됨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문인 정신의 표본이 되었던 송대(宋代) 문인의 완상(玩賞) 취미에 비춰볼 때, 강희안은 내면의 정신세계를 계승한 반면, 문진형은 '문인다움'을 시각적 이미지로 표출시켰다.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uibyong(翠屛: a Sort of Trellis) in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21
    • /
    • 2013
  • 본 연구는 회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회화자료 25종에 대한 분석 결과, 취병은 주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차폐시설과 부지의 공간을 분할하는 구획시설로 기능하였으나, 내적으로는 정원에 품격과 아취를 부여하는 소품으로 설치되었다. 특히 취병 주변으로 학, 사슴등의 동물상 및 소나무, 파초, 대나무, 오동나무 등의 식물상과 괴석, 연못, 정자 등의 다양한 정원요소들이 나타났는데, 이것들은 이상적인 문인정원에 구비되어야 하는 일련의 조합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취병은 중국 고사(古事) 속 문인문화를 표상하는 관념적인 물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한 이미지는 고스란히 정원문화 속에 투영되었는데, '인물고사도 속 원림'을 모방 재현하는데 있어 취병은 중요한 경물로 사용되어 왔다. 셋째, 형태 기능 측면에서, 조선시대 회화 속에 나타난 취병들은 기본적으로 차폐 및 구획의 기능이 주요하였다. 사람 키를 웃도는 담장이나, 심지어 중국 대문 앞뒤에 설치되는 영벽의 높이까지 솟아 있기도 하여 공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취병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취병은 특정한 기능이나 입지상황 때문에 설치된 것보다는 당시 국내에 유행한 명대 문인문화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전해진 서원아집도 등에 나타난 취병의 도상은 한양을 중심으로 부유층의 저택에서 재현되었는데, 취병을 통해 부귀와 문인의 기상을 표현하려 했던 초기양식이 궁궐 및 상류층의 주택에서나 조성될 수 있는 고급 정원요소로 전화되었다. 또한 19세기 중엽 이후 취병의 활용은 평민의 주거양식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저변화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취병이 토착화된 전개로 간주된다.

소식의 사상과 원림 경영 연구 - 백학거를 중심으로 한 기초 연구 - (A Study of Su Shi(蘇軾)'s Philosophy and Garden Management - A Basic Study Focused on Baiheju(白鶴居) -)

  • 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1-29
    • /
    • 2023
  • 문화예술의 전성기였던 북송시기는 중국 원림사에서 큰 변화를 가져 온 시기이다. 이전 당대(唐代)에 발전하였던 은둔과 사념(思念)들이 문학과 회화 그리고 예술과 결합되며 원림은 예술작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북송시기 문학과 예술을 관통한 소식의 등장은 개인적 정원조성을 뛰어넘어 공공원림의 발전과 원림의 다변화에 영향을 주고 그의 오랜 폄적기간들은 지역문화와 특색을 이해하고 원림에 반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원림을 경영하였던 소식의 사상에 주목하여 그의 폄적생활과 사상의 관계성을 통해 문인으로서의 그의 원림 경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소식이 경영한 현존하는 혜주의 백학거 원림을 중심으로 소식이 경영한 문인원림의 양태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가치를 표출하였다. 첫째, 유불도 삼가(三家)에 능통했던 소식은 백학거의 입지와 원림 구성요소에 사상과 독특한 조망 기법을 결합하여 경관을 즐기고 있다. 고택은 소박한 형태이나 내경과 외경의 결합을 통해 확장성을 지니고 있고 내경은 단일공간으로 인식되도록 구성하되 공간의 중첩적 경험과 다경관의 동시적 감상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반면 공간에는 반드시 위계를 설정하여 질서를 두고 있다. 둘째, 원림은 지역의 특징을 반영하여 아열대성 식물이 다수 나타나고 있고 건조물과의 색채적 대비를 고려하여 활색생향(活色生香)적 식재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의적 정신세계를 원림에 투영하여 심신수양과 이상세계의 탐구적 장소로 원림을 차용하였고 거욕과 수심적 마음수행을 위한 장소로서 식재는 간결하되 특징을 잘 내보일 수 있는 수종을 선별 식재하여 원림 공간에 율동감과 입체감을 주고 있다. 셋째, 백학거는 시대별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근본적으로 후손들에 의해 소식이 조영한 원림의 양태와 원림 요소들이 현존하여 유산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중국 은일문화의 사대부원림의 관계 -선진시대에서 당조까지- (The Relation Between the Chinese Ceclusion Culture and the Gentleman's Gardens)

  • 임상섭;조정송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chinese seclusion culture and the gentleman's gardens by means of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The periodic limits of this study is from pre-Qin to Tand. For gentleman's gardens in Tang dynasty at once got out of the noble's gardens which had imitated the imperial gardens until Tang, and became the origin of the gardens of the literati appearing in post-Tang dynast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First, in pre-Qin period, the origin of the seclusion culture is classified as the metaphysical seclusion of Taoism and the physical seclusion of Confucianism. Although Pu, Yuan, and Uou which could be said the first step of the chinese gardens were inquired, the clear relation between the seclusion and them is not found. Second, during Qin-Han dynasty, the role of the gardens, as the settings of the seclusion, are comparatively minor, too. But uan Kuang-Han's garden considerably escaped from that of pre-Qin in the aspect of function, and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recreation. Third, during Wei-Chin and Liu dynasty, two types of the seclusions emerged. One is the small seclusion, and the other the Great Seclusion. Though, as formerly, the contemporary gardens did not escaped from the imperial gardens, Shi Chong's garden can be the setting of the Court Seclusion. But the seven Righteous in Bamboos' and Tao Yuan-Ming's settings of the seclusion were real natural environments rather than gardens. Forth, in Tang dynasty, in spite of relatively low status, Bai Ju-Yi's theory of the middle Seclusion enabled gentlemen to make seclusion in sinecures unlike the court Seclus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iddle Seclusion was Zen Buddhism and the State Examinations System and Bai Ju-Yi's private social position also had an important effect on it. In Tang dynasty, there being nobiliary gentleman's gardens, Bai Ju-Yi's garden, Lushan Caotangyuan, was the setting of the Middle Seclusion. It can be called a real gentleman's garden, for it is simple and small unlike the imperial gardens or the nobiliary gentleman's gardens.

  • PDF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 Management of Historic Gardens in Suzhou, China)

  • 박희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6-84
    • /
    • 2019
  • 본 연구는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가치와 정원유산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유산으로서 쑤저우 정원은 중국 역사의 독보적 계층인 문인의 취향과 생활상이 양쯔강 동쪽 하구 지역의 자연환경과 얼마나 훌륭하게 교융하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OUV를 증명하였다. 더하여 고유한 중국의 정원술과 정원을 매개로 한 국제문화의 교류 현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원의 진정성 있는 복원은 가까운 과거에 남긴 기록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동시대의 언어로 서술하고 사진이나 드로잉 등의 매체를 이용한 이미지를 통해 유산의 묘사한 20세기 기록물은 정원 복원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셋째, 1950년대부터 시작된 쑤저우 정원의 보호관리는 건물 등의 구성요소 복원, 식물소재 및 식재술의 복원, 수목의 기록조사를 통한 목록 작성, 현판, 가구 등의 소품 정비, 수질개선과 수경관 복원사업까지 단계적으로 상세하게 진행되었다. 넷째, 세계유산 등재 이후부터는 정원의 보호관리가 두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하나는 행정 관리체계의 재편과 정원 관련 법제의 제정을 통해 등재유산을 엄격하게 보호관리하고 있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정원을 쑤저우시의 도시기본계획과 도시 정체성 확립에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호부터 합리적 이용에 이르기까지 세분된 보전원칙과 전면보호와 정비보호, 유적지 보호와 같이 보호의 강도를 구분함으로써 보전 유산의 범주를 크게 확장시켰다.

명대 원림서에 기술된 죽병(竹屏)의 활용과 그 의미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Bamboo Screen(Zhuping: 竹屏) and the Meaning in Gardening Books of Ming Dynasty)

  • 정우진;권오만;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3-92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명대 원림서인 원야, 장물지, 한정우기를 통해 중국 죽병의 용도와 식물소재를 분석한 것으로, 요약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 세 서적은 거의 동일한 시기에 저술되었지만 작자가 바라보는 죽병의 시각은 부정적이기도 했고 적극 지지하는 의견이 피력되기도 한다. 이는 명초에 시은(市隱)을 조성할 때 죽병을 사용했던 양상이 퇴색되는 과정을, 나아가 명말 사회경제적 변화에 의해 죽병의 의미가 사치적 성향으로 전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죽병은 덩굴성 식물의 가지가 등반 부착하게 하는 보조재(補助材) 또는 유도재(誘導材)의 성격으로 고안된 것이었다. 이는 한편 여름 내내 많은 꽃이 연이어 피는 장미과 식물의 관상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장치였으며, 또한 중국 특유의 문화적 향유와 관련되었다. 죽병에는 주로 꽃이 아름다운 장미과 식물이 사용되었으며, 이 식물들을 부식하여 만든 죽병은 평소에 담장의 역할을 하다가 개화기에는 아름다운 화벽을 볼 수 있는 다목적 시설로 설치되었다.

조선시대 와유문화의 전개와 전통조경공간의 조성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of Mental Stroll about Nature and the Building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Space in Choseon Dynasty)

  • 김수아;최기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9-51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문인들의 조경공간과 관련한 기록을 대상으로 조선시대 다양한 전개양상을 보인 와유문화와 전통조경공간과의 문화사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실의 유교적인 삶과 자연의 도교적인 삶을 절충하며 살아야 했던 조선시대 문인들의 산수자연에 대한 태도는 다방면의 문화가 난숙해지면서 점차 철리적(哲理的)인 태도에서 심미적(審美的)인 태도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산수자연관의 변화와 명말청초 시은(市隱)하고자하는 성시산림(城市山林)의 문화가 전래되면서 산수자연을 일상공간에서 쉬이 즐기고자 하는 바람이 간절해졌다. 그러한 바람은 현실 속에서 소요유(逍遙遊)한다는 의미를 갖는 와유문화(臥遊文化)에 주목하게 되고 다양한 와유문화의 양상들을 만들어냈다. 국문학분야에서는 일상공간에 앉아 산수의 감흥을 글로 즐길 수 있는 산수유람기(山水遊覽記)가 발달하고, 미술분야에서는 이상향을 그렸던 관념산수화(觀念山水畵)가 실제의 경관을 옮겨 핍진(逼眞)한 산수의 미를 즐길 수 있는 실경산수화(實景山水畵)로 발달하게 되었다. 조경분야에서는 개인의 이상(理想)을 표현할 수 있는 일상공간에 산수자연을 담아 감상의 측면에서 가장 생생함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였다. 또한, 전통조경공간은 방안에 누워서도 꿈꾸고 싶은 대상으로 실제 산수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