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uibyong(翠屛: a Sort of Trellis) in Paintings of Late Joseon Dynasty

조선 후기 회화작품에 나타난 취병(翠屛)의 특성

  • Received : 2013.07.30
  • Accepted : 2013.11.1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the chuibyong, a sort of trelli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old pictorial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25 pictorial data in the Joseon Dynasty, the chuibyongs have usually functioned as screening the facility to protect the private life and dividing the spaces of the site, but it was internally regarded as the props which symbolized the dignity and elegance of high class. Especially, not only the faunas such as crane and deer, and the floras such as Pinus densiflora, Musa basjoo, bamboo species and Paulownia coreana, but also various garden elements including oddly shaped stone, pond and pavilion were shown in the surrounding area of the chuibyong, and they were considered as a series of combination that was needed in the ideal garden for the literati. Secondly, the chuibyong was recognized as the ideological object which was typical of the literati culture in the story derived from an ancient event of China. Such image has been reflected intactly in the garden culture, and the chuibyong has been used(considered) as the important scenery of the season to imitate and reenact the Chinese Classical Garden in the narrative painting. Thirdly, in terms of the shape and function, the chuibyong in the paintings in the Joseon Dynasty basically had the function of the shielding and spatial division. Fourthly, the height of the chuibyung was similar to the one of fence which exceeds the person's height or Youngbyek(影壁) which is installed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main gate in China, and the various shape's chuibyung was properly set up in many spaces. Lastly, the making of the chuibyong in Joseon Dynasty was related to the trend of the writer's culture which was popular nationally in Ming dynasty rather than the particular functions or the location conditions. Especially, the symbol expression of the chuibyong showed on 'Elegant Gathering in the Western Garden' which was brought from China was recreated in the mansion of the upper class in Hanyang city as the center, and the primary mode for the expression of the wealth and writer's spirit through the chuibyong was transformed into the high-quality's garden element which could be created in the royal palace or the mansion of the upper class. Also, the use of the chuibyung was changed by spreading into the residential style for common people after the mid-nineteenth century, and it means that the chuibyung was developed into Korean styles.

본 연구는 회화자료의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회화자료 25종에 대한 분석 결과, 취병은 주로 사생활 보호를 위한 차폐시설과 부지의 공간을 분할하는 구획시설로 기능하였으나, 내적으로는 정원에 품격과 아취를 부여하는 소품으로 설치되었다. 특히 취병 주변으로 학, 사슴등의 동물상 및 소나무, 파초, 대나무, 오동나무 등의 식물상과 괴석, 연못, 정자 등의 다양한 정원요소들이 나타났는데, 이것들은 이상적인 문인정원에 구비되어야 하는 일련의 조합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취병은 중국 고사(古事) 속 문인문화를 표상하는 관념적인 물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한 이미지는 고스란히 정원문화 속에 투영되었는데, '인물고사도 속 원림'을 모방 재현하는데 있어 취병은 중요한 경물로 사용되어 왔다. 셋째, 형태 기능 측면에서, 조선시대 회화 속에 나타난 취병들은 기본적으로 차폐 및 구획의 기능이 주요하였다. 사람 키를 웃도는 담장이나, 심지어 중국 대문 앞뒤에 설치되는 영벽의 높이까지 솟아 있기도 하여 공간적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취병이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취병은 특정한 기능이나 입지상황 때문에 설치된 것보다는 당시 국내에 유행한 명대 문인문화의 유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중국에서 전해진 서원아집도 등에 나타난 취병의 도상은 한양을 중심으로 부유층의 저택에서 재현되었는데, 취병을 통해 부귀와 문인의 기상을 표현하려 했던 초기양식이 궁궐 및 상류층의 주택에서나 조성될 수 있는 고급 정원요소로 전화되었다. 또한 19세기 중엽 이후 취병의 활용은 평민의 주거양식으로 확산되는 이른바 저변화의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취병이 토착화된 전개로 간주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계승범(2011). 정지된 시간 - 조선의 대보단과 근대의 문턱.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 국립문화재연구소(2007). 사진으로 보는 북한 회화: 조선미술박물관.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3. 김영모(2012). (알기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파주: 동녘.
  4. 김해경, 소현수(2012). 전통조경요소로써 도입된 학과 원림문화.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57-67.
  5. 김홍남(2011). 중국 <郭子儀祝壽圖> 연구. 미술사논단 33: 165-202.
  6. 김홍남(2012). 한국 <郭汾陽行樂圖> 연구. 미술사논단 34: 67-104.
  7. 박정혜, 황정연, 강민기, 윤진영(2012). 조선 궁궐의 그림. 파주: 돌베게.
  8. 백종철, 김용기(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9(2): 28-37.
  9. 서유구(1983). 林園經濟志. 1. 서울: 보경문화사.
  10. 송희경(2008). 조선 후기 아회도. 서울: 다할미디어.
  11. 심우경(2005). 우리 전통조경의 특징과 배경.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17-121.
  12. 오주석(2006). 이인문의 강산무진도. 서울: 신구문화사.
  13. 유보은(2009). 조선 후기 西園雅集圖와 그 다층적 의미 : 金弘道작품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263: 39-69.
  14. 윤열수(1995). 민화이야기. 서울: 디자인 하우스.
  15. 윤열수(2000). 민화 II. 서울: 예경.
  16. 이은상(2012). 이미지로 읽는 양쯔강의 르네상스. 파주: 한국학술정보 (주).
  17. 정병모(2012).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파주: 돌베개.
  18. 정우진, 심우경(2012).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46-63.
  19. 허균(2006). 허균의 우리 민화 읽기. 서울: 북폴리오.
  20. 國立故宮博物院編輯委員會(1994). 故宮書畵圖錄13권. 臺北: 國立故宮 博物院.
  21. http://e-kyujanggak.snu.ac.kr
  22. http://encykorea.aks.ac.kr
  23. http://www.mfa.org
  24. http://www.samuelhawle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