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one mode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5초

실내실험에 의한 식생하도의 지형변동 특성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Vegetated Channels)

  • 장창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9호
    • /
    • pp.909-9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식생의 변화에 따른 하도의 수리학적특성, 저수로의 변화, 사주의 거동, 하안의 안정성 등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실내실험은 기존에 인공식생 대신에 수로에서 실제식생인 알팔파를 성장시켜서 수행하였다. 식생대에서는 유속이 매우 느리며, 저수로의 이동이 감소하였다. 2중 퓨리에 해석 결과, 교호사주의 특성을 나타낸 1-1모드의 진폭이 지배적이지만, 시간이 증가하면서 복렬사주의 특성을 나타내는 2-2와 2-3모드의 진폭이 증가하였다. 식생에 의하여 저수로가 고착화 되어 하도의 안정성이 증가하고, 하도 내 사주의 이동속도는 감소하지만, 하상이 불규칙하게 변하면서, 사주의 수는 증가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감함에 따라 하안의 안정성은 증가하였다. 식생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사의 유출량과 유출량의 변동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망상화 강도는 감소하지만, 하도의 상관계수와 하상의 기복지수(BRI)는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원자력간 현미경을 이용한 TRIP강 저항 점용접부의 미세조직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Microstructure for Resistance Spot Welded TRIP Steels using Atomic Force Microscope)

  • 최철영;지창욱;남대근;장재호;김순국;박영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31권1호
    • /
    • pp.43-50
    • /
    • 2013
  • The spot welds of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TRIP) steels are prone to interfacial failure and narrow welding current range. Hard microstructures in weld metal and heat affected zone arenormally considered as one of the main reason to accelerate the interfacial failure mode. There fore, detailed observation of weld microstructure for TRIP steels should be made to ensure better weld qu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haracterize the microstructure, which has similar color, size, and shape using the optical or electron microscopy. The atomic force microscope (AFM) can help to analyze microstructure by using different energy levels for different surface roughness. In this study, the microstructures of resistance spot welds for AHSS are analyzed by using AFM with measuring the differences in average surface roughness. It has been possible to identify the different phases and their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study their morpholog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in resistance spot weld TRIP steels. The systematic topographic study for each region of weldments confirmed the presence of different microstructures with height of 350nm for martensite, 250nm for bainite, and 150nm for ferrite, respectively.

SSARR-8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저수유출 해석 (Low Flow Analysis of the Nakdong River Basin by SSARR-8 Model)

  • 강주환;이길성;김남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71-84
    • /
    • 1998
  • 낙동강 유역의 저수유출 해석을 위해 IS(integrated snowband) 유역모형이 포함된 SSARR 모형을 적용하였다. IS유역모형은 증발산, 침투 및 장기회귀 지하수 추적기능이 추가된 최신 버전으로서 연물수지분석에 관한 정보가 출력되며 대화식 구동방식인 IA(interactive)방식도 내재되어 있다. 고수시와 저수시 민감한 매개변수를 민감도 분석결과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토대로 모형의 보정이 이루어졌다. 7개 제어지점에서 유량의 관측치와 계산치를 비교하여 고수시 상대오차와 저수시 절대오차를 통하여 모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IS 유역모형을 사용하여 월별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Smoldering 연소로 인한 화재사고 조사보고 소개 및 이론적 해석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of a Fire Accident Caused by Smoldering Combustion)

  • 김연승;변영철;황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17
    • /
    • 1999
  • 산호제의 양이 충분치 못한 밀폐된 공간에서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기대를 깨고, 다공성 물질내부에서 공극안에 있는 산화제를 이용하여 서서히 연소되는 smoldering 반응을 통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실제 화재 사건을 화재 조사 방법에 의하여 기술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여 smoldering 연소가 화재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예시하였으며, 예시된 사고의 smoldering 연소를 강제대류에 의한 하향식 역방향 smoldering으로 모델링하였다. 화학반응으로는 열분해가 없는 1 단계 반응이 채택되어, 온도 및 산화제의 공간적 분포와 smoldering의 전파속도를 수치적으로 모사하였다. 수치결과로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이 반응지역의 전파속도를 결정하는 가장 우세한 인자로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smoldering 에 의한 화재 발생시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과 연료의 공극률과의 관계를 알고 있다면 주어진 연료의 공극률에 대하여 유입되는 산화제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불길로의 천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Tensile strength of bilayered ceramics and corresponding glass veneers

  • Anunmana, Chuchai;Champirat, Tharee;Jirajariyavej, Bundhit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3호
    • /
    • pp.151-156
    • /
    • 2014
  • PURPOSE. To investigate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between two all-ceramic systems; lithium disilicate glass ceramic and zirconia core ceramics bonded with their corresponding glass veneers. MATERIALS AND METHODS. Blocks of core ceramics (IPS e.max$^{(R)}$ Press and Lava$^{TM}$ Frame) were fabricated and veneered with their corresponding glass veneers. The bilayered blocks were cut into microbars; 8 mm in length and $1mm^2$ in cross-sectional area (n = 30/group). Additionally, monolithic microbars of these two veneers (IPS e.max$^{(R)}$ Ceram and LavaTM Ceram; n = 30/group) were also prepared. The obtained microbars were tested in tension until fracture, and the fracture surfaces of the microbars were examined with fluorescent black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o identify the mode of failure. One-way ANOVA and the Dunnett's T3 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mean microtensile bond strength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RESULTS. The mea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IPS e.max$^{(R)}$ Press/IPS e.max$^{(R)}$ Ceram ($43.40{\pm}5.51$ MP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Lava$^{TM}$ Frame/Lava$^{TM}$ Ceram ($31.71{\pm}7.03$ MPa)(P<.001). Fluorescent black light and SEM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tested microbars failed cohesively in the veneer layer. Furthermore, the bond strength of Lava$^{TM}$ Frame/Lava$^{TM}$ Ceram was comparable to the tensile strength of monolithic glass veneer of Lava$^{TM}$ Ceram, while the bond strength of bilayered IPS e.max$^{(R)}$ Press/IPS e.max$^{(R)}$ Ceram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ensile strength of monolithic IPS e.max$^{(R)}$ Ceram. CONCLUSION. Because fracture site occurred mostly in the glass veneer and most failures were away from the interfacial zone, microtensile bond test may not be a suitable test for bonding integrity. Fracture mechanics approach such as fracture toughness of the interface may be more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bonding quality between two materials.

일축압축상태의 석고 실험체에서 발생하는 날개크랙과 이차크랙에 대한 미시적 관측 (A Micro-observation on the Wing and Secondary Cracks Developed in Gypsum Blocks Subjected to Uniaxial Compression)

  • 사공명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71-178
    • /
    • 2003
  • 날개크랙과 이차크랙은 암석의 일축압축 및 이축압축 조건에서 관측되는 특정한 형태의 크랙이다. 본 연구에서는 석고로 제작된 실험체내에 발생하는 날개크랙과 이차크랙의 형태적 측면을 미시적 및 거시적 관점에서 관측하였다. 날개크랙의 진행방향을 따라 미소인장크랙이 관측되었으며 미소인장크랙은 공극간의 연결과 분지현상을 통하여 진전되었다. 날개크랙의 개시점에서 다중의 미소인장크랙의 개시가 관측되었으며 미소인장크랙은 굴곡진 진행을 보인다. 또한 이차크랙과는 달리 미소인장크랙은 상대적으로 일정한 크랙의 틈을 보이며 인장에 의한 할렬파괴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차크랙의 미시적 관측에서는 미소파쇄대가 관측되었다. 이차크랙의 파괴구간 내에서는 입자 및 집괴의 분리, 경사진 미소파쇄대의 형성 및 불규칙한 크기의 틈을 가진 미소파쇄대가 관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차크랙이 전단에 의해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날개크랙과 이차크랙은 서로 다른 크기의 파괴진행구간을 보이고 있으며 각각의 크랙의 진행 방향에 직각방향으로 측정된 파괴진행구간의 폭은 날개크랙의 경우 10$\mu{m}$에서 20$\mu{m}$ 정도이며 이차크랙은 100$\mu{m}$에서 200$\mu{m}$ 정도이다.

콘크리트의 축압축강도에 대한 크기효과 (Size Effect on 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 이성태;김민욱;김진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53-16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부재에서의 축압축강도에 대한 크기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대표적인 압축파괴모드 중의 하나인 모드 I 파괴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이중 캔틸레버 보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캔틸레버의 축에 대한 작용하중의 편심거리와 초기 균열길이를 변화시킴에 의하여 콘크리트의 축압축강도에도 크기효과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였고,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수정된 크기효과법칙의 새로운 실험상수들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로부터 초기 균열이 있는 콘크리트 부재의 축압축강도에도 크기효과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하중의 편심거리에 있어서는 균열선단에서의 인장과 압축응력의 영향이 매우 중요하며 이 경우에 뚜렷한 크기효과가 나타났다. 즉 균열선단에서 인장응력의 영향이 증가하면 콘크리트의 크기효과는 증가한다. 그러나 초기 균열길이의 경우, 축압축강도의 크기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존재하지만 균열길이에 따른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는데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경우 부재의 세장비 차에도 불구하고 파괴진행영역의 크기가 서로 비슷한데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uropean Augmentation Service - a GNSS Monitoring in South Europe Region

  • Gaglione, Salvatore;Pacifico, Armando;Vultaggio, Mario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165-170
    • /
    • 2006
  • In the Civil Aviation field, the international trend (through ICAO, EUROCONTROL) is to adopt one positioning system that allows to follow more flight phases. This will allow to release themselves by ground installations and optimize the traffic flows following the aRea Navigation (RNAV) concept. In order to realize this goal the European Scientific Community are focusing on Augmentation Systems based on Satellite infrastructure (SBAS -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and on Ground based ones (GBAS -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 The goal of this work is to present some results on SBAS and GBAS performances. Regarding SBAS, the Department of Applied Sciences of Parthenope University, after the acquisition of a Novatel OEM4 SBAS receiver has created a monitoring station that reflect as much as possible a standardized measure environment for EGNOS Data Collection Network (EDCN), established by Eurocontrol. The Department of Applied Science has decided to carry out a own monitoring surve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EGNOS that can be achieved in South Europe region, a zone not very covered by official (EDCN) monitoring network. Regarding GBAS, we started from a data set of measurements carried out at the GBAS of Milan-Linate airport where we work on a ground installation (GMS - Ground Monitoring Station) that supervises the GBAS signal and that represent, for our purposes, the Aircraft subsystem. So the set of data collected is to be considered in RTK mode and after the measures session we processed them with the software PEGASUS v 4.11. Both experiences give us the possibility to evaluate the GNSS1 performance that can be achieved.

  • PDF

Benzalkonium Chloride가 돈슬러리의 바이오가스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nzalkonium Chloride on Biogas Potential of Pig Slurry)

  • 박혜림;최홍림
    • 유기물자원화
    • /
    • 제19권3호
    • /
    • pp.63-7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benzalkonium chloride 처리에 따라 바이오가스 생산이 억제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바이오가스 생산 억제 수준은 10 ppm, 40 ppm, 80ppm의 benzalkonium chloride가 처리되었을 때 각각 10%, 30-40%, 70% 이상이었다. Benzalkonium chloride의 처리에 따라 저해되는 효소를 알아내기 위하여 효소 활성을 분석하였으며 산성/알칼리 포스파타아제, 프로테아제는 메탄 생산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는 실험기간 동안 메탄 생성량과 상대적으로 낮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으며(p<0.01, r=-426), 다른 효소와의 상관성도 상대적으로 낮았다. 메탄생성률(ml/day)은 benzalkonium chloride및 산성 포스파타아제와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Benzalkonium chloride가 대장균에 미치는 영향을 원판확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Benzalkonium chloride의 농도가 높을수록 세균증식 억제대가 확장되었으며, 이를 통하여 benzalkonium chloride가 초산생성균의 증식을 억제함으로써 혐기소화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mputational Analysis of the Effects of Spray Parameters and Piston Shape on Syngas-Diesel Dual-Fuel Engine Combustion Process

  • Ali, Abubaker Ahmed M.M.;Kabbir, Ali;Kim, Changup;Lee, Yonggyu;Oh, Seungmook;Kim, Ki-seong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2-204
    • /
    • 2018
  • In this study, a 3D CFD analysis method for the combustion process was established for a low calorific value syngas-diesel dual-fuel engine operating under very lean fuel-air mixture condition. Also, the accuracy of computational analysis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the computed ones. To simulate the combustion for the dual-fuel engine, a new dual-fuel chemical kinetics set was used that was constituted by merging two verified chemical kinetic sets: n-heptane (173 species) for diesel and Gri-mech 3.0 (53 species) for syngas. For dual-fuel mode operations, the early stage of combustion was dominated by the fuel burning inside or near the spray plume. After which, the flame propagated into the syngas in the piston bowl and then proceeded toward the syngas in the squish zone. With the baseline injection system and piston shape, a significant amount of unburned syngas was discharged. To solve this problem, effects of the injection parameters and piston shape on combus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alculation. The change in injection variables toward increasing the spray plume volume or the penetration length were effective to cause fast burning in the vicinity of TDC by widen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diesel acting as a seed of auto-ignition. As a result, the unburned syngas fraction was reduced. Changing the piston shape with the shallow depth of the piston bowl and 20% squish area rati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mbustion pattern and lessened the unburned syngas fraction by ha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