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zyphus jujuba (Jujub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6초

I-SSR 표지자분석을 이용한 대추나무 품종간 유연관계 분석 (Assessment of Genetic Relationship among Date (Zizyphus jujuba) Cultivars Revealed by I-SSR Marker)

  • 남재익;김영미;최고은;이귀용;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59-65
    • /
    • 2013
  • 대추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과수이다. 이전의 대추나무의 분류는 형태적 특성에 근거하였다. 그러나 표현형적인 특성은 환경의 영향 받아 정확한 품종 식별에 문제가 있다. 반면에 DNA 표지자는 빠르고 정확하게 식물종을 식별할 수 있다. I-SSR은 DNA를 이용한 분자표지의 하나로 유전적 유연관계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품종들의 식별에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16개의 I-SSR primer를 이용하여 5종의 한국 대추나무 품종과 중국에서 도입된 1종의 대추나무 품종을 분석하였다. I-SSR 분석을 통하여 primer당 6.25개인 100개의 증폭산물을 얻었고, 그 중 45개의 증폭산물(45%)이 다형성을 나타냈다. Primer별로 증폭된 밴드의 수는 2개에서 13개였다. 다형성 유전자좌의 비율은 10%에서 100%였다. I-SSR 지문분석 결과 '보은대추'와 '대리대추'는 분자수준에서 품종 특이적인 식별 가능한 DNA 패턴들이 나타났다. 군집분석결과 유전적 유사도지수는 0.68~0.92로 나타났다. '보은대추'와 '대리대추'가 독립적인 그룹들로 유집되었으며, '월출대추', '금성대추', '무등대추' 그리고 '복조대추'가 한 그룹으로 합쳐졌다. 이상의 결과로, I-SSR 표지를 이용한 분석방법은 '복조대추'와 '보은대추' 품종의 식별에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추 물추출 농축물의교미(嬌味)효과 (Effect on Taste Correction of Jujube Water Extract Concentrate)

  • 김소연;김미경;장경숙;김순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94
    • /
    • 1994
  • The conditions of water extraction form the dried jujube (Zizyphus jujuba) were examined. The general components, taste, and effect of taste correction of jujube water extract concentrate (JWEC) were investigated. desirable condition for extraction was that 100g of dried jujube was added to 750$m\ell$ of water and heated for 80 minutes at 100$^{\circ}C$. The yield of JWEC was 50% and the manin component of it was sugar (90%). The major taste of JWEC was sweetness, and it had astringent, bitter, sour and salty tastes as incidental taste. The taste was changed to desirable taste when 15% of JWEC was added to coffee, 10% of JWEC was added to fermented soy sauce, thick soypaste mixed with red pepper, and vinegar, respectively.

  • PDF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 "마름무늬매미충(Hishimonus sellatus Uhler)"의 기주범위 및 생태에 관한 연구 (Host range and Bionomics of the Rhombic Marked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Homoptera: Cicadelliae) as a Vector of the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 김규진;김미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8-347
    • /
    • 1993
  •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Hish[monus sellatus Uhler)의 생태, 혼식 및 산란 호성, 기주이동, 월동태를 조사한 결과 남부지방에서 연 5세대가 경과되었고, 제 1세대 6월 중 ~하순, 2세대 7월 중~8월 상순, 3세대 8월 중~하순, 4세대 9월 상~중순, 5세대 10월 상~중순이었고, 최대 발생기는 3화기인 8월 중~하순이었다. 계절에 따른 한 세대에 요하는 기간은 춘계 80, 하계 69, 추계 77.8일이었으며, 각 단계별 크기는 란 0.8 mm, 1령충 0.9mm, 2령충 l.4mm. 3령충 2.1mm, 4령충2.5mm, 5령충 3.2 mm 이었으며 성충 암컷 4.1mm, 수컷 3.8mm였다. 년중을 통한 기주식물의 이동을 보면 주로 뽕나무, 환삼덩굴, 대추나무에서 란으로 월동하며, 5월 중~하순경까지 뽕나무와 환삼덩굴의 신호를 계속 증가하면서 일부가 6월 하순~7월초순경에 대추나무로 이동하며 가해하는데 이들 란이 10월 중~하순 경부터 월동태로 들어간다. 산란부위는 신초, 엽병, 엽통 등이며 1마리의 암컷 산란수는 32~62개였다. 파식선호성에서는 환삼덩굴, 대추나무, 쥐똥나무, 뽕나무에서 높은 선호성(38.2S-21.64 %)을 보였고 닥나무, 개머루, 구기자나무, 구지뽕나무, 모시풀, 벼, 골담초, 일일초, 차풀 등이 4.65~2.48%였다, 산란이호성에서는 식이호성이 높은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24~12개 정도였으며 성충의 생명에서는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41.4~44.4일, 개멀, 차풀, 쥐똥나무, 일일초, 자운영, 샐러리에서 25일 이상이었고 기지 기주식물에서는 20일 이하이었다.

  • PDF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대추음료의 가공 (Processing of Powdered Jujube Juice by Spray Drying)

  • 안덕순;우강융;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1-86
    • /
    • 1997
  • 대추를 이용한 가공제품의 하나로서 분무건조에 의한 분말음료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그 자체로는 모든 농도 범위에서 분무건조 하기가 불가능하였고 건조보조제의 첨가에 의해서 분말음료로의 제조가공이 가능하였다 대추 추출액은 26。Bx 농도까지 농축시키고 알맞은 건조보조제를 첨가하여 최종농도를 30。Bx로 조정하여 분무 건조시켰다 첨가되는 건조보조제의 양은 대추 추출액과 건조보조제의 비율이고 형물 기준으로 1:1정도까지 흔합했을때 건조가 용이하고 얻어지는 제품의 품질이 양호하였다. maltose, 농축유, gum arabic, dextrin등의 건조보조제를 검토한 결과 maltose와 gum arabic을 흔합하여 사용할 때 제품의 관능적 특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대추 추출시의 효소처리는 수율을 13~39% 향상시 킬 수 있었다. 그렇지만 효소처리가 분말대추음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추출수율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진다면 품질열화가 적은 pectinase의 0.5% 처리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대추(Zizyphus jujube) 잎 분획물의 염증매개물질 억제 (Inflammatory mediator regulation of the Zizyphus jujube leaf fractions in the LPS-stimulated Raw264.7 mouse machrophage)

  • 김예진;손대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4-120
    • /
    • 2014
  •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macrophage에서 대추잎 분획물(Zizyphus jujuba leaf fractions; ZLFs)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 보기위해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 10, $100{\mu}g/mL$ 농도 범위에서 염증매개물질인 NO, $PGE_2$, 염증성 cytokine(TNF-${\alpha}$, IL-$1{\beta}$ 및 IL-6) 생성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ZLFs(ZLWF, ZLEF, ZLBF)는 처리 농도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NO, $PGE_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분획 용매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ZLWF< ZLBF< ZLEF의 순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ZLEF은 $100{\mu}g/mL$ 처리 농도에서 NO, $PGE_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추 잎 분획물 중 가장 뛰어난 염증 억제제 후보물질로 확인되었다.

기계수확을 위한 대추의 물리적 특성 분석 (Physical Properties of Jujube(Zizyphus jujuba Miller) for Mechanical Harvesting)

  • 허윤근;이상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2호
    • /
    • pp.115-122
    • /
    • 2004
  • 본 연구는 대추 수확기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수확시기의 대추의탈과력과 종말속도를 구명하기 위하여 대추열매, 잎 및 잎줄기의 물리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수확시기의 대추열매의 평균 장경, 단경, 부피,무게 및 탈과력은 각각 32.02mm, 23.92mm, $10.0{\times}10^{-6}m^3$, 8.99g, 5.43N으로 나타났다. 2. 대추 열매의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열매의 탈과력은 증가하고, F/W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3. 대추 잎줄기의 평균 무게는 0.7g 이었고, 잎줄기에 매달린 잎수는 6.6개, 잎줄기 길이는122mm, 줄기부분 및 끝부분의 직경이 각각4.5m, 2.7mm 이었다. 4. 대추 잎의 평균 장 단경은 각각 5.7cm와 3.3cm, 잎면적은 $12.98cm^2$, 무게 및 탈리력은 각각 0.20g 및 4.39N으로 나타났다. 5. 수확시기 대추열매의 무게, 대추잎의 무게 및 대추잎줄기 길이와 종말속도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추잎의 면적이 증가하면서 종말속도는 다소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났다.

  • PDF

Anti-Influenza Activity of Betulinic Acid from Zizyphus jujuba on Influenza A/PR/8 Virus

  • Hong, Eun-Hye;Song, Jae Hyoung;Kang, Kyo Bin;Sung, Sang Hyun;Ko, Hyun-Jeong;Yang, Heej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3권4호
    • /
    • pp.345-349
    • /
    • 2015
  • Betulinic acid, a pentacyclic triterpene isolated from Jujube tree (Zizyphus jujuba Mill), has been known for a wide range of biological and medicinal properties such as antibacterial, antimalarial, anti-inflammatory, antihelmintic, antinocicep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In the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viral activity on influenza A/PR/8 virus infected A549 human lung adenocarcinoma epithelial cell line and C57BL/6 mice. Betulinic acid showed the anti-influenza viral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50{\mu}M$ without a significant cytotoxicity in influenza A/PR/8 virus infected A549 cells. Also, betulinic acid significantly attenuated pulmonary pathology including increased necrosis, numbers of inflammatory cells and pulmonary edema induced by influenza A/PR/8 virus infection compared with vehicle- or oseltamivir-treated mice in vivo model. The down-regulation of IFN-${\gamma}$ level, which is critical for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n viral infection, after treating of betulinic acid in mouse lung.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betulinic acid can be the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virus infection via anti-inflammatory activity.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조건 연구 (Investigation of Packaging of Fresh Jujube (Zizyphus jujuba) on Quality during Storage)

  • 정현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96-1302
    • /
    • 2013
  • 생대추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그리고 농가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효과적인 저장방법을 찾기 위하여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0^{\circ}C$ 온도와 80~90% 습도로 조절하고 에틸렌제거 장치가 설치된 저온저장고에서 플라스틱상자와 종이상자를 저장용기로 사용하고 한지와 기능성필름을 포장방법으로 사용하여 9주까지 저장하면서 이미지, 수분함량, 부패율, 경도, 색도 및 당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우 수분함량이 저장 전 69.2%에서 9주 저장 후에는 66.1%로 감소하였으며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부패과는 6주까지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 이후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군 시료의 경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종이상자에 기능성필름으로 포장한 시료의 경우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저장 기간 동안 적색도는 대부분의 시료에서는 천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당도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 70% 숙기를 가진 생대추를 9주까지 품질의 변화 없이 저장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저장방법으로는 저장용기로 플라스틱상자보다는 표면에 노출되는 대추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종이상자를 사용하는 것이 포장방법으로 한지보다는 기능성필름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농가에서 활용가능한 생대추의 저장방법으로 온도, 습도, 에틸렌이 조절된 저온저장고에서 종이상자와 기능성필름을 가볍게 덮은 조건에서 생대추의 저장을 9주까지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할 수 있었다.

국산 건대추의 외형 등급별 품질특성 연구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Quality Control of Zizyphi Fructus by Appearance Grade)

  • 방미희;유혜영;배봉석;박철수;한민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455-462
    • /
    • 2020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dried jujube (Zizypui Fructus) distributed by siz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and herbal medicine by evaluating it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tulinic acid content. Methods and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carbohydrate content of in jujube frui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fruit size; 81.42% for large, 79.83% for medium, and 76.39% for small. Similarly, the dilute ethanol extract content of each group was 72.48% (large), 69.56% (medium), and 64.16% (small). A free sugar analysis indicated that glucose, fructose and sucrose were found in quantitieds proportional to jujube fruit size, the total free sugar values were 68.85%, 63.93%, and 57.37% for large, medium, and small fruit sizes respectively. The betulinic acid content for large, medium, and small fruit was 0.50 mg/g, 0.54 mg/g, and 0.58 mg/g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maller jujube contained a higher amount of betulinic acid.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betulinic acid content could be used as a criteria for jujube fruit quality control.

대추 메탄올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 (Antioxidative Capac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of Methanol Extract from Zizyphus jujuba)

  • 김효경;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750-754
    • /
    • 2005
  • 대추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특초(大棗: 대조), 상초(中棗: 중조), 약초(小棗: 소조) 세 종류의 대추를 메탄올에 추출한 용액과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용액을 동결 건조하여 총 페놀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산패유도기간을 측정하였다. 대추의 총 페놀화합 물 함량은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 상초, 특초가 각각 $326.46\;mg\%,\;223.13\;mg\%,\;158.06\;mg\%$이었고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약초,상초,특초의 함량은 각각 $113.23\;mg\%,\;81.46\;mg\%,\;72.78\;mg\%$이었다. 전자공여능은 BHT $0.02\%$ 첨가구보다 더 우수한 것은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로 추출한 특초의 1.5, 2.0, 2.5, 3.0$\%$ 첨가구와 상초와 약초의 각 1.0, 1.5, 2.0, 2.5, $3.0\%$ 첨가구 등 총 22개의 시료이 었다. 그리고 $\delta-tocopherol\;0.02\%$ 첨가구와 같거나 더 우수한 시료는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을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등 총 8개의 시료이었다 산패유도기간은 대추 시료의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산패유도기간도 증가하였으며 BHT $0.02\%$ 첨가구보다 산패유도기간이 더 우수하거나 비슷한 시료는 물에 침지한 후 메탄올에 추출한 상초 1.5, 2.0$\%$와 약초 1.0, 1.5, $2.0\%$를 첨가한 것과 메탄을 추출물인 특초 $2.0\%$와 약초를 $2.0\%$첨가한 것이었다 대추의 항산화 효능은 물에 침 지한 후 메탄올 추출한 약초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약초추출물의 동결건조 시료는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