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giber mioga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3초

양하, 양하근경 및 생강분말이 고지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Zingiber mioga, Zingiber mioga Root and Zingiber officinale on the Lipid Concentration in Hyperlipidemic Rats)

  • 신정혜;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79-684
    • /
    • 2002
  • 고지혈증 유발 식이와 양하, 양하근경 및 생강분말의 혼합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식이에 각각 3%씩 첨가하여 4주간 실험사육하였다.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양하와 양하근경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유리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농도는 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고, 콜레스테릴 에스테르 농도비는 대조군이 72.36%, 실험군에서 62.14~65.33%였다. Chylomicron, LDL 및 VLDL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전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중성지질 및 인지질은 대조군에 비하여 전 실험군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장 중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유리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릴 에스테르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인지질의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양하(Zingiber mioga)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 검증을 통한 화장품 소재로서의 유효성 평가 (The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Zingiber mioga extract as a Cosmetic Material through Verification of Cosmeceutical Activations)

  • 엄미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088-1099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양하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양하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에 대한 생리 활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하기 위해, 양하꽃 추출물 (ZMF)과 양하잎 추출물 (ZML)을 7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acrophage (Raw 264.7)를 이용해 시료의 세포독성 평가와 nitric oxide 저해능을 측정하였다. ZMF과 ZML의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ZMF는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측정 결과 ZML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 측정 결과에 따르면 ZMF는 농도 의존적으로 NO가 저해되어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냈다. ZMF의 pro-collagen type-1 합성량은 25 ㎍/ml에서 110% 이상의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MP-1 저해능은 25 ㎍/ml에서 20%의 활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로 ZMF는 주름개선용 화장품 소재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평가 결과, 양하의 생리 활성 효과가 검증되었으므로 천연 화장품 재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romosome number of myoga ginger (Zingiber mioga: Zingiberaceae) in Korea

  • IKEDA, Hiroshi;NAM, Bo-Mi;YAMAMOTO, Nobuko;FUNAKOSHI, Hidenobu;TAKANO, Atsuko;IM, Hyoung-Tak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00-102
    • /
    • 2021
  • The chromosome number of myoga ginger (Zingiber mioga (Thunb.) Roscoe: Zingiberaceae) has been reported as 2n = 22 for Chinese plants and 2n = 55 for Japanese plants. We checked the chromosome number of Z. mioga in plants collected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Korea, and counted 2n = 44, the first report of this number for the species. As the basic chromosome number of Z. mioga is thought to be x = 11, Z. mioga plants in China, Korea, and Japan appear to be diploids, tetraploids, and pentaploids, respectively. In finding the tetraploid race of Z. mioga in Korea, we can hypothesize that the pentaploid race in Japan is derived through the fertilization of reduced gametes of the diploid race and unreduced gametes of the tetraploid race.

Effect of Activated Charcoal on Growth of Zingiber mioga ROSC

  • Choi, Seong-Kyu;Yun, Kyeong-Won;Chon, Sang-Uk;Seo, Young-Nam;Seo, Kyoung-Sun;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55-158
    • /
    • 2004
  • Activate charcoal (AC) can be utilized as a soil conditioner in agricultural crop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 on growth and yield of Zingiber mioga ROSC as affected by different amounts of AC.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 characteristics including plant height and leaf length were the highest when activated charcoal added with 10-30%, suggesting that optimum amount of activated charcoal was ranged from 10 to 30%. Growth and enlargement of the root were improved by 10% AC with higher rhizome length and weight.

  • PDF

양하(Zingiber mioga ROSC.) 지하경 크기와 피복재료가 주요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hizome Size and Mulching Materials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in Zingiber mioga ROSC.)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12-116
    • /
    • 1993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양하의 인공재배시 지하경의 키기와 피복재료가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지하경이 클수록 출현이 빠르고 생육이 양호하였으며 9월 하순경 개화되었다. 2. 지하경 크기는 12~15cm에서 초장이 크고, 화뢰엽수가 많아 대량번식시킬 때 가장 알맞은 키기로 사료된다. 3. 멀칭은 짚피복이 초장이 크고 엽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화뢰수와 화뢰중이 무거워 수량이 증수되었다.

  • PDF

양하 추출액의 색소 안정성 연구 (Stability Study of the Pigment Extract from Yangha (Zingiber mioga ROSC))

  • 김명현;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5-33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extract from Yangha (Zingiber mioga ROSC). Methods: Yangha extract was investigated for the effects of metal ion, temperature, light, heating time, sugars, and organic acids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s. Results: Yangha pigment was more stable than other anthocyanin pigments at unstable temperatures. The stability of anthocyanin pigment significantly decreased one day after exposure to light. All tested sugars decreased the abundance of Yangha pigments, with highest levels in the presence of sucrose, and progressive decrease in the presence of maltose, fructose, glucose and galactose, in order. Among the organic acids tested, citric acid and malic acid were the most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Yangha pigment, followed by acetic acid and formic acid. Most metal ions except $Fe^{2+}$ were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pig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reference data for the use of pigments from Yangha in processed foods.

양하의 근경에서 항균성 물질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Structure Identific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s from the Rhizome of Zingiber mioga Roscoe)

  • 김성철;송은영;김공호;권혁모;강상헌;박기훈;정용환;장기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3호
    • /
    • pp.246-250
    • /
    • 2003
  • 양하(Zingiber mioga Roscoe) 근경의 에탄을 추출물을 재료로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및 B. cereus에 대한 activity-guided fractionation을 실시하여 항균성 물질 세가지준 얻었다. 항균력실험 결과, 화합물 I과 111은 세가지균주 모두에 활성이 있었고, 화합물 II에서는 B. subtilis과 B. cereus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다. 그 중에서 가장 활성이 강한 화합물 I을 Bioscreen C로 optical density(600 nm)를 측정하여 증식억제실험을 한 결과 10 ppm 처리시 B. subtilis과 B. cereus에서 72시간동안 강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 aureus에서는 25 ppm 처리시 72시간동안 완전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1^H-NMR$, ${13}^C-NMR$, DEPT,$1^H-1^H$ COSY, HMQC, HMBC 및 IR 스펙트럼 등을 분석한 결과 화합물 I, II, III은 labdane-type diterpene인 $(E)-8{\beta}(17)-epoxylabd-12-ene-15,16-dial(C_{20}H_{30}O_3,\;MW=318)$, $galanolactone(C_{20}H_{30}O_3,\;MW=318)$ 그리고 galanal A($C_{20}H_{30}O_3,\;MW=318$)로 각각 동정되었으며, 이들은 양하의 근경에서는 처음 분리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