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inc Salt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중금속 내성이 있는 Desulfovibrio desulfuricans를 이용한 해양 환경에서의 Cu(II), Zn(II) 제거 (Removal of Cupper(II), Zinc(II) in Marine Environment by Heavy Metal Resistant Desulfovibrio desulfuricans)

  • 주정옥;김인화;오병근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39-144
    • /
    • 2014
  • Microorganis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bioremediation of heavy metal contaminated seawater. In this study, we reported an effective removal of Cu and Zn in marine envionment by using Desulfovibrio desulfuricans (D. desulfuricans) which belong to sulfate reducing bacteria. D. desulfuricans showed stable growth characteristics in high salt concentration and had resistance to heavy metals. Cu and Zn was removed not only by physical adsorption on the surface of bacteria but also by precipitation reaction of microbial metabolism by D. desulfuricans in seawater. In case of different heavy metal concentration, Cu was effectively removed 85% at 25 ppm and 60% at 50 ppm and Zn was effectively removed 54% at 50 ppm and 46% at 200 ppm, respectively.

고견뢰도 및 고흡진율 특성의 금속 착염 염료의 개발 (Development of Metal Complex Dyestuffs with High Fastness and High Adsorption)

  • 김운태;남원우;손병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5-120
    • /
    • 1995
  • Diazotization of 2-Amino-5-nitrophenol was Synthesized by the direct diazotization method. The diazonium salts are usually stabilized in the from of double salts. The double salts of zinc chloride are the Commonest, and the double salt method is Specially applicable to the yield-up of coupling. The azo dye(2-naphthol-1-(2'-diazo-5'-nitrophenol)) is Converted into a chromium Complex by heating($100^{\circ}C$) with chromic formate, and DMF. The removal of inorganic salts from dyestuffs was performed in DMF solvent.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From these results, It was obtained to liquid dyestuffs of metal complex with High fastness and high adsorption.

호장(虎杖)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Polygonum sp.)

  • 김태희;이종희;양기숙;김명자;유연희
    • 생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91
    • /
    • 1978
  • Free amino acids and mineral substance in radix of Polygonum cuspidatum, Polygonum elliptica, and Polygonum sachalinense were analyzed by amino acid autoanalyzer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Gross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in root of P. cuspidatum and P. elliptica are 12.99mg/g and 9.58mg/g respectively. The analysis of inorganic constituents of Polygonum sp. showed that it generally contains copper, iron, manganese, zinc, potassium and potassium salt.

  • PDF

전해아연의 Anode Slime과 건전지의 폐기물로부터 금속망간의 회수 (Refining of Manganese from Anode Slime of Electrolytic Zinc and Waste Dry Cell)

  • 윤병하;김대룡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19
    • /
    • 1986
  • Manganese in the Anode slime and the paste-positive material of waste-dry cell was recovered by leaching with the hydrochloric acid solution. The impurities (Zn, Fe, Pb), co-leached with manganese were removed from the leached solution prior to electrolysis by hydrometallurgical techniques such as the neutralization with ammonium hydroxide and cementation on manganese powder. The electrodeposition of manganese from the purified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was performed. Cathode current efficiency was found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concentration of sodium selenate and ammonium chloride salt, bath temperate, current density and PH. The current efficiency of about 88.7% was obtained by electrolysis manganese chloride solution with sodium selenate (0.1/g) at 10$^{\circ}C$.

  • PDF

Effects of Mancozeb on cell-mediated immunity in mice.

  • Chung, Ae-Hee;Pyo, Myoung-Y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14.1-114.1
    • /
    • 2003
  • Mancozeb is a protective fungicide on plants and a polymeric complex of ethylene bisdithiocarbamate manganese with zinc salt. It is reported to induce teratogenic and carcinogenic effect in laboratory animals. But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Mancozeb exposure have not been systemically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ncozeb on cell-mediated immunity in mice. For ex vivo assessment, mice were orally exposed to Mancozeb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s concentrations of 2,500, 5,000, 10,000 mg/kg for single occasion (acute exposure) or 250, 1,000, 1,500 mg/kg/day 5 days a week for 30days(subacute). (omitted)

  • PDF

무 절임 제조 시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따른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dish by Soaking Using Sun-dried Salt and Leuconostoc starter)

  • 나종민;김영섭;김세나;김정봉;조영숙;김광엽;김행란;김소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51-956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산 천일염(장판염, 토판염)의 성분 비교와 이를 이용하여 무 절임을 제조할 때 첨가한 스타터와 함께 발효기간 동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두 소금간의 일반성분 중 수분함량은 차이를 보였지만 회분 함량은 그룹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생산시기가 동일한 점을 고려할 때 천일염 생산방식에 따른 차이라고 판단된다. 이들의 무기성분 함량은 소금의 주성분인 Na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a, K 그리고 Mg 함량은 장판염이 높게 측정된 반면, Fe 그리고 Zn 함량은 토판염이 높게 측정되었지만, Ca 함량을 제외하고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천일염의 당도 측정 결과 10.70 Brix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어떤 종류의 당으로 구성되었는지에 대한 정성 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무 절임 중 천일염과 스타터 첨가에 의한 발효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스타터를 첨가한 그룹이 스타터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보다 활발하게 유리당, 유기산 등 2차 대사산물을 생성하여, 우점종으로서 초기 미생물 조절에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된다. 그리하여 실험에 사용된 Leuconostoc mesenteroides B-512F 균주의 스타터 첨가가 발효과정 중 미생물 균총 변화에 큰 영향을 주므로, 발효 식품 제조 시 초기미생물 조절자로서의 명확한 역할 구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가 크롬황산염의 크로메이트에 의한 아연도금내식성 증대 (Enlargement of Anti-corrosion of Zinc Plating by the Trivalent Chromium Sulfate Conversion Coating)

  • 이철태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96-302
    • /
    • 2007
  • 6가 크롬의 크로메이트 코팅제의 대체를 위한 3가 크롬의 크로메이트 코팅용액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코팅제는 3가 크롬원으로서 $KCr(SO_4)_2$를 35~45 g/L, 인산계 화합물로서 $NaH_2PO_4$를 20~30 g/L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금속계 황산화물로서 $CoSO_4$ 10~20 g/L, $ZnSO_4$ 10~20 g/L의 조성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제안된 3가 크롬 코팅용액을 사용하여 pH 2.0~2.2, 상온에서 담지시간 20~25 s의 조건하에 시안아연도금체에 코팅된 피막은 염수분무시험결과 5% 백청발생까지 120 h 이상 견디는 우수한 내식성을 발현하였다.

Synthesis, Structures and Photoluminescent Properties of Two Novel Zinc(II) Compounds Constructed from 5-Sulfoisophthalic Acid

  • Zhu, Yu-Lan;Tang, Xue-Ling;Ma, Kui-Rong;Chen, Hao;Ma, Feng;Zhao, Lian-Hua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881-1886
    • /
    • 2010
  • Hydrothermal reaction of zinc(II) salts with 5-sulfoisophthalic acid monosodium salt ($NaO_3SC_6H_3$-1,3-(COOH)$_2$, $NaH_2$-SIP) and 1,10-phenanthroline (phen) led to two new compounds, [Zn(phen)$_3$$\cdot2H_2SIP\cdot4H_2O$ (1) and [Zn(phen)$_2(H_2O)_2]\cdot2H_2SIP\cdot2H_2O$ (2). They were characterized by element analysis, IR spectroscopy, thermalgravimetric analysis (TGA), X-ray powder diffraction (XRD), and single-crystal X-ray diffraction. Both compounds 1-2 represent the first example of Zn/phen/SIP system. The Zn (II) ion in 1 is six-coordinated by six nitrogen atoms from three phen molecules, and the $H_2SIP^-$ ligands engage in the formation of hydrogen bond. The Zn(II) ion in 2 is coordinated by four nitrogen atoms from two phen molecules and two oxygen atoms from two water molecules. Moreover, both 1 and 2 are assembled into 3D supramolecular architectures by hydrogen bonds (O-H$\ldots$O) and $\pi-\pi$ interactions. Solvent water molecules occupying voids of the compounds serve as receptors or donors of the extensive O-H$\ldots$O hydrogen bonds.

색소흡착산화아연에 대한 표면광기전력의 분광학적 연구 (Surface Photovoltage Spectroscopy on Dyed Zinc Oxide)

  • 김영순;성용길
    • 대한화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1-258
    • /
    • 1984
  • 색소를 흡착시킨 산화아연의 표면상태를 광기전력측정법을 이용하여 색소증감기구 및 바인더(binder)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화아연의 에너지트랩준위는 1.12eV이며, 색소흡착에 의해 0.99eV로 에너지준위가 낮아짐을 알았다. 바인더효과는 표면광기전력의 효율을 커지게 하나 에너지트랩준위에는 변화를 주지 않는다. 또한 색소증감기구로 흡착력이 강한 산형색소는 전자 이동(electron transfer)이며, 산화아연 고유흡수광에 減感작용이 있는 나트륨염형색소는 에너지이동(energy transfer)로써 추측된다. 근적외부인 1,100~1,350nm에 걸쳐 광기전력감도가 나타나므로 적외선에 의한 전자사진용 畵像材料로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고상소결에 의한 방사성 희토류산화물의 고화 (Immobilization of Radioactive Rare Earth oxide Waste by Solid Phase Sintering)

  • 안병길;박환서;김환영;이한수;김인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6
    • /
    • 2010
  • Pyroprocessing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처리 과정에서 방사성 희토류 염화물이 포함된 폐용융염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 용융염 내에 존재하는 방사성 희토류 염화물을 산화물로 침전시켜 회수함으로서 용융염을 재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발생되는 방사성 희토류 산화물의 저장과 처분에 적합한 monolithic 고화체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상 소결에 의해 붕규산 유리에 의한 고화체 제조, 희토류 산화물을 모나자이트로 합성한 후 붕규산 유리에 의한 고화체 제조를 수행하였다. 또한 zinc titanate 세라믹이 주요성분인 고화 매질(ZIT)을 개발하여 고화체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고화체에 대한 침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고상 소결에 의해 제조된 ZIT 매질 고화체는 내 침출성이 크며 밀도가 크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