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anthoxylum piperitum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초피와 산초의 화학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Chopi (Zanthoxylum piperitum) and Sancho (Zanthoxylum schinifolium))

  • 고영수;한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27
    • /
    • 1996
  • 야생식량 자원으로서 활용의 여지가 많은 초피와 산초의 성분을 분석 비교하였다. 조단백질은 초피 과피 및 종자가 각각 11.51%, 13.65%로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약간 높았다. 조지방은 산초 종자가 37.78%로 가장 높았다. 중성지질의 경우 산초 종자가 61.2%로 가장 높았으며 산초 과피는 36.1%로 가장 낮았다. 당지질은 산초 과피가 59.8%로 가장 높았고 산초 종자가 24.7%로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산초 종자가 14.1%로 특히 높아, 초피 종자(2.8%)의 약 4배였다. TG의 chromatogram은 초피과피의 경우 $C_{42}$, $C_{46}$, $C_{48}$, $C_{50}$, $C_{52}$$C_{54}$ 등 6개의 peak가 나타났으며 $C_{42}$의 함량이 높았고, 산초 과피는 $C_{42}$, $C_{46}$, $C_{48}$, $C_{50}$$C_{56}$의 5개 peak가 나타나 두 시료에 공통적으로 $C_{42}$, $C_{46}$, $C_{50}$, 이 함유되어 있었다. 초피 종자의 경우는 $C_{42}$, $C_{52}$가, 산초 증자는 $C_{42}$, $C_{50}$이 나타나 4개 시료의 공통적인 TG는 $C_{42}$임을 알 수 있었다. 필수지방산의 총량은 산초 과피가 59.4%로 가장 높았으며, 그 중 linolenic acid는 44.5%, linoleic acid는 14.9%였다. 산초과피에서 ${\beta}-sitosterol$만이 동정되었고, 나머지 3개 시료에서는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을 동정하였다. 4개의 시료에 모두 ${\alpha}-tocopherol\;acetate$${\alpha}-tocopherol$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alpha}-tocopherol\;acetate$의 함량은 초피 과피와 종자가 산초 과피 및 종자보다 높았으며, 4개 시료 모두에서는 ${\alpha}-tocopherol$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모든 시료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환원당은 초피 종자(4.19%)와 산초 종자(2.89%)가 초피 과피와 산초 과피에 비하여 훨씬 높았다. 사포닌은 4개 시료 모두에 함유되어 있었으며, 초피 과피가 7.20%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 중에서는 K의 함량이 모든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초피 과피에 citric acid가 0.078%, ${\alpha}-ketoglutaric\;acid$가 0.696% 함유되어 있었으며, 산초 과피에 ${\alpha}-ketoglutaric\;acid$가 0.475% 함유되어 있었다. 모든 시료에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과 glutamic acid였다. 함량이 많은 총 아미노산의 순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val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산초 종자의 glutamic acid의 함량이 2.39%로 매우 높았다. 4개의 시료중에 공통적으로 함량이 높은 정유성분은 limonene(30.1-66.8%), ${\beta}-phellandrene$, citronellal, cineol 등의 순이었으며 citronellal의 함량이 산초 종자에서 22.0%로서 나머지 시료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isopulegol의 함량은 초피 과피에서 45.2%로서 나머지 시료의 함량보다 현저히 높았으며, linalool함량도 초피 과피에서 9.5%로 훨씬 높았다. 또한 terpinene-4-o1은 초피 과피 및 종자에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았으나, 산초 과피에서는 1.1%, 산초 종자에서는 0.8%의 함량을 보여 주었다.

  • PDF

산초 추출물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the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nd Lipid Metabolism of Zanthoxylum piperitum Extracts)

  • 박장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5-619
    • /
    • 2013
  • Obesity is the most common nutritional disorder in the developed world and has become a global epidemic in recent years. In this study, Zanthoxylum planispinum extracts (ZPE) were evaluated on the effect on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and lipid metabolism by oral treatment for 2 months in high-fed diet obesity-induced Balb/c mice. The ZPE showe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ctivity with $IC_{50}$ of $0.3{\mu}g/ml$.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ed intake was observed among the groups. The high-fat diet-treated Z. planispinum extracts groups (HFD+ZPE, 100mg/kg)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weight compared to the high-fat diet vehicle groups (HFD, p<0.05). The high-fat diet-treated Xenical$^{(R)}$ groups (HFD+Xenical, n=10, 30mg/kg) also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body weight compared to HFD (p<0.05). Biochemical parameters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HFD plus ZPE die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s (p<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ZP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the effects of HFD on body fat gain with the inhibitory effect on pancreatic lipase.

수형목 민초피나무의 기내 대량 증식 (Micropropagation of Superior Variety of Japanese Pepper Tree (Zanthoxylum piperitum Dc.))

  • Sung Ho SON;Seong Doo HUR;Jung Hee KIM;Yun Hee LEE;Mee Hee KIM;Jin Seon PARK;Young Wook LEE;Heung Kyu MOON;Yang YOUN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27-130
    • /
    • 1995
  • 생산성이 높고 가시가 없는 초피나무의 2단계 대량증식이 가능하였다. 기내 줄기의 생장에는 대체로 DKW 배지가 좋은 반등을 보였으며, 수평으로 120$^{\circ}$각도를 준 플라스틱 Petri dish에서 다경 줄기를 유도할 때에는 BAP 0.89 $\mu$M이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경 줄기를 유도한 후, 수직으로 세운 Petri dish의 윗면에 5-7개의 구멍을 낸 다음, 30% 정도의 빛만 투과할 수 있는 조건의 온실에서 환경순화를 시켰다. 이들 다경 줄기의 기저부를 제거한 다음 각각의 줄기를 피트 플러그에 이식한 결과, 100%의 발근율을 얻었다. 폿트에서 약 6개월 가량 유지하였을 때에도 선발목에서와 같이 줄기에 가시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향후 생산성에 대한 검정이 이루어지면, 조직배양에 의한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Marker Compounds and Matabolic Profiling of Zanthoxylum piperitum (Chopi)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arvest T imes

  • Hyejin Hyeon;Eunbi Jang;Yoonji Lee;Sung Hye Han;Baek Kwang Yeol;Su Young Jung;Ki Sung Shin;Weon-Jong Y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2-62
    • /
    • 2023
  • Zanthoxylum piperitum ("chopi" in Korean)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with high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d antifungal activities.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marker compounds and to investigate metabolites variation of chopi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harvest times. Every month from June to September, chopi were harvested with three different parts: leaves, leaf-twig mixtures, twigs. Using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two main marker compounds (quercitrin and quercetin-3-O-glucoside) were characterized in 70% ethanol extracts of chopi. Quantification of the two marker compound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epresenting that contents of these compounds were higher in leaves and leaf-twig mixtures rather than twigs.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metabolites associated with production of marker compounds, 35 primary metabolites were identifi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represented that plant parts were main contributors to the separation of chopi.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between leaves and leaf-twig mixtures samples. The partial least square (PLS) predictive model revealed that monosaccharides (fructose, galactose, glucose, mannose, xylose) and branched-chain amino acids (isoleucine, valine, leucine) were important determinants for the production of marker compounds together with alanine, inositol, GABA, and theronic acid.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to stabilize and utilize chopi as an industrial material, as well as to find good candidates with various nutritional traits.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eriyaki Sauces containing Medicinal Herb Extracts

  • Kim, Hyun-Ah;Kim, Dong-Seok;Song, Chung-Rak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0-135
    • /
    • 2014
  •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s of addition of medicinal herb extracts (Zanthoxylum piperitum extract(TZ), Acanthopanax sessiliflorus(TA), Panax ginseng(TP), Cinnamomum lureitri Nees(TC), Angelica gigantis radix(TAG) and Crataegii fructus extract (TCF) to teriyaki sauce with regard to taste and health benefit. After adding the medicinal herb extracts to teriyaki sauce, moisture content was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iscosity. The sauce with Panax ginseng extract(TP) had lowest sweetness, but highest salin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uce with Korean herb extracts had lower salinity content. In terms of colour value, the sauce with Crataegii fructus extract(TCF) had much highe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than sauce prepared with other herb extracts. It had the strongest acidic taste and lowest pH. Sensory evaluation test revealed that the sauce with Anthoxylum piperitum extract(TZ) was the most preferred sauce among all the sauces tested. The degree of brown color of teriyaki sauces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aste preference(r=.570, p<0.01) and overall preference(r=.505, p<0.01).

초피 과피의 성숙정도에 따른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Pericarp of Chopi (Zanthoxylum piperitum DC.) During Maturation)

  • 최영환;이영근;김근기;신동수;안철진;주우홍;강점순;손길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06-213
    • /
    • 2003
  • 초피의 성숙과정중 향기성분을 조사하고자, 경상남도 밀양시 제약산 일대에서 2001년 6월 2일, 7월 14일 및 9월 11일에 채취한 초피 과피의 향기성분을 CC-MS로 분석한 결과, 6월 2일에는 52종, 7월 14일에는 47종 및 9월 11일에는 44종이 확인되었다. 각각의 채취시기에 대한 구성성분의 종류를 비교하면 terpene류는 6월 2일과 7월 14일에는 myrcene, ${\gamma}$-terpinene, $\alpha$-terpinolene, $\alpha$-phellandrene, $\beta$-caryophyllene 등 8종이 검출되었으나, 9월 11일에는 $\alpha$-phellandrene과 $\beta$-raryophyllene이 검출되지 않았다. Alcohol류는 6월 2일 채취시에는 linalool L, citronellol 등 13종이, 7월 14일과 9월 11일에는 cis-linalool oxide와 piperitol isomer가 추가되어 15종이 검출되었다. Aldyhyde류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citronellal 등 3종이 검출되었으나, 9월 11일에는 citronellal의 함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ketone류도 cryptone, piperitone 등 5종이 검출되었는데 구성성분의 종류는 채취시기에 관계없이 동일하였으나, 함량의 차이는 있었다. Ester류는 6월 2일에 채취하였을 경우에는 lavandulyl acetate, $\alpha$-terpinenyl acetate 등 6종이 검출되었으나, 7월 14일과 9월 11일에 채취한 과피에서는 [(E)-6,7-ephoxy-3,7-dimethyl-2-octenyl]ester of acetic acid 가 새로이 검출되어 7종이었다. Hyrocarbon류는 $\delta$-cadinene, neopentylideneclohexane 등 7종이었는데, 7월 14일과 9월 11일에는 $\alpha$-muurolene이 추가되어 8종이 검출되었다 초피 과피의 향기성분은 채취시기에 따라서 구성성분의 종류는 물론 농도의 변화가 현저하였다.

화살, 남천, 차, 초피나무 4유용수종(有用樹種)의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가 포지발아(圃地發芽)와 유묘(幼苗) 생장(生長)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Seed Treatment on Fiel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in four useful species, Euonymus alatus, Nandina domestica, Thea sinensis and Zanthoxylum piperitum)

  • 구관효;최재식;윤기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87-96
    • /
    • 1995
  • 새 순(筍)이나 수피(樹皮), 열매 등(等) 식(食) 약용(藥用)으로 이용(利用)하고 있는 화살나무를 비롯한 4수종(樹種)의 종자(種子)에 대하여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을 높이는 방법(方法)을 알아보기 위행 화살나무, 차나무, 초피나무의 종자(種子)는 10월(月) 중순(中旬)에서 11월(月) 중순(中旬) 사이에 채취(採取)하여 정선(精選)한 후(後) Pon-Pon, $H_2O_2$, $GA_3$, 종피파쇄(種皮破碎) 등(等)으로 처리(處理)하여 노천매장(露天埋藏)(119일(日)-134일(日))을 하였다가 3월(月) 29일(日) 시험포지(試驗圃地) 파종(播種)하였으며, 남천 종자(種子)는 11월(月) 하순(下旬에) 채취(採取)하여 Growth chamber에서 저장온도(貯藏溫度)($4^{\circ}C$, $25^{\circ}C$, $32^{\circ}C$), 저장기간(貯藏期間)(7일(日), 15일(日), 21일(日))별(別)로 처리(處理)한 후(後) 유리온실(溫室) 내(內)의 파종상자(播種箱子)($55{\times}45{\times}15cm$)에 파종(播種)하여 보관(保管)하던 중(中) 5월(月) 초(初)부터는 노지(露地)에서 관리(管理)하였다. 수종별(樹種別), 종자(種字)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로 발아(發芽) 생장(生長)한 묘목(苗木)을 파종(播種)한 당년(當年) 10월(月) 중순(中旬)에 굴취(掘取)하여 발아율(發芽率)과 유묘(幼苗) 생장(生長)을 조사(調査) 분석(分析)하였다.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별(發芽促進處理別) 포지(圃地) 발아율(發芽率)에서 화살나무는 $GA_3$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67.1%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 처리구(處理區) 18.4%보다 높은 발아율(發芽率)을 보여 유의적(有意的)인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차나무 종자(種子)는 종피파쇄(種皮破碎)나 $H_2O_2$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와 일반(一般) 노천매장처리구(露天埋藏處理區) 간(間)에 뚜렷한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아 노천매장(露天埋藏) 만으로도 충분한 발아촉진(發芽促進)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초피나무 종자(種子)의 경우 Pon-Pon 처리(處理) 후(後)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에서 당년(當年) 발아율(發芽率) 80.3%로 일반(一般) 노천매장(露天埋藏)한 처리구(處理區)의 12.4% 보다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있었다. 남천 종자(種子) $32^{\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가 $4^{\circ}C$에서 7일간(日間) 저장(貯藏)한 처리구(處理區)보다 5개월(個月) 정도 조기(早期)에 발아(發芽)되면서 발아율(發芽率)도 높게 나타났다. 포지(圃地)에 파종(播種)한 종자(種子)의 발아최성기(發芽最盛期)는 화살나무(32일(日))>초피나무(49일(日))>차나무(83일(일))>남천(87일(日)) 순(順)이었다. 포지(圃地)에서 발아(發芽)한 실생묘목(實生苗木) 생장량(生長量)은 종자(種子) 발아촉진처리(發芽促進處理)의 효과(效果)로 발아(發芽)가 빠른 처리구(處理區)에서 양호(良好)하였다. 실생묘(實生苗)의 연(年) 생장시간(生長時間) 중(中)에서 가장 왕성(旺盛)한 생장(生長)을 보인 최대생장(最大生長) 기간(期間)은 화살나무는 종자발아(種子發芽) 후(後) 72일(日) 경(傾)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사이이고, 초피나무는 59일(日)째인 6월(月) 하순(下旬)부터 7월(月) 중순(中旬) 사이였으며 차나무는 54일(日)째인 8월(月) 중순(中旬)부터 9월(月) 중순(中旬)사이로 나타났다.

  • PDF

Col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ld Silkmoth, Samia cynthia pryeri, in Korea

  • Kim, Bo-Youn;Park, Young-Whan;Park, Nam-Sook;Lee, Sang-M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권1호
    • /
    • pp.101-103
    • /
    • 2001
  • The wild silkmoth, Samia cynthia pryeri, was firstly collected at Miryang, Korea. The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characters of S. cynthia preyri in the laboratory condition were analysed. The larval body color of dark yellow green or light yellow green of the S. cynthia pryeri was changed into white color during the molting period, and the yellowish bristles in younger larvae were changed into fade green color in advanced stage larvae. Aralia elata and Zanthoxylum piperitum were newly identified as host plants to S. cynthia pryeri. Cocoon weight and cocoon shell percentage were average 2.14 g and 12.3 %,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morphology of the silkgland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domestic silkworm,Bombyx mori, but was identical with that of the wild silkmoth, Antheraea yamamai.

  • PDF

Anti-HIV and Antihepatotoxic Constituents from Medicinal Plant Resources

  • Park, Jong-Cheol;Park, Ju-Gwon;Hur, Jong-Moon;Hwang, Young-Hee;Jung, Deuk-Young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96-199
    • /
    • 2001
  • Medicinal plants were screened for the inhibitory effects on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pretense. Of the extracts tested, the strong inhibitory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acetone extracts of the pericarp of Camellia japonica. Camelliatannin H from the pericarp of C. japonica showed a potent inhibitory activity on HIV-1 pretense. Effects of the extract and compound from leaves of Zanthoxylum piperitum on the enzym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liver of bromobenzene-treated rats. The methanol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isolated from Z. pipetitum reduced the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that increased by bromobenzene, while did not affect the activities of aminopyrin N-demethylase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extract and protocatechuic acid recovered significantly the activity of epoxide hydrolase decreased by bromobenze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