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 japonica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4초

일본산 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 (Karyological Study of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손시환;이경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9-274
    • /
    • 1990
  • 일본산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를 위하여 정소조직 및 백혈구, 초기태아조직들로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염색체의 수는 정상 이배체(2n)가 78개로 나타나고, 계2 감수분열 중기상태의 정모세포의 관찰에서 반수체(n)가 39개로 나타났다. 한편 8개의 대형염색체 및 성 염상체에 대한 형태적 분석은 동원체지수 및 상대적 길이비로서 측정하였다. 이용된 여러 조직간의 염색체의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번 염색체템서 p-alm의 존재유무에 따라 상당한 변이를 나타내었다.

  • PDF

애기거머리말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agrass Zostera japonica)

  • 곽명국;김다슬;오광석;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29권4호
    • /
    • pp.271-277
    • /
    • 2014
  • In this study, crude extract of the seagrass Zostera japonica, and its solvent-partitioned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The crude extract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into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fractions by liquid-liquid partition. These include DPPH radical scavenging, hydroxyl radical scavenging in HT-1080 cells, peroxynitrite scavenging, and protective effect on DNA damage caused by hydroxyl radicals generated. In all assays, except for DPPH radical, 85% aq.MeOH and n-BuOH fraction showed the strong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Z. japonica may be used as a potential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product or functional food in the future.

잔디초지 생태계에 있어서 생산자와 소비자에 의한 DNA의 축적과 분해의 평형 (The Balance of the Storage and Decay of DNA by Producers and Decomposers in the Ecosystem of a Zoysia japonica Grassland)

  • 장남기;김정석;이병설;강경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5-283
    • /
    • 1996
  •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storage and decomposition of the titter DNA of a Zoysia japonica grassland on Mt. Kwanak. The loss constant k of litters was 0.167. The times required for the decomposition of half, 95% and 99% of accumulated DNA on the grassland floor were 3.8, 16.6 and 27.6, respectively. The amount of DNA which is turned to living organism in the ecosystem is higher than that of crude protein. In the case of crude protein, the decay constant k was 0.181. The times needed for the decomposition of half, 95% and 99% of accumulated crude protein on the Z. japonica grassland floor were 3.8, 16.6 and 27.6 years, respectively. Key words: Zoysia japonica, Mt. Kwanak, Litter DNA, Crude protein, Decomposition, Accumulation.

  • PDF

다수확 종자형 품종 육성을 위한 자생 한국잔디 수집계통들의 종자 수확량과 발아율 (Seed Yields and Germination Rates of Native Ecotype Coll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Yield Seeded Variety of Zoysiagrass in Korea)

  • 배은지;한정지;최수민;이광수;박용배;양근모;최준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95-100
    • /
    • 2016
  • 국내에 종자형 품종 개발은 아직 전무한 상태이다. 한국잔디의 종자형 품종 개발은 국내외 잔디산업 발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한국잔디 자생지인 국내 동,서, 남해안과 내륙지방에서 277 생태형을 수집 하였고, 이중에서 종자를 맺는 102개 수집계통에 대한 종자 수확량과 발아율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자 수확량은 $0.1{\sim}32.2g\;m^{-2}$의 범위를 보였다. 수확량이 가장 많은 계통은 중엽형인 Z6011로 $32.2g\;m^{-2}$로 나타났다. 수집계통의 발아율은 대부분이 50%이하로 낮게 조사되었다. 발아율이 가장 높은 계통은 78%를 보인 Z2095로 조사되었다. 종자수확량이 높으면서, 발아율이 높은 계통으로는 Z6011, Z6015, Z1075, ZN1008, Z1084 등을 선발하였으며, 대부분 중엽형계통과 Z. japonica 계통이었다. 상기 선발 계통들은 향후 다수확 종자형 품종육성을 위한 유용한 유전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Zoysiagrass의 종 및 품종의 분포, 분류와 육종 현황 (Distribution, Classification, Breeding, and Current Use of Zoysiagrass Species and Cultivars in Korea)

  • 최준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4호
    • /
    • pp.283-291
    • /
    • 2017
  • Zoysiagrass has been used in Korea as a native grass. Informations on distributions, classifications, breeding efforts and outputs, current production and uses of zoysiagrasses in Korea are summarized. During past a few decades, collection of naturally growing zoysiagrass ecotypes has been continued, followed by evaluation, selection and cross-pollination. Classification efforts using important morphological, biochemical traits and DNA polymorphisms resulted in the several suggestions of grouping zoysiagrass species and varieties. Zoysia japonica consistently form separate group, while Zoysia sinica and Zoysia macrostackya have been separately or inter-mixed. Z. matrella with some variations frequently grouped separately but with some similarity with Z. tenuifolia, which was recently renamed as Z. pacifica. Hybrid types of zoysiagrasses were frequently found in Korea. New varieties such as 'Kunhee' and 'Green Ever' etc. were bred by ecotype selections, while 'Senock', 'Semil', 'Millock' were bred through pollination. Molecular approaches were also used to introduce beneficial genes into zoysiagrasses with no practical outputs by legal regulations. Currently popular varieties are inter-specific hybrid types such as 'Anyang' and other local zoysiagrasses as well as comm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Production area in Korea was estimated as 2,947 ha with increasing problems of mixed or contaminated species and varieties.

Surveys of Vegetation in the Peninsular Geography of Youngweol

  • Yun, Sei-Young;Shin, Young-Seob;Yun, Min-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40-543
    • /
    • 2007
  • We have investigated the vegetation in the peninsula located in Ongjeong-Li Seomyeon in Youngweol-gun. Since this is a limestone area, boxtrees, Abelia mosanensis T. H. Chung ex Nakai, and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were abundant, as these are type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limestone areas. Pinus densiflora S. et Z. was the most dominant woody plant, but vegetational changes, such as the dominance of Quercus variabilis Blume, Quercus dentata Thunb, and Quercus mongolica Fischer, were observed in spots. In particular, the growth of nursery plants of pinus densiflora S. et Z. was not observed, and young trees like Quercus mongolica Fischer grow as low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Thus, the ecological succession of Quercus mongolica Fischer is predicted. Outside the investigation area, as herbaceous plants, various vegetations were observed, including 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Thalictrum coreanum H. Lev., Mukdenia rossii(Oliv.) Koidz., Platanthera freynii Kraenzl.,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Potentilla dickinsii Franch., Patrinia rupestris(Pall.) Juss., Swertia pseudochinensis H. Hara, Vicia venosa(Willd.) Maxim., Pyrola japonica Klenze ex Alef., Disporum smilacinum A. Gray, Artemisia stolonifera(Maxim.) Kom. for. Stolonifera, Smilax nipponica Miq.,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Regel) H. Hara, Isodon inflexus(Thunb.) Kudo, Gentiana scabra Bunge for. Scabr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Miq.) Ohwi, Dioscorea quinqueloba Thunb., Syneilesis palmata(Thunb.) Maxim.,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Galium kinuta Nakai & Hara, Saxifraga fortunei var. incisolobata, Lilium amabile Palib., Siberian iris, Dictamnus dasycarpus Turcz., Atractylodes ovata(Thunb.) DC., and Lysimachia clethroides Duby.

장척호 습지에서 식물상과 식생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Reservior Jangchuck)

  • 김세훈;안진우;김인택;조운행;이혜진;황동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57-664
    • /
    • 2011
  • 장척호의 수변식물군락의 식생조사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2008년, 2011년의 3월~10월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는 습생 및 수생식물은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를 기록하였고 2011년는 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가 나타났으며, 2011년도 장척호의 습생식물(HG) 13종, 정수식물(EM)은 7종 부엽식물(FL)이 각각 4종, 부유식물(FF)이 2종, 침수식물(SM) 1종으로 나타났다. 2008년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와 비교하면 습생식물(HG)이 15종에서 13종으로 약 13.33%가 감소되었고 정수식물(EM)은 변화가 없었으며 부엽식물(FL)은 9종에서 4종으로 55.56%, 침수식물(SM)은 4종에서 1종으로 75%, 부유식물(FF)은 3종에서 33.33%로 각각 감소되었다. 2011 식생조사에서 나타난 식물군락은 총 16개 군락이며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개구리밥군락(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물억새군락(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자라풀군락(Hydrocharis dubia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털물참새피군락(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나도겨풀-자라풀군락(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왕버들군락(Salix glandulosa community),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community),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 이삭사초군락(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버드나무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마름-개구리밥군락(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2011년에는 마름군락이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7~8월 사이의 급격한 저수율변화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군락구조 및 천이경향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Tendency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 이준혁;이정은;변준기;안종빈;김호진;윤충원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51-61
    • /
    • 2024
  •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재 우량 산림습원 2개소를 대상으로 군락구조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천이경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를 토대로 군락을 분류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골풀아재비군락, 꽝꽝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진퍼리새군락, 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소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의 총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인 골풀아재비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5개 군락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습지의 극상종인 오리나무, 절대육상식물인 소나무와 꽝꽝나무가, 초본층에서는 중간습원의 대표종인 진퍼리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 내 출현한 모든 관속식물을 습지선호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절대육상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골풀아재비군락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우량 산림습원을 구성하는 식물 중 육상식물의 출현비율이 높고, 습지가 건조화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진퍼리새가 번성하고 있어 습지의 천이 및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I)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I))

  • 김미성;이유선;;김희연;최해진;임상현;허수정;권순배;박동식;한상섭;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20-230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내의 자생식물 중 살포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55과 98종 시료로터 MeOH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에 대한 살초검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98종 중 놀은 살포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가중나무(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고비(Osmunda japonica THUNB.), 더위지기(Artemisia iwayomogi KITAMURA), 두릅(Aralia elata SEEM.),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 미국산사나무(Crataegus scabrida SARG.), 사군자(Quisqualis indica L.), 센달나무(Machilus japonica S. et Z.), 소귀나무(Myrica rubra S. et Z.), 실육카(Yucca smalliana FERN.), 양버즘나무(Platanus occidentalis L.), 영춘화(Jasminum nudiflorum LINDL.), 유채(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 음나무(Kalopanax pictus (THUNB.) NAKAI), 자리공(Phytolacca esculenta V. Houtte), 장딸기(Rubus hirsutus THUNB.), 젓나무(Abies holophylla MAXIM.), 족도리풀(Asarum sieboldii MIQ.), 참으아리(Clematis terniflora DC.), 캐모마일(Anthemis nobilis L.) 등 20종으로 나타났다. 자생식물 98종 중 50종 식물은 중정도의 살초활성을 나타내었으나(1,000 ${\mu}g\;g^{-1}$ < $GR_{50}$ 값 < 2,000 ${\mu}g\;g^{-1}$), 28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Total Synthesis of (R,Z)-(-)-5-Tetradecen-4-olide, the Pheromone of the Japanese Beetle and Its Biological Activity Test

  • Kang, Suk-Ku;Shin, Dong-Soo;Lee, Jeong-Oon;Goh, Hyun-Gw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6호
    • /
    • pp.444-447
    • /
    • 1986
  • Optically active (R,Z)-(-)-5-tetradecen-4-olide, the pheromone of Popillia japonica Newman was synthesized from (R)-2,3-O-isopropylideneglyceraldehyde as starting material. The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synthetic pheromone as attractant for the male Japanese beetle was tested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