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Reservior Jangchuck

장척호 습지에서 식물상과 식생 분포에 관한 연구

  • 김세훈 (창원대학교 생물-미생물학과 대학원) ;
  • 안진우 (창원대학교 생물-미생물학과 대학원) ;
  • 김인택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 조운행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
  • 이혜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 물환경연구소) ;
  • 황동진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 물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1.09.16
  • Accepted : 2011.12.11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The plant community of water`s edge was investigated using the methodology of the Z-M school of phytosociology, from March to October, 2008, 2011.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 ; hygrophyte hydrophye of 2008 year of this area consist of 38 taxa : 1 varieties, 37 species, 31 genera, 21 families and 14 orders, hygrophyte hydrophye of 2011 year of this area consist of hygrophyte 15 species, 13 species were reduced by approximately 13.33%. And emerged hydrophyres did not show a change. 9 species, 4 species of Floating-Leaved hydrophyres 55.56%, Submerged hydrophyres of the 4 species, 1 species, 75%, Free-Floating hydrophyres remarkable I the 3 species was reduced to 33.33%, respectively. Plants Community of the water's edge was classified into 16 communities as follows; (Leersia japonica community, 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Hydrocharis dubia community, Zizania latifolia community,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Salix glandulosa community, Trapa japonica community, Humulus japonicus community, Nelumbo nucifera community, 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Salix koreensis community, 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Persicaria thunbergii). Higher in 2011 than in 2008, the ratio was reduced to Leersia japonica community. Between July-August by a sudden change in the rate of water storage changes in vegetation are thought to have appeared.

장척호의 수변식물군락의 식생조사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2008년, 2011년의 3월~10월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는 습생 및 수생식물은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를 기록하였고 2011년는 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가 나타났으며, 2011년도 장척호의 습생식물(HG) 13종, 정수식물(EM)은 7종 부엽식물(FL)이 각각 4종, 부유식물(FF)이 2종, 침수식물(SM) 1종으로 나타났다. 2008년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와 비교하면 습생식물(HG)이 15종에서 13종으로 약 13.33%가 감소되었고 정수식물(EM)은 변화가 없었으며 부엽식물(FL)은 9종에서 4종으로 55.56%, 침수식물(SM)은 4종에서 1종으로 75%, 부유식물(FF)은 3종에서 33.33%로 각각 감소되었다. 2011 식생조사에서 나타난 식물군락은 총 16개 군락이며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개구리밥군락(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물억새군락(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자라풀군락(Hydrocharis dubia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털물참새피군락(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나도겨풀-자라풀군락(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왕버들군락(Salix glandulosa community),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community),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 이삭사초군락(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버드나무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마름-개구리밥군락(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2011년에는 마름군락이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7~8월 사이의 급격한 저수율변화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봉, 2008, 습지와 환경자원, 월인, 61-78p
  2. 김인택, 2002, 경남지역 습지생태계 기본현황조사, 경남지역 환경기술개발센터, 4-82p.
  3. 김인택․손정원, 2001, 생태환경조사(1차): 남강 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252p.
  4. 김재근 외,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당, 153-156p, 213-215p
  5. 김준호, 2004, 한국생태학100년, 서울대학교출판부, 136-139p
  6. 낙동강유역환경청, 2003, 호소의 생물상 조사보고서, 85-89p.
  7. 낙동강유역환경청, 2008, 낙동강수계 호소 환경 및 생태 조사, 25-88p
  8. 박수현, 2003,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178p
  9. 이우철, 1996, 대한식물명고(I,II), 아카데미서적, 2383p.
  10.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p.
  1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p, 340p, 660p.
  12.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상 914p, 하 910p.
  13. 이호준 외, '현대생태학'. 효일문화사, 1995, 177p
  14. 한국의 하천식생, 계명대학교출판부, 2005, 91-107p, 227-249p.
  15. 환경부, 2001, 호소조사지침서, 5-50p.
  16. 환경부 자연자원과, 2005, 멸종위기야생동식물화보집, 125p
  17. Braun-Blanquent J., 1964. Pflanzensoziologie, Springer-Verlag 3rd eds., Vienna. New York. 865p
  18. Muller-Dombois and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Wilet, New York. 54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