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Z. japonica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3초

골프장의 신 해충,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견 (A Newly Recorded Turfgrass Pe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Korean Golf Courses)

  • 추호렬;이동운;김형환;박지웅;성영탁;정영기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2
    • /
    • 1998
  • 우리나라 골프장의 잔디 가해 해충과 천적을 조사하던 중 농림작물의 중요해충인 고구마뿌리혹선충을 Zoysia잔디에서 발견하였다. 고구마뿌리혹선충에 감염된 잔디는 새 뿌리가 발육하지 못하고 뭉툭하게 되어 황화현상과 함께 전반적으로 생육이 부진하였다. 감염된 잔디의 종은 들잔디(Zoyais japonica)와 금잔디(Zoysia matrella), 버뮤다글라스(Cynodon sp.)였다. 그리고 Z. japonica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의 새로운 기주로 기록된다. 조사 골프장의 대부분이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피해를 받고 있었다. 잔디에서 뿌리혹선충이 기록되기는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이다.

  • PDF

추석 전 잔디 깍기(벌초) 시기 및 높이에 따른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 (Effects of Mowing (Beolcho) Timing and Height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Zoysia japonica and Z. matrella before Chuseok)

  • 장석원;구준학;성창현;이정호;박소준;지재욱;윤정호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7권2호
    • /
    • pp.140-147
    • /
    • 2018
  • 우리나라에서 벌초는 추석 성묘와 시향에 앞서 이루어지는 매우 중요한 행사이다. 벌초는 보통 추석 1-2주 전에 집중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안전사고의 발생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잘못된 벌초 방법은 흙이 드러나 토양 유실을 유발하거나 묘지 잔디의 밀도 저하와 잡초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라서 벌초시기의 분산과 올바른 벌초 방법은 매우 중요한 문제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벌초 시기는 추석 1주전, 2주전, 3주전, 4주전 잔디 깍기 처리를 두었고, 벌초 방법에서는 잔디 깍는 높이를 달리하여 들잔디와 금잔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들잔디에서 추석과 시향 시기를 기준으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금잔디에서 잔디 깍기 시기는 빠를수록 초장이 길었으나, 피복률과 밀도는 각각 차이가 없거나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들잔디에 비해서 금잔디의 초장은 잔디 깍기 시기에 관계없이 짧게 유지되었으며 피복률과 밀도도 높게 유지되었다. 벌초는 들잔디와 금잔디 모두 짧게 할 수록 초장이 짧아졌고, 피복률과 밀도도 낮아졌다. 또한 벌초 시 들잔디와 금잔디는 각각 지상부의 40-50 mm or 30-40 mm 남겨둘수록 묘지 잔디의 밀도유지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둥무늬차색풍뎅이(Adoretus tenuimaculatus)의 산란지 선호성과 골프장에서의 분포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Chestnut Brown Chafer, Adoretus tenuimaculatus (Coleoptera: Scarabaeidae) in Golf Courses)

  • 이동운;추호렬;이태우;박지웅;권태웅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3-124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know the oviposition preference site of chestnut brown chafer ( CBC ), Adoretus tenuimaculatus and its temporal activity and spatial distribution in green. Larval distribution was also investigated in golf courses for the control of CBC. CBC collected from Yongwon Golf Club in Chinhae, Tongdo Golf Club in Yangsan, Gyeongsan Province, Daegu Golf Club in Gyeongsan, Kyeongbuk Province, Dongrae Golf Club laid more eggs on broableaf of Zoysia matrella than Z. japonica, broadleaf+middleleaf of Z. matrella, Poa pratensis, and P. annua. The number of CBC egg was $19.7\pm$6.7 in Z. japonica,$ 1.7\pm$1.5 in P. pratensis, $1.3\pm$1.5 in sandy loam and $5.7\pm$2.9 in sand. Acitivity time of CBC in a day was the peak at 20:00 and continued to 24:00. CBCs adults were more collected from outside of golf courses whichhad many host plants than roadside courses. Density of white grub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fairway only. CBCs were more collected at tee and fairway than green. Density of white grubs was $54.6\pm$100 in broadleaf of Z. matellia and $37.7\pm$33.8 in P. pratensis at the back tee of the 7th hole in Dongrae Golf Club.

  • PDF

청평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Fish Fauna and Community in Cheongpyeong Reservoir)

  • 최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63-72
    • /
    • 2005
  •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청평호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류는 총10과 43종 4,591개체이었다. 한국 고유종은 18종 (41.86%) 이었다. 우점종은 가시납지리 (A. gracilis)로 17.43%고, 피라미 (Z. platypus) 14.59% , 줄납자루 (A. yamatsutae) 13.16%, 누치 (H. labeo) 11.85%, 밀어 (R. brunneus) 11.68%, 갈겨니 (Z. temmicki) 3.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채집된 어종들의 생체량을 살펴보면 총 71,979.8 g이 채집되었고 강준치 (E. erythropterus) 15,071.9 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누치 (H. labeo) 13,205.3 g, 떡붕어 (C. cuvierj) 6,469.7 g, 가시납지리 (A. gracilis) 6,051.2 g, 피라미 (Z, platypus) 4,705.8 g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평호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뱀장어 (A. japonica), 꾹저구 (C. urotaenius), 민물검정망둑 (T. brevispinis), 떡붕어 (C. cuvieri),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 등 6종이었다. 이 중 떡붕어 (C. cuvieri,), 파랑볼우럭 (L. macrochirus), 큰입우럭 (M. salmoides)은 국외종이며 뱀장어 (A. japonica), 꾹저구 (C. urotaenius), 민물검정망둑 (T. brevispinis)는 국내 다른 수계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거머리말속 (Zostera Linne, 잘피) 식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 이상용;허승;최청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75-276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해산현화식물인 거머리말속 (Zostera, 잘피)의 거머리말 (Zostsra marina), 애기거머리말 (Z. japonica), 수거머리말(Z. caulescens)과 포기거머리말 (Z. caespitosa)들은 연안의 사질과 사니질에 생육하며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식물의 군집들은 조간대와 조하대에 침수 또는 노출되어 생육하면서 영양염과 중금속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식물체는 유기쇄설물을 먹이연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중금속을 고등 영양단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중략)

  • PDF

내염성 식물 칠면초 (Suaeda japonica )가 갖는 자색 색소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Purple Pigment Compound in Halophytic Plant, Suaeda japonica)

  • 정상호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1-362
    • /
    • 2013
  • As one of the steps toward understanding how the plant is well adapted to strongly saline habitats, the purple pigment compound that is accumulated in Suaeda japonica was extracted and characterized.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exhibit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betacyanin that were represented by water solubility, pH- and temperature-dependent color changes, sensitivity to light, UV-Vis spectra, and gel electrophoretic migration pattern. LC-MS of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showed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at m/z 651.1 and m/z 827.1. According to the DPPH assay, it was found to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action time for up to 30 min, and the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trol BHA at 9.0 mg/ml. The cytotoxic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 lines was also examined following the MTT assay. The significant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on two tumor cell lines,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and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Probably, the pigment compound may function as an osmolyte to uphold halotolera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saline environment.

  • PDF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Hongcheon river, Korea)

  • 최재석;김재구
    • 환경생물
    • /
    • 제22권3호
    • /
    • pp.446-455
    • /
    • 2004
  • 2002년 4월부터 10월까지 홍천강의 어류상 및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된 어종은 모두 11과 52종이었다. 한국고유종은 Rhodeus uyekii, Acheilognathus signifer, A. yamatsutae, Coreoleuciscus splendidu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등 23종(44.23%)이었다. 우점종은 Zacco platypus (20.38%), 아우점종은 Z. temmincki (19.62%)였고, 우세종은 Rhynchocypris oxycephalus (8.45%), Pungtungia herzi (8.01%), C. splendidus (6.63%)등 이었다. 홍천강에서 확인된 도입종은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Micropterus salmoides, Anguilla japonica,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giurinus 등 6종이었다. 이 중 C. cuvieri, L. macrochirus, M. salmoides는 국외종이며 A. japonica, G. urotaenia, R. griurinus는 국내 다른 하천으로부터 도입된 종이다. 어류의 분포에 따라, 홍천강의 어류군집은 주성분 분석(PCA)에 의해 4개의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Features and Functions of Purple Pigment Compound in Halophytic Plant Suaeda japonica : Antioxidant/Anticancer Activities and Osmolyte Function in Halotolerance

  • Chung, Sang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42-354
    • /
    • 2018
  • Suaeda japonica is a halophytic plant that lives in mudflat at intertidal zone of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areas of Korea. The seawater-living plants showed a purple color during their whole life. In contrast, freshwater-living plants displayed a green color in leaves. When seawater-living plants were transferred to potting soil, the purple color was gradually changed to green in the leaves. The extracted purple pigment compound exhibit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betacyanin that were represented by water solubility, pH- and temperature-dependent color changes, sensitivity to light, UV-Vis spectra, and gel electrophoretic migration pattern. The LC-MS analysis of the extracted pigment compound showed the presence of two major protonated molecular ions ($[M+H]^+$) at m/z 651.1 and m/z 827.1. Antioxidant activity of the pigment compound was determined using stable free radical DPPH assay. It was found to have an antioxidant activity that is linearly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reaction time for up to 30 min, and the activity was comparable to that of control BHA at 9.0 mg/ml. The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everal tumor cell lines was also examined following the MTT assay. The significant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observed on two tumor cell lines,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and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Probably, the pigment compound may function as an osmolyte to uphold halotolerant physiological processes in saline environment.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레인가든에서 식물과 토양의 영양물질과 중금속 농도변화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of Plants and Soils in Rain Garden Systems use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 김창수;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27-35
    • /
    • 2012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rain garden systems as environmentally friendly ecological infrastructures for controlling stormwater runoff and manag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information for the contamination of soil and plants can be essential for sustainable rain garden management. In this study, four rain garden mesocosms, namely single species planting with Rhododendron lateritium, single species planting with Zoysia japonica, mixed planting with R. lateritium and Z. japonica, and control without plant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N and P) and heavy metals (Cd, Cu, Pb, and Ni) in the soil and plants used in the rain garden system. The presence of plants resulted in greater nutrient retention in soil and lower potential leaching from the system. All systems showed an increase i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The concentrations of most heavy metal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herbaceous plants (Z. japonica) than in the shrubs (R. lateritium). The belowground part (root) had higher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the aboveground part (leaf) but also showed a potential increase in leaves, and hence, careful plant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rain garden operation.

낙동강하구의 잘피(seagrass)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the Seagras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박정임;박희순;배종일;김구연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07-217
    • /
    • 2023
  • 본 연구는 2023년 5~6월 낙동강하구에 생육하는 잘피 분포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잘피 서식 면적을 조사하기 위해 낙동강하구를 7개 구역으로 구분하여 드론을 이용한 항공촬영을 실시하여 잘피 서식을 확인한 후 조간대에서는 도보로, 조하대에서는 선박 및 잠수조사로 GPS 트랙킹을 실시하였다. 잘피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구역에 대표적으로 출현하는 잘피의 종별 형태적 특성, 생육밀도와 생체량을 측정하였다.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이 출현하였고, 각 종의 분포 면적은 각각 338.2 ha, 92.9 ha, 0.9 ha와 1.4 ha로 총 잘피 서식지 면적은 432.5 ha로 조사되었다. 애기거머리말은 낙동강하구 대부분의 사주와 갯벌에 넓게 분포하였고, 거머리말은 눌차도, 진우도와 다대동에 서식하였다. 줄말은 을숙도와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 내에 출현하였고, 게바다말은 다대동의 암반에 생육하였다. 애기거머리말, 거머리말, 줄말과 게바다말의 생육 밀도는 각각 4,575.8±338.3 shoots m-2, 244.8±12.0 shoots m-2, 11,302.1±290.0 shoots m-2와, 2,862.5±153.5 shoots m-2였다. 생체량은 각각 239.7±18.5 gDW m-2, 362.3±20.5 gDW m-2, 33.3±1.2 gDW m-2와, 1,290.0±37.0 gDW m-2였다. 본 연구 결과 낙동강하구에는 애기거머리말이 우점하였고, 특히, 을숙도, 대마등과 명지갯벌의 애기거머리말 서식지는 국내 최대 규모로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낙동강하구는 생태적, 환경적, 경제적 가치가 높은 중요한 곳으로, 이곳에 생육하는 잘피의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