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n Seon-do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3초

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해악전도첩(海嶽全圖帖)》 (Kim Eung-hwan's Official Excursion for Drawing Scenic Spots in 1788 and his Album of Complete Views of Seas and Mountains)

  • 오다연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54-88
    • /
    • 2019
  • 《해악전도첩(海嶽全圖帖)》은 금강산과 해금강, 관동팔경을 그린 60점의 실경산수화와 51편의 기문(記文)으로 이루어진 화첩으로 규모와 화풍에 있어 보기 드문 작품이다. 그림의 특징은 화면을 가득 채운 구성과 남종화풍을 따르면서도 거칠고 파격적인 화법, 산석(山石)의 기하학적이고 입체적인 표현 등이다. 1973년의 특별전, '한국미술이천년(韓國美術二千年)'을 처음으로 화첩의 일부만 공개되었던 작품은 2019년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우리 강산을 그리다: 화가의 시선, 조선시대 실경산수화'에서 그 전모가 공개되었다. 《해악전도첩》이 김응환(金應煥)(1742~1789)의 작품으로 알려진 것은 화첩의 마지막 장에 쓰여진 관지(款識)와 현재 행방이 묘연한 <칠보대>에 찍힌 '복헌'이라는 도장 때문이었다. 그러나 김응환을 지시하는 관지와 도장은 모두 후대에 더해졌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화첩을 둘러싼 여러 요소를 고찰하여 제작자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악전도첩》 제작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먼저 18세기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과 봉명사경을 살펴보았다. 정선(鄭敾)(1676~1759)의 《신묘년풍악도첩(辛卯年楓嶽圖)帖》(1711)을 비롯하여 심사정(沈師正)(1707~1769), 김윤겸(金允謙)(1711~1775), 최북(崔北)(1712~1786 이후), 강세황(姜世晃)(1713~1791) 등은 조선 후기 최고의 여행지였던 금강산을 유람하고 기행사경도를 제작하였다. 화가들은 이전의 전통을 계승하여 내금강의 명승명소를 주로 그렸고, 자신들이 경험한 장소를 새롭게 시각화하였다. 이러한 기행사경도는 여행을 기념하며 동행자나 후원자를 위해 여러 장면을 담을 수 있는 화첩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개별적인 금강산 기행사 경도의 제작이 증가하는 가운데 1788년에 정조(正祖)(재위 1776~1800)가 도화서 화원인 김응환과 김홍도(金弘道)(1745~1806 이후)에게 영동9군과 금강산의 명승(名勝)을 그려오도록 명한 일은 공적 업무였다. 정조는 이들의 관계 및 지방관으로서의 경력, 서로 다른 화풍 등을 고려해 봉명사경의 화원으로 선발하였다. 김응환과 김홍도는 영조(英祖)(재위 1724~1776)조부터 도화서 화원으로 활동하며 선후배이자 동료로서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다. 나아가 이들은 영남 지역의 찰방(察訪)으로서 지방관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었다. 두 화원의 화풍은 서로 달라 김홍도는 부드럽고도 섬세하게 필선을 운용한 반면, 김응환은 굳세면서도 울창한 풍치를 잘 표현했다. 두 명의 화원은 각자의 개성으로 봉명사경 기간 동안 100여 폭의 초본을 그렸고, 이를 선별하여 60~70여 폭의 화첩 혹은 두루마리를 완성하였다. 이들의 그림은 18세기 전중반에 내금강과 관동팔경 위주로 제작된 금강산 기행사경도의 전통을 더욱 풍부하게 했고 영동과 외금강의 명승명소를 새롭게 발견하며 소재를 확장시켰다. 현재 《해악전도첩》은 원(元), 형(亨), 이(利), 정(貞) 4책으로 이루어졌는데, 원(元), 형(亨)책은 내금강의 그림 29점이며 이(利)책은 외금강의 장면 17점, 정(貞)책은 해금강과 관동팔경 14점으로 구성되었다. 비단 위에 그려진 각 그림은 기하학적으로 산석을 표현했으며, 연백으로 금강산의 암봉을 흰색 혹은 회청색으로 표현했다. 《해악전도첩》의 구도와 화법은 정선, 강세황, 심사정, 정충엽(鄭忠燁)(1725~1800 이후), 김응환, 김홍도의 화법과 비교할 수 있어 18세기 후반의 시대 양식을 갖는다. 특히 화첩의 일부 그림은 김홍도의 《해동명산도첩(海東名山圖帖)》(1788)과 구성 및 회화적 모티프가 매우 유사하여 두 화첩간의 연관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영랑호>, <해산정>, <월송정> 등은 김홍도의 그림과는 구별된다. 이를 통해 화가가 김홍도와 영향을 주고받으면서도 자신만의 개성적인 화첩을 제작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해악전도첩》에는 다른 화첩에는 등장하지 않는 <자운담>, <백운대>, <안문점망비로봉>, <백정봉>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 장면마다 경물의 특징을 구체적이고 참신하게 묘사하였다. 특히, 화가는 산석을 기하학적으로 표현하고 선과 면을 도드라지게 하여 입체감을 강조하였다. 그는 남종화풍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화법을 확립했고 이를 자유자재로 운용하면서 화면에 동적인 리듬감을 부여했다. 이처럼 60점의 그림은 거칠고 파격적으로 보이지만 나름의 질서 안에서 일관성을 견지하고 있다. 본고는 화법과 봉명사경의 정황을 종합해 《해악전도첩》의 제작자를 김응환으로 추론하였다. 나아가 김하종(金夏鍾)(1793~1878 이후)의 《풍악권(楓嶽卷)》(1865년 이후)과의 친연성은 《해악전도첩》의 화가를 김응환으로 추정한 또 하나의 이유였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해산첩》과는 달리 후대에 미친 영향력이 미비한데 김하종의 《풍악권》만이 《해악전도첩》의 소재와 화법을 따르고 있다. 김하종은 《풍악권》에서 50년 전, 춘천부사 이광문(李光文)(1778~1838)을 위해 제작한 《해산도첩》(1816)과는 전혀 다른 화법을 구사했다. 그는 김응환의 《해악전도첩》과 유사한 구성과 회화적 요소, 화보식 인물표현을 따르면서 사의적인 분위기를 강조하였다. 개성김씨의 일원이자 김응환의 종손인 김하종은 가문에 전해지는 《해악전도첩》류의 그림을 감상했고 이를 새롭게 번안했다고 추측된다. 화첩에 포함된 51편의 기문은 그림 다음 장에서 그려진 장소를 설명하고 있어 각 그림을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도움을 준다. 기문은 그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앞의 장소로부터의 이동 정보, 이름의 유래, 지형적 특징, 관련 정보 등이 서술되었다. 이와 같은 백과사전식 혹은 지리지와 같은 기문은 19세기 전반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금강산 화첩류에 더해졌다. 《해악전도첩》의 백화암 기문에는 1845년의 암자에 대한 중건 내용이 기록되어, 기문의 연대를 추정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김하종에게 《풍악권》을 주문한 이유원(李裕元)(1814~1888)도 각 그림에 글을 붙였는데 이 글들은 김응환의 화첩에 포함된 기문 51편과 내용 및 서술방식이 흡사하다. 이유원의 기문은 《해악전도첩》의 기문이나 그 초고(원본)와 관련성이 높지만 두 화첩의 기문 필사의 선후관계를 판정하는 데에는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해악전도첩》은 김홍도의 봉명사경 초본 및 김홍도의 영향으로 제작된 19세기의 금강산 화첩과는 구별된다. 이 화첩은 화원 김응환의 회화세계를 이해할 수 있는 지평을 넓히고 18세기 후반 실경산수화의 또 다른 층위를 보여주고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고정밀 고속 하이브리드 온 칩 온도센서 (A High Accuracy and Fast Hybrid On-Chip Temperature Sensor)

  • 김태우;윤진국;우기찬;황선광;양병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747-1754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고정밀 하이브리드 온 칩 온도센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온도센서에서는 SAR 타입 온도센서와 ${\Sigma}{\Delta}$타입 온도센서를 혼합하였다. SAR 타입 온도센서는 ${\Sigma}{\Delta}$타입 온도센서 보다 온도를 찾아가는 속도가 빠르지만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고, ${\Sigma}{\Delta}$ 타입 온도센서는 SAR 타입 온도센서 보다 정확하지만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다. 제안된 온도 센서는 두개의 온도 측정방법을 혼합하여 고정밀 고속 온도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칩 제작 후 온도 오차 값을 메모리회로에 저장하여 온도 오차를 보상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온도센서를 구현하였다. 제안된 온도센서는 $0.35{\mu}m$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온도 정확도, 소비 전력, 칩 면적은 각각 $0.15^{\circ}C$, $540{\mu}W$, $1.2mm^2$였다.

기후(氣候) 및 간지(干支)와 중풍(中風) 發病日(발병일)에 관(關)한 상관성(相關性) 연구(硏究)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troke Incidence by Climate of Day and Stems and Branches)

  • 최효재;황민영;백윤선;주대환;한창호;신길조;이원철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7-326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idence by the climate of the day and the Stems and Branches(干支) of stroke patients. Methods : From January in 2000 to March in 2008, we studied 370 stroke patients hospitalized at Dongguk University Bundang Hospital. Each participant was investigated for the day's average temperature, the day's average air humidity, the day's average wind speed, and the day's Stems and Branches (干支) in oriental medical theory. Results: Concerning the day's average temperature, the group at a temperature under 18 $^{\circ}C$ had the highest risk. For the day's average air humidity, the group at over 60 % humidity showed a higher ratio of stroke. In respect of the day's average wind speed, the group at speeds under 2.26 $^m/s^2$ (the last 5 years average wind speed in Gyeonggi-do) had a higher risk. In the aspect of Stems and Branches (干支), stroke occurred more in Yin day(陰日) than in Yang day(陽日). In the view of the Five Circuits (五運), the Wood (木) was most common followed by Fire(火). Using the relation between Stems and Branches (干支), the mutuality cooperate pattern was more common than the mutuality control group and same characteristic group. Using the Theory of Five Circuits (五運) and Six Qi (六氣), the Fire group (火) showed the highest risk. The Wood group (木) came next. Conclusions : We could suggest that stroke attack might hav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limate, stems, and branches in oriental medical theory.

  • PDF

경북 청송군 주왕산지역의 대전사 현무암의 암석학적 특성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ejeonsa Basalt in the Mt. Juwang area, Cheongsong-gun, Gyeongsang but-do, Korea)

  • 고정선;안지영;윤성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53-56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청송 주왕산지역 대전사 현무암의 산출 상태 및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암석기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야외 조사 결과, 주왕산 화산암체의 최하부층에 해당하는 대전사 현무암층은 전체적으로 12매의 용암과 9매의 페페라이트가 교호하며, 각 용암과 페페라이트의 암층의 두께는 다양하다. 본 층에서 나타나는 페페라이트는 현무암과 세일이 혼합되어 있으며, 현무암은 쇄설의 형태로 나타나고 세일은 현무암의 기질을 메우는 간극상을 이룬다. 이는 용암이 분출하여 고화되지 않은 젖은 세일층 위를 흐르거나, 관입으로 인해서 용암과 퇴적물 사이의 접촉부에서 생성된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페페라이트는 조직상으로 구상 페페라이트로 분류할 수 있다. 현무암류는 육안으로 반정이 관찰되지 않으며 기공이 없는 치밀한 현무암이지만, 한 단위의 용암층 내에서 상부에는 다공질의 현무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경하에서의 현무암류는 주된 반정 광물로 가상의 감람석을 가지며, Mg#이 높은 암석에서는 사장석과 단사휘석의 반정도 보인다. 석기는 주로 서브오피틱 조직을 보이지만, 국지적인 냉각률의 차이로 인한 오피틱 조직과 인터그래뉼라 조직도 관찰된다. 사장석은 대부분 라브라도라이트(An$_{55.0}{\sim}_{67.7}$)이며, 일부 안데신(An$_{44.3}$)과 바이토우나이트(An$_{74.5}$)로 분류된다. 단사휘석의 평균 조성은 Wo$_{41.6}$En$_{45.1}$Fs$_{13.3}$으로써 보통휘석에 해당한다. 불투명 광물은 티탄자철석과 티탄철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Needs Assessment of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 Kim, Kyungwon;Yun Ahn;Hyunjoo Kang;Kim, Kyung-A;Eunmi Shin;Kim, Hee-Seon;Song, Ok-Young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3권2호
    • /
    • pp.110-119
    • /
    • 2001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needs for nutrition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older adults. Two cross-sectional surreys were conducted. The first survey, conducted by personal interviews, was part of the large-scale elderly nutrition study. Subjects were adults aged 50 and over, recruited from 6 large cities and 8 middle-sized cities(n = 1,850). The second survey, done by mail survey using open-ended questions, was conducted with dietitian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or hospitals(n = 53). Adults aged 50 and over were interested in topics such as healthly eating(32.1%), hypertension/stroke and diet(22.1%), osteoporosis and diet(11.4%), and diabetes and diet(9.2%). Television and radio(58.2%), health professionals(12.2%) and friends(7.9%) were common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Preferred topics of nutrition education and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were different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ggesting that nutrition education or educational materials be plann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bout 70% of subjects indicated that they sometimes use or do not use nutrition information in daily lives, suggesting the need to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Among 53 facilities responding to the second survey, 73.6% provided nutrition education for older adults. Common topics for nutrition education included diabetes(39.3%), hypertension and stroke(19.1%) and general nutritional management(11.2%). These were consistent to the topics preferred by older adults. As materials In elderly education, dietitians wanted primarily to use leaflets and slides. Boards, booklets and posters were other commonly cited materials. For contents of elderly educational materials, dietitians mentioned the nutritional management for age-related diseases(33.8%), general nutritional management for older adults(25.4%) and practically applicable information(19.7%). They also suggested that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for the elderly should use larger print and attractive pictures, and be easily understood, as well as presenting simple, specific and practical information. These results provide baseline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older adults.

  • PDF

Employment Status and Work-Related Difficulties among Family Members of Terminally Ill Patient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 Kim, Seon Young;Chang, Yoon-Jung;Do, Young Rok;Kim, Sam Yong;Park, Sang Yoon;Jeong, Hyun Sik;Kang, Jung Hun;Kim, Si-Yung;Ro, Jung Sil;Lee, Jung Lim;Lee, Woo Jin;Park, Sook Ryun;Yun, Young 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373-379
    • /
    • 2013
  • Background: Although caregiving to patients with terminal illness is known to be a stressful burden to family members, litt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work-related problems. We aimed to investigate employment status and work-related difficulties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comparing with the general population. Method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e assessed family caregivers of 481 cancer patients determined by physicians to be terminally ill, from 11 university hospitals and the National Cancer Center in Korea. Results: Among 381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response rate, 87.6%), 169 (43.9%) were not working before cancer diagnosis, but currently 233 (63.7%) were not working.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36.5%), the percentage of not working among the family caregivers was higher (OR=2.39; 95%CI=1.73-3.29). A major reason for not working was to provide assistance to the patients (71.6%). 40.6% of those who continued working and 32.3% of those who not working family members reported extreme fatigue. Caregivers of old age, those who were female, those with a lower household income, and those caring for patients with a low performance status were not working at a more significant rate. Conclusion: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suffer job loss and severe work-related difficulties, probably due to caregiving itself and to fatigue. We need to develop supportive programs to overcome the burden of caregivers of the terminally ill.

Burdens, Needs and Satisfaction of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 Chang, Yoon-Jung;Kwon, Yong Chol;Lee, Woo Jin;Do, Young Rok;Lee, Keun Seok;Kim, Heung Tae;Park, Sook Ryun;Hong, Young Seon;Chung, Ik-Joo;Yun, Young H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호
    • /
    • pp.209-215
    • /
    • 2013
  • Objectives: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often experience traumatic stress and need many types of assistance. In the present study we interviewed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and caregivers to determine how much burden they experienced and to find out what factors are most important for satisfaction. Design: We construc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overall care burden and needs experienced, and administered it to 659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659 important caregivers at 11 university hospitals and 1 national cancer center in Korea. Results: Finally, 481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381 caregiv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are burden was not insubstantial in both and the caregiver group felt more burden than the patient group (P<0.001). While the patient group needed financial support most (39.0%), the caregiver group placed greatest emphasis on discussion about further treatment plans (44.8%).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in the patient group, patient's health status (OR, 2.03; 95%CI, 1.16-3.56) and burden (OR, 2.82; 95%CI, 1.76-4.50) influenced satisfaction about overall care, while in the caregiver group, high education level (OR, 1.84; 95%CI, 1.76-4.50), burden (OR, 2.94; 95%CI, 1.75-4.93) and good family function (OR, 1.94; 95%CI, 1.24-3.04) were important. Conclusions: Our study showed that burden was great in both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nd was perceived to be more severe by caregivers. Our study also showed that burden was the factor most predicting satisfaction about overall care in both groups.

순환골재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특성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eams)

  • 송선화;최기선;유영찬;김긍환;윤현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31-439
    • /
    • 2009
  • 이 연구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활용성 증대 및 규준 정립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 잔골재 치환율에 따른 실규모 철근콘크리트 보의 휨거동 특성을 실험적으로 수행하고자 실험체를 총 7개로 제작하여 최종파괴시까지 변위제어 방식에 의해 4점 가력하였다. 흡수율 3.0%, 절건밀도 2.49 g/cm3의 순환굵은골재를 치환한 실 험체를 천연골재 실험체와 비교한 결과, 초기강성은 동등하였으며 순환굵은골재를 고품질과 저품질로 구분하여 혼합굵 은골재를 치환한 실물모형 보 부재의 휨성능 또한 현행 설계기준에서 규정하는 휨내력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순 환잔골재를 100% 치환한 실험체에서도 천연골재 실험체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냈으며, 모든 실험체의 실험값은 KCI 설 계기준식과 비교한 결과 기준값을 안전측으로 평가하고 있어 순환골재를 사용한 휨부재 설계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 단된다. 따라서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활용성 증대라는 측면에서 순환골재 콘크리트로 제작된 RC 부재는 구조용 휨 부 재로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혈압 자가관리 이행증진프로그램이 본태성 고혈압 환자의 신체생리지수, 지식 및 자가관리 이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physical Index, Knowledge, and Self Management Compliance of Patients with Primary Hypertension by a 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 정복선;강희경;곽미열;김은숙;김현영;박은숙;송계용;신향숙;윤복희;이은경;임정순;피순옥;정은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51-560
    • /
    • 2006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prove the effects of a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for primary hypertension patients who reside in rural communities. Method: The content of the 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study was as follows: A leader trains patients as a group or individually, in walking, education and green tea therapy from the first to twelfth week. From the thirteenth to twenty fourth week, the patients should perform walking and green tea therapy by themselves. One hundred twenty subjec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ho were among those registered as hypertension patients in the 14 community health clinic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Result: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riglyceride, step width, and degree of obesity decreased significantly.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step length, knowledge of hypertension, and self management complianc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A self management compliance promotion program for primary hypertensive patients enhances biophysical index and knowledge on hypertension, thus ultimately suggesting a nursing intervention for promoting self management compliance.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의 초기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Perciformes: Centropomidae))

  • 이완옥;장선일;이종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
    • /
    • 1998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양식과 자원증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친어는 1996년 6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소양호 중류(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물노리)에서 채집하였다. 성숙된 암컷에 HCG나 GnRH - a 호르몬을 복강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고, 건도법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분리되었으며, 약한 침성란이었고, 0.50~0.70mm의 커다란 유구가 난황 중앙에 한개 있었다. 수정 직후 난의 크기는 1.70~2.10mm였으나, 배반이 형성될때는 물을 흡수하여 2.20~2.66mm로 커졌다.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1시간 30분 후에는 난할이 시작되었다. 이 후 난내 발생은 수온 $21{\sim}24^{\circ}C$에서 약 50분 간격으로 계속 진행되었다. 수정 131시간 30분 후에는 부화되었는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5.86~6.85mm였고, 난황의 표면과 꼬리 부분의 복부에는 많은 흑색소포가 발달되었다. 부화 3일 후에는 전장 6.98~7.60mm로 자랐고, 단황은 대부분 흡수되었으며, 이빨이 발달되었다. 부화 15일 후에는 전장 10.10~12.90mm였으며, 머리에 가시와 이빨이 매우 발달되었고,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에 도달하는 후기자어기(postlarvae stage)가 되었다. 부화 25일 후에는 전장15.30~23.80mm로 성장하였고, 체형과 반문이 성체와 유사해졌다. 부화 5개월 이후에는 전장 154.00~175.02mm, 체중 49.32~82.67g까지 성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