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ukwa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3초

녹차가루 및 신선초가루 첨가가 유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and Angelica Keiske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 김향숙;김순남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6-254
    • /
    • 2001
  • Effects of added green tea powder and Angelica keiskei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we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functioanality and variety of Yukwa, and usage of green tea Powder and Angelica keiskei. Dietary fiber contents of green tea powder were 5.2% soluble dietary fiber, 22% insoluble dietary fiber, while Angelica keiskei contained 28.9% soluble dietary fiber, 29.6% insoluble dietary fiber. Expansion rate of yukwa was 3,675% for control and the rates were slightly decreased as the addition level increased. Although Yukwas added 6% green tea and angelica keiskei powder were harder than the others when determined by rheometer,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hardness and mouthfeel were soft without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samples. And internal structure of 4 and 6% green tea powder and those added angelica keiskei at three levels were evaluated by sensory panel as moderately compact. Overall acceptability of yukwa added 2% green tea Powder was the best of all while yukwas added angelica keiskei at three levels were evaluated as good. The results of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showed that green tea powder had stronger antioxidative property than angelica keiskei. In conclusion addition of green tea powder by 2% level and angelica keiskei powder up to 4% would give us beneficial effects in the aspects of functionality and storage life of yukwa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t.

  • PDF

유과의 미주 현지인 기호도 조사 (Preference Test of Yukwa in the particular regions of America)

  • 김상희;김윤호;박형우;차환수;이선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2-16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식품중의 하나인 유과를 미국 현지인들에게 수출하고자 포장, 디자인 등을 개선하여 미국인 262명에게 2002년 8-9월 중 기호도 조사를 실시한 것으로써 조사대상자의 성별분포는 남자 45.8%, 여자 54.2%, 연령분포는 10대 41.6%, 20대 58.4%, 인종분포는 백인이 84.0%, 흑인은 8.8%, 히스페닉인은 7.1%이었다. 유과의 포장상태는 전체 응답자중 82.7%는 만족하였으며 포장디자인은 22.0%가 매우 만족하고 54.4%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쇄는 69.7% 이상이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감은 48.5%로 만족정도가 다른 항목에 비해 낮았지만 맛과 함께 평가된 향미의 항목에서는 만족도가 60.9%로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유과에 대한 전반전인 기호도는 92.7%로 응답자 대부분의 기호에 적합하다고 답하였다.

Extrusion 제조조건에 따른 유과바탕의 물리적 품질특성(I): 찹쌀가루와 쌀가루 배합에 따른 유과바탕의 제조 (Physical Properties of Yukwa Base According to the Extrusion Processing Conditions (I): Manufacturing of Yukwa Base with Combination of Glutinous Rice Flour and Rice Flour)

  • 은종방;;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60-1766
    • /
    • 2009
  • 찹쌀가루, 쌀가루, 탈지콩가루 및 소금을 첨가하여 수분함량 16-18%, screw 속도 300 및 400 rpm, feed rate 43.4kg/hr 조건에서 extruder로 제조한 유과바탕의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길이, 직경 및 비용적은 extruder에서 공급되는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유과바탕의 색도 중 L값은 수분함량이 많을수록 높은 반면, a값 및 b값은 낮게 나타났다. 유과바탕의 수분흡착지수는 수분 함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유과바탕의 x-ray 회절도는 수분함량 16% 및 17%에서는 B도형을 나타냈으며, 수분함량 18%에서는 A도형을 나타냈다. 상대적 결정화도와 breaking strength는 수분함량 16%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17%, 18%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PA에서 hardness는 수분함량 16% 및 17%, screw 속도 400 rpm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과바탕의 단면을 40배로 확대하여 관찰한 유과바탕은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크기가 컸고 세포벽은 두꺼웠다. 유과바탕의 관능검사 결과 수분함량에 따른 색과 향미에 대한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맛, 외관, 입안에서의 느낌 및 전체적인 선호도는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기호도는 높게 나타났다.

소주 첨가비율에 따른 유과바탕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Bases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Soju in Storage)

  • 김지연;심기훈;최옥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988-99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팽화에 영향을 미치는 소주를 유과 제조시 총 액체량의 0~100% 첨가비율로 첨가하여 유과바탕을 제조한 뒤 $30{\pm}1^{\circ}C$, 상대습도 65% incubator에서 50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유과바탕의 일반성분 결과는 수분, 조단백 및 조회분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조지방은 소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시료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과바탕의 저장 중 색도에서 L 및 a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b값의 경우 소주 무첨가구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소주 첨가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과바탕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압착력과 전단력은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시료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주 무첨가구는 저장기간 동안 압착력 및 전단력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소주 50%와 75% 비율로 첨가한 유과바탕은 압착력과 전단력이 가장 낮았고, 저장기간에도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가는 저장기간 동안 모든 시료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40일 이후에 소주 무첨가구, 25% 및 100% 비율 첨가구는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소주 100% 비율 첨가구가 저장기간 동안 가장 큰 폭으로 산가가 증가하였다. 과산화물가도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소주 무첨가구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으며, 소주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과산화물가 변화는 적었다.

유색미를 첨가하여 제조한 유과의 품질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Prepared with Pigmented Rice)

  • 이유석;정해옥;이종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29-533
    • /
    • 2002
  • 유색미 첨가량에 따른 반죽물과 유파의 색도는 유색미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a값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반죽물에 비해 유과의 a값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팽화에 의한 표면적의 증가와 고온에서의 가열에 의한 안토시아닌색소의 파괴에 의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유색미의 첨가량에 따른 물성 변화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부착성은 감소하였으며 이를 제외한 다른 물성의 경우 큰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유색미 첨가는 유과의 물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유과의 품질 특성인 팽화도 역시 대조구는 13.34, 10% 첨가구는 10.75로 유색미 첨가에 의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유색미 첨가 비율에 따른 색도의 선호도는 대조구와 7%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와 7% 첨가구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수용도는 7%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고 3%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유과 반죽의 콩물 농도 및 Incubation time과 포장방법이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ean Water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ime of Yukwa Paste and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Yukwa)

  • 조미나;전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94-300
    • /
    • 2001
  • 저장 방법의 차이에 따른 유과의 과산화물가는 대바구니 포장이 가장 높았으며, 질소 치환 포장, 냉동 저장 순으로 나타났고, 저장 기간 증가에 따라 현저히 증가하였다. 콩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과산화물가도 증가하였으나 incubation 시간 증가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유과의 hardness는 콩물 농도, incubation 시간과 저장 기간의 증가에 따라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저장 방법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eak number는 저장 기간 10주까지는 냉동 저장군이 다른 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12주에는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 기간 증가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저장 3개월 후 관능 검사 결과, 유과의 색은 저장 방법과 콩물의 농도에 따라서 용적 증가율은 콩물 농도와 incubation 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산패취는 저장 방법에 따라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부드러운 정도, 맛, 종합적 기호도는 콩물의 농도에 따라서만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 PDF

홍화종실분말 첨가 유과의 관능적.기계적 특성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Yukwa Added Safflower Seed Powder)

  • 박금순;이계순;신영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88-1094
    • /
    • 2001
  • 유과의 팽화도는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기름흡수율은 반면에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졌다. 유과의 수분함량은 홍화종실 분말 5%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나 흥화종실 분말의 섬유소가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의 기호도 측정에서 외관의 기호도와 맛의 기호도는 홍화종실 분말 1% 첨가군이 가장 좋다고 평가하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평가되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홍화분말 1% 첨가군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이 그 다음 순으로 나타났다. 색도측정 결과 명도 L값은 홍화종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 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였다. 조직감 측정에서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응집성은 1%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관능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 경도와 부서짐성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화학적 검사와 기계적 검사의 상관관계에서는 팽화도가 높을수록 응집성과 탄력성이 높았고. 지방흡수율과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껌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흥화분말 1% 첨가군의 품질특성이 가장 높게 평가되어 유과 제조시 홍화종실 분말의 첨가량은 1%정도가 적당하다고 사료된다.

  • PDF

전통 유과가공공정의 분석(I): 수침 및 꽈리치기 공정 (Analysis of Traditional Process for Yukwa Making, a Korean Puffed Rice Snack (I): Steeping and Punching Processes)

  • 강선희;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7-603
    • /
    • 2002
  • 유과가공공정의 개선 및 새로운 공정개발을 위하여 전통적인 유과가공공정의 올바른 분석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유과제조 공정에서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수침공정과 꽈리치기 공정을 분석하였다. 찹쌀의 수침은 증자만을 고려한다면 $15^{\circ}C$에서 3일 수침으로 충분하였지만 전통유과 특유의 부드러운 조직감은 6일 이상의 수침이 필요하였다. 수침한 찹쌀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찹쌀 과피층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감소하였고 수침한 찹쌀가루의 페이스트점도는 7일 수침한 찹쌀가루가 최대점도를 나타내고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침에 의한 찹쌀 전분의 미세구조를 관찰한 결과 수침공정을 통해 전분표면이 손상되었다. 수침시간의 증가와 함께 유과의 팽화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꽈리치기에서 수침시간이 증가할수록 기공의 크기는 감소하였으며 균일한 기공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반죽에너지 투입량은 감소하였다. 전통유과의 특징인 부드러운 조직감은 수침시간의 조절뿐만 아니라 반죽에너지 투입량의 조절에 의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었다.

멥쌀 혼합비율에 따른 유과의 품질특성 (Yukwa Quality on Mixing of Non-waxy Rice to Waxy Rice)

  • 신동화;최웅;이현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19-621
    • /
    • 1991
  • 유과는 전통적으로 찹쌀로만 만들어 왔으나 일반계인 신선찰벼 품종의 찹쌀에 통일계 삼강벼 품종의 멥쌀을 $0{\sim}30%$ 혼합하여 유과를 만든 결과 혼합비율20% 수준까지 유과의 팽화율, 아삭아삭한 정도 및 굳기에서 찹쌀로만 만든 유과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 유과 제조시 찹쌀에 멥쌀을 20%까지를 혼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멥쌀을 혼합한 처리에서 연속식 꽈리치기 장치를 성공적으로 도입할 수 있었으며, 이때 반죽의 유동특성을 개선키 위하여 수분함량을 찹쌀만을 사용할 때보다 높여서 54% 내외가 적당하였다.

  • PDF

수수겨 분말 및 추출물 첨가가 유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ukwa Added with 'Donganme' Sorghum Bran Powder and Extracts)

  • 고지연;우관식;김정인;송석보;이재생;정미선;정태욱;윤영호;오인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181-1188
    • /
    • 2014
  • 수수의 건강기능성을 산업적 측면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수수 품종 중 항산화활성이 높은 '동안메'에서 활성이 가장 높은 부위인 수수겨가 첨가된 유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평가하여 '동안메' 수수겨 첨가에 의한 기능성 증진 및 산패 억제 효과를 검토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동안메' 수수겨 분말을 주정 100%로 추출한 뒤 동결건조를 통해 농축시킨 추출물과 수수겨 분말 자체를 찹쌀유과반대기에 첨가하였는데, 처리 수준은 수수겨 분말 1%, 5%로, 수수겨 추출물 0.1%, 0.5%, 1% 및 대조(찹쌀 100%)로 하였다. 유과의 단백질, 회분 및 무기성분 함량은 '동안메' 겨 추출물 및 대조구에 비하여 겨 분말의 첨가 시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성분인 유과 중 flavono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동안메' 겨 수수겨 1, 5% 및 수수겨 추출물 0.1, 0.5, 1% 첨가 시 1.6~17.1배,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8~7.4배, 2.3~13.6배 증가하였다. 가장 높은 항산화성분 및 활성을 나타낸 것은 '동안메' 수수겨추출물 1%가 첨가 시이며, 다음으로 겨 분말 5%, 겨 추출물 0.5%, 겨 분말 1%, 겨 추출물 0.1%의 순이었다. 색도와 팽화도로 유과의 품질 변화를 살려본 결과 수수겨가 첨가된 유과반대기 및 튀겨진 유과의 색도는 첨가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팽화도는 수수겨 분말 1%, 수수겨 추출물 0.1%, 0.5%가 첨가된 경우 대조구와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 수수겨 분말 5%, 수수겨 추출물 1% 첨가 시 현저히 감소되었다. 관능평가에서 전체적인 기호도는 팽화도와 마찬가지로 수수겨 5%, 수수겨 추출물 1% 첨가 시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수수겨 추출물 0.5%를 첨가한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수겨 분말 1%, 수수겨 추출물 0.1~0.5% 첨가로는 기호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수겨 가루 및 추출물이 첨가된 유과의 고온저장 중 산가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저장 20일부터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의 산가가 높게 나타나고 수수겨 분말 첨가 시 증가가 완만히 일어나는 경향이었다. ABTS 라디칼소거능은 산가와는 달리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처리별로는 초기의 항산화활성 차이가 35일까지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항산화성, 산가 변화 및 유과의 품질특성 등을 고려할 때 '동안메' 수수겨는 분말로서 1%, 추출물로서 0.5% 미만으로 유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