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th Program

검색결과 598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 알레르기성 질환의 복합성과 중증도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ergy Related Disease on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 왕진우;김은영;박수진;이준협;임국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25
    • /
    • 2016
  • Background & Objectives: There were increasing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y related disease such as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and suicide ideation. However little was known about the concrete relatedness between severity and comorbidity of allergy related disease with suicide ide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es of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such as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and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y related diseas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as based on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2014) which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taining 34,874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diagnosed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We used the weights, strata and primary sampling uni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ublic use dataset to compu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s. Computations were done with SPSS version 20.0. Results: 19.9%, 15.6%, 13.8% of adolescents who suffered from one, two and three of allergy related diseases respectively reported having been thought of suicide ide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adjusted as control variables. Students with greater severity of disease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e ideation. Odds ratio for students who were absent one to three days from school because of allergies was 1.96(95% CI 1.51-2.46), and odds ratio for those who were absent more than four days from school was 3.60(95% CI 2.46-5.28). Conclusions: Given that adolescents' severity and comorbidity of allergy related disease were clearly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should be improved by strategic approaches towards th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disease.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논문쓰기 활동이 여중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sis-writing Activity based Project method on the Ability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Attitude)

  • 이재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458-1464
    • /
    • 2014
  •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논문쓰기 활동이 여중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Y시 소재 여자중학교 2학년 독서반 동아리생 60명을 대상으로 30명씩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나눈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10주에 걸쳐 4단계 프로그램인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논문쓰기 활동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 능력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를 사전 사후로 실시했고, SPSS 18.0 통계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한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하위 변인 중 개방성, 내재적 동기, 자율성, 자아개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둘째, 학습태도의 자신감, 성공기대, 주의집중, 효과성, 열의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여중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학습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프로젝트 학습에 기반한 방법들이 적극적으로 시도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중생의 초경경험과 정신건강의 연관성 연구 (The association between menarche experience and mental health in middle school girls)

  • 안경민;홍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737-5744
    • /
    • 2013
  • 이 연구는 14세의 여중학생의 초경 경험과 정신건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으로 제 8차 (2012년) 청소년건강행태 온라인 조사에 참여한 여중생 1학년 5,991명을 선별하였다. 데이터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test, chi-square,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중 4,473명의 초경경험 여학생군(여학생의 평균 초경연령은 12.8세)과 1,518명의 비 초경경험 여학생군을 확인하였다. 초경경험과 정신건강의 로지스틱 분석결과, 지각 스트레스(OR=1.39, 1.20-1.62, p<0.001), 인지 우울증(OR=1.25, 1.10-1.42, p<0.05), 자살 생각(6OR=1.60, 1.38-1.87, <0.001), 자살 계획(OR=1.66, 1.33-2.81, p<0.001)과 자살 시도 (OR=1.42, 1.09-1.86, p<0.05)에 대한 위험 비 (OR)[95% confidence interval (CI)]는 초경 경험군에서 초경 비 경험군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초경의 경험이 여중생의 정신건강에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초경의 경험이 여자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었음을 시사한다.

청소년의 구강관리보조용품 사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Korean adolescents)

  • 박신영;류소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1
    • /
    • 2017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70,362 adolescents in 800 schools who completed the 2015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usage of dental floss, interdental brushes and mouthwash solution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state and behaviors, and oral health behaviors and experience of oral diseases. Results: The related factors of usag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cluded gender, where females showed higher usage (OR=1.10) compared to males, father and mother's level of education where usage was higher in above university graduates (OR=1.20, OR=1.14) compared to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economic status where usage was higherin high and middle (OR=1.93, OR=1.26) compared to low, vigorous physical activity where usage was higher in those who responded yes (OR=1.35) compared to no, subjective weight recognition where usage was higher in normal (OR=1.07) compared to under weight, sleep time where usage was higher in enough (OR=1.12) compared to not enough, number of toothbrushing (day) where usage was higher in 2 times or over 3 times (OR=1.35, OR=1.75) compared to below 1, oral health education experience (OR=1.10), sealant experience (OR=1.17) and scaling experience (OR=1.45) where usage was higher in those who responded yes compared to no, school where usage was lower in high school (OR=0.64) compared to middle school, residential type where usage was lower in rural area (OR=0.74) compared to metropolitan area, living form where usage was lower in other (OR=0.77), compared to with family, smoking (OR=0.93), and alcohol drinking (OR=0.90) where usage was lower in those who engage in the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who didn't, BMI where usage was lower in normal (OR=0.87) and over weight (OR=0.98) compared to under weight. Conclusions: To expand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in the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need and motivation of dental hygiene device usage.

중국 상하이·허쩌 중·고등학생의 식습관과 비만도 및 영양지식과의 관련성 연구 (Associations of Eating Habits with Obesity and Nutrition Knowledge for Middle and High School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 송양;안효진;최지혜;오세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48-658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ating habits and health among adolescents in Shanghai and Heze, Chin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in 2013 on 2,089 adolescents; 1,089 students were from Shanghai and 999 students from Heze region. Eating habits, weight, height,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Eating habits score wa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healthy eating habits and unhealthy eating habits, based on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Associations between eating habits,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ere examined using a general linear model with adjustment of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such as region, gender, age, parents' education level, and pocket money.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version 9.3) program. Proportions of healthy eating habits group were 90.0% for breakfast (3-7 times/wk), 29.1% for fruit (${\geq}once/d$), 12.5% for vegetable (${\geq}3times/d$), 7.3% for milk (${\geq}2times/d$), 90.0% for fast food (<3 times/wk) consumption,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score was 20.1 (Shanghai 20.5 Heze 19.6), which is in the range of normal weight. Rates of obesity and overweight were 16.5% and 8.3% in Shanghai and Hez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intake frequencies of breakfast, fast food, biscuits, sugar, chocolate, and BMI score. Eating habits and nutritional knowledge sco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better eating habits regarding eating regularity and consumption of fruits and soft drinks in Chinese adolescents compared with Korean adolescents, although cultural differences were not fully considered. This study demonstrated significant associations of BMI and nutritional knowledge with dietary behavior in Chinese adolescents in two regions of China. Further studies on Chinese adolescents from other regions in China should be considered.

융합시대의 대학생 성문화 연구 (사랑의 유형이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Sexual Culture in Convergence Ages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types of love to casual sex))

  • 김영기;박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295-301
    • /
    • 2016
  • 본 연구는 사랑의 유형이 캐주얼섹스(Casual Sex)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성문화를 이해하고 성상담과 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전지역 86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IBM/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캐주얼 섹스의 행동과 사랑의 유형 중 열정이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책임이 높을수록 캐주얼 섹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열정이 높을수록 캐주얼 섹스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과 달리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이성교제 중에 캐주얼 섹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성교제가 활발한 대학생의 성교육이나 성상담시 사랑의 유형의 연구를 활용해서 준비되고 책임있는 성행동을 논의하고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캐주얼 섹스(casual sex)의 성행동은 우리나라에도 이미 존재하지만, 캐주얼 섹스를 주제로 한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캐주얼 섹스(casual sex)는 융합시대 젊은이의 성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변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성상담과 성교육의 기초 자료와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 기혼남녀의 전통적 효 규범의식과 친척유대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Married's Nonnative Sense of the Traditional Filial Piety and their Affiliation with Relatives)

  • 안혜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83-19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eople's normative sense of the traditional filial piety and their affiliation with relativ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reviewed ethics books during the Chosun dynasty such as Naehoon Women's Ethics), Dongmongsonsup (Children's Cardinal Moral Principles) ,Kyokmongyokyol (Juvenile's Learning) and Gyuenyoso (Instructions for Daughters of Marriageable Age), Based on this review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For the survey,566 returned questionnaires from married people between their 20's and 70's living in Seoul and Wonju Si were sampl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AS program for means and SDs of each area in order to examine the overall tendency, and were subject to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normative sense of the traditional filial piety and their affiliations with relative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In addition to this correlation analysis, the data underwent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sense of filial piety and their affiliation with relat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subjects were found to have a normal or higher sense of filial piety in overall terms, which suggests that the Korean morality of filial piety may be positive. In particular, the subjects' sense of filial piety was higher for living parents than for dead ones. Namely, they wanted to give more respect, honor and support to their parents than give a cordial funeral or memorial service to deceased parents. Second, older Koreans were more aware of filial piety, and men were more conscious of filial piety than women. Buddhists or atheists tended to be more faithful to their parents. Generally, those with lower academic background and living with larger families had a higher normative sense of filial piety. On the other hand, those in their 60's and 70's were most affiliated with their relatives, while youth and middle-aged people were less affiliated with their relatives. Men were more affiliated with their relatives than women, and first sons or daughters were more affiliated with their relatives. Besides, those living with larger families were more affiliated with their relatives. Third, the subjects' normative sense of filial piety, particularly for deceased parent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ir affiliation with relatives, and such a normative sense of filial piety was most conspicuous in their funeral rites.

우리나라 중학교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2013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 조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on the mental health in Korean Middle School Adolescents: Based on the Web-based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Behavior from 2013)

  • 유진영;김기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395-405
    • /
    • 2014
  • 본 연구는 중학교 청소년의 신체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중학교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보다 구체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2013년 제9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36,530명을 분석하였다. 복합표본자료 분석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행복감 인지 정도는 학교 체육시간에 주 3회 이상 직접 운동하는 경우에 비해 2회 이하인 경우 행복감은 낮았으며 스트레스 인지 정도와 자살시도 가능성은 높았다. 참여하고 있는 팀 스포츠 수가 1개 팀 이하인 경우 행복감이 낮았으며 스트레스 인지 정도는 높았다. 4개 팀 이상 참여하는 학생에 비해 '1개 팀', '2개 팀' 참여가 자살가능성이 낮았다. 중학교 청소년들의 행복감 향상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2개팀 정도의 정규적 팀 스포츠 활동 참여와 교내 체육시간에 직접 운동을 주 3회 이상 수행함이 필요하며, 저학년인 경우 극단적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지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함께 병행됨이 필요하다 여겨진다.

고등학생의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Oral Health Behavior to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 주온주;우승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55-360
    • /
    • 2015
  • 이 연구는 청소년의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익산시 소재 W 여자고등학교 여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1월 2일부터 11월 5일까지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IBM SPSS Statistics ver. 21.0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하였다. 정기구강검진을 받고 있는 집단(3.26점)이 그렇지 않은 집단(3.15점)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고(p<0.05), 구강관리용품을 사용하고 있는 집단, 칫솔질 횟수가 4회 이상인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또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다고 생각할수록, 발음장애(3.66점), 저작장애(3.32점)가 불편하지 않은 집단이 자기효능감 점수가 높았다(p<0.01, <0.001).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저작장애(r=-0.184), 발음장애(r=-0.200) 등은 음의 상관관계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r=0.243)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p<0.001)가 좋다고 생각할수록, 발음장애(p<0.01)가 없을 때 높았다. 이상으로 구강보건행태와 자기효능감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자기효능감을 높여 구강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청소년의 구강건강증진사업에서 구강보건의식행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행동변화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위계적 선형, 비선형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주관적 건강평가 변화에 대한 체육시간활동에 종단적 영향 분석 (Analyzing longitudinal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activity on adolescent self-rated health evaluation changes using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s)

  • 김세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4호
    • /
    • pp.1013-1025
    • /
    • 2016
  • 이 연구는 청소년 남녀학생의 주관적 건강평가가 시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또한 그러한 변화에 대해 남녀학생의 체육시간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KCYPS)에서 공개되는 중학교 1학년 5차년도 (2010년부터 2014년) 종단자료를 수집하여 위계적 선형, 비선형 모형 (HLM)을 적용하였다. HLM 6.0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주관적 건강평가지수가 증가하였고, 여학생은 감소하였다. 둘째, 위계적 비선형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평가 지수가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1학년이 되면서 감소하는 변화 형태를 보였다. 셋째, 여학생의 경우는 주관적 건강평가지수가 증가하다가 중학교 3학년이 되면서 감소하는 변화 형태를 보였다. 넷째, 남학생의 경우는 고등학교 1학년 시기에 적극적인 체육시간 활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정적 (posi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 다섯째, 여학생의 경우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적극적인 체육시간활동은 주관적 건강평가에 부적 (negative)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위계적 선형, 비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청소년 건강과 체육에 관련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