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Chu

검색결과 773건 처리시간 0.036초

식물검역 종자전염 Wheat Streak Mosaic Virus의 PCR 검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CR Diagnosis System for Plant Quarantine Seed-borne Wheat Streak Mosaic Virus)

  • 이시원;강은하;추연미;신용길;안태영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2-117
    • /
    • 2013
  • Wheat streak mosaic virus (WSMV)는 Potyviridae 과 Tritimovirus 속으로 분류되는 식물병원성 바이러스로 밀과 옥수수 종자 등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리급 식물검역 종자전염바이러스인 WSMV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2단계 PCR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실 오염의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는 새로운 양성 대조구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PCR 시스템으로 일본에서 수입한 스위트콘 종자와 미국에서 수입한 밀 종자의 검역과정에서 WSMV-JSweet-corn2868, WSMVUwheat1944-1 및 WSMV-Uwheat1944-2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증폭 산물은 다른 WSMV의 isolates와 80.60-100.00%의 유사성을 보였다. WSMV는 계통수에서 4가지 genotype이 확인되며, 이번 연구에서 검출한 isolate WSMV-JSweet-corn2868 (JX845574)은 Clade B로 분류되었고, isolate WSMV-Uwheat1944-1 (KC754959)과 WSMV-Uwheat1944-2 (KC754960)는 Clade D로 분류되었다.

산화그라핀 (Graphene Oxide, GO)이 코팅된 양이온 교환막을 용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Vanadium Redox Flow attery, VRB) 시스템에 관한 연구 (Graphene Oxide (GO) Layered Structure Ion Exchange Membrane Application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B) System Study)

  • 이관주;주영환
    • 전기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4-102
    • /
    • 2014
  • 바나듐 레독스 흐름 전지 (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B) 시스템 운전 중 양이온 교환막을 통한 바나듐이온의 투과로 인하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판상형태의 탄소물질인 산화그라핀 (Graphene Oxide, GO)을 기존에 사용하였던 양이온 교환막인 Nafion 양이온 교환막 표면에 열압착 방식으로 코팅하여 양이온 교환막 개선 및 VRB 성능 향상을 도모하였다. 개선된 양이온 교환막의 물리화학적 특성분석을 위하여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분석, 이온 교환 용량, 수분 흡수 및 수소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산화그라핀층을 코팅한 결과, SEM 분석을 통해 양이온 교환막 표면에 약 $0.93{\mu}m$의 산화그라핀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그라핀을 코팅하여 개선된 양이온 교환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측정 결과, 상용 양이온 교환막의 27%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바나듐이온 투과실험을 실시한 결과, 개선된 양이온 교환막의 바나듐이온 투과도가 기존 상용 양이온 교환막의 25%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VRB 단위전지 성능실험을 실시하여 충-방전 특성을 분석한 결과, 산화그라핀을 코팅하여 개선된 양이온 교환막을 VRB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경우, 바나듐이온의 투과도 감소로 인하여 쿨롱효율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하여 전체적인 에너지효율이 상용막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양이온 교환막 표면에 판상형태의 탄소물질인 산화그라핀을 코팅하는 방법이 바나듐이온 투과도를 저하시키고 VRB의 시스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시할 수 있었다.

산모와 신생아의 A형 간염 항체가에 관한 연구 (Hepatitis A Virus Antibodies in Korean Mothers and Their Neonates)

  • 김경범;신영규;이기형;은백린;임채승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6권2호
    • /
    • pp.234-238
    • /
    • 1999
  • 목 적 : 산모 혈청 및 그들의 신생아 제대혈청의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한 IgG 항체(Hav IgG) 양성율 및 항체가 수준, 항체의 경태반 전이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98년 1윌 1일부터 5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에 정상분만을 위해 내원한 산모와 그들의 신생아 제대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Hav IgG를 측정하였다. 검사는 방사성 면역 항체 검사법인 HEPAVIDINE$^{125}$A(General Biologicals Corp. Hsin Chu, Taiwan)를 이용하였으며, 항체가는 정해진 방법에 따라 gamma counter를 이용해 counter per minute(CPM)로 측정하였고, CPM 값이 4,903 이상인 경우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신생아 중 재태 연령 37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2,500g 미안인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1) 대상 산모와 신생아는 42쌍(남아 23명, 여아 19명) 이었으며 산모 평균 연령 $29.5{\pm}3.0$세, 신생아 재태 연령 $39.9{\pm}1.0$주, 신생아 출생 체중 $3.48{\pm}0.39kg$이었다. 2) Hav IgG 양성율은 산모 78.6%, 신생아 81.0% 였고, 항체의 CPM은 산모 $7,528{\pm}2,819$, 신생아 $7,684{\pm}2,740$이었다. 양군간에 항체 양성율과 항체가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산모와 신생아의 Hav IgG CPM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9285, P<0.001), 산모 및 신생아의 항체가와 산모 연령,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산모와 신생아 제대혈의 Hav IgG는 비슷한 양성율과 항체가 수준을 보였고 모체와 신생아 항체가는 양성관계에 있었다. 향후 항체 보유수준의 변화를 알기위하여 계속적인 항체 보유 실태와 경태반 전이 항체의 소실 시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눈 간호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행 실태 (Knowledge, Perception & Practice of Eye Care Nursing among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 오의금;추상희;고일선;이원희;유지수;김소선;유해영;강세원;김복희;조경미;최정민;송은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37-445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knowledge, perception, and practice of eye care as part of nursing care in the ICU. Method: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69 registered nurses working in the ICUs of five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Between November 2005 and December 2005,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In general, levels of knowledge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were moderate among ICU nurses, but levels of perception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were very high. Of the respondents, 61.7% reported that they would consult a doctor whenever they found an eye problem. Only 42.4% nurses answered that they provide eye care as part of the daily routine and 43.9% nurses responded that they cleanse the eye lids with wet saline gauze. In regression analysis, the practice of eye care as part of nursing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erception of nursing care for the eyes, and knowledge of interventions for nursing care for the ey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on care of the eyes for ICU nurses and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eye care protocol should be done to improv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ICU.

  • PDF

실시간 어장정보 생산 부이시스템 개발 및 활용연구 (Development on Real Time Application System for Fisheries Oceanography Information)

  • 이주;서영상;황재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2-149
    • /
    • 2005
  • 동해중북부 연안역의 해황 변화에 따른 연안 양식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연안 어장에서 관측한 해양자료를 실시간으로 일반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을 개발 및 운용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 하였다.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은 크게 어장정보 생산 부이시스템, 해양자료 수집서버, 해양자료 저장데이터베이스 서버, 인터넷을 통한 자료제공을 위한 웹 서버로 구성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최종 이용자들에게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하는 사용자에 대해 휴대전화서비스 빚 문자서비스(SMS)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실시간 어장정보 제공시스템에서 관측한 수온, 유향 유속자료를 이용하여 연안역 저층에서 수 일 이하의 단주기적인 해황변동이 발생함을 정량화 할 수 있었다. 수일 이내 단주기적 해황변동은 어장환경에 영향을 미쳐 어장의 폐사를 유발시키는 원인 중에 하나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실시간 자료에 의해 이상 해황이 발생하면 수하식 양식시설을 적수온대로 이동 시켜 대량폐사를 막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수층별 장기적인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활용하여 수평 및 연직의 양식장 적격지 공간을 과학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 PDF

개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직교이방성 강성 수정 계수 (The Modified Coefficient of the Orthotropic Rigidity for Stiffened Plates with Open Ribs)

  • 주석범;최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23-3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개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을 직교이방성 판으로 해석하는 경우 발생하는 정확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강판의 직교이방성 휨 강성에 대한 강성 수정 계수를 제안하였다. 매개변수로는 강성비와 변장비를 선택하고, 변장비와 지지조건을 달리하며 여러 가지 평강 리브와 L형 리브를 갖는 보강판의 강성 수정 계수에 대한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보강판을 등방성 판요소와 직교이방성 판요소로 모델링하여 해석한 결과, 강성 수정 계수는 변장비 1 미만의 경우 변장비와 상관없이 리브 간격 별로 강성비에 대한 하나의 함수로 표현 가능하고, 변장비 1 이상인 경우 리브 간격 및 변장비에 따른 처짐 비율 차이가 크지 않아 하나의 통합된 함수로 대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성 수정 계수에 대한 지지조건의 영향은 크지 않으며, 리브 형태별로 다른 강성 수정 계수 함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강성 수정 계수 함수를 예제에 적용한 결과, 해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어, 개단면 리브를 갖는 보강판을 직교이방성 판으로 해석하는 경우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강성 수정 계수 함수를 적용하면, 간편하게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aO원 활성슬러지를 혼입한 시멘트 경화체 및 모르타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ement Matrix/Mortar with CaO-based Activated-sludge)

  • 이용수;유성룡;신광호;추용식;김영엽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4호
    • /
    • pp.399-406
    • /
    • 2017
  • CaO원 산업부산물은 CaO, $SO_3$$Al_2O_3$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CaO 화합물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CaO원 산업부산물을 레미콘 회수수에 적용할 경우 슬러지수의 pH를 높여주어 콘크리트 분말원료의 수화 반응을 촉진 하여 콘크리트 조직을 치밀하게 하여 성능향상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레미콘 회수수에 CaO원 산업부산물 중 하나인 탈황석고를 혼입하여 제조된 활성슬러지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멘트 경화체 및 모르타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 경화체의 경우 응결시간 단축 및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기기분석을 통해 수화반응이 촉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활성 슬러지 제조를 위하여 CaO원으로서 사용된 탈황석고는 단위수량을 조절할 경우 작업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혼입 될 경우 시멘트 사용량이 줄더라도 높은 강도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끼리조개, Panopea japonica (A. Adams)의 수정란 발생과 유생 성장 (Development and growth in fertilized eggs and larvae of the Japanese geoduck, Panopea japonica reared in the laboratory)

  • 남명모;이주;김미경;김재원;김영대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3-309
    • /
    • 2014
  • 코끼리조개의 대량 인공종묘생산을 추진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정란, 유생 및 치패의 발달을 조사하였다. 생식체는 잘 성숙한 어미에서 추출하여 희석 정자 용액으로 수정하였으며, 발생유생은 수온 $19{\pm}1^{\circ}C$로 유지하였다. 수정란의 난경은 평균 $81.6{\mu}m$ 이었으며, 수정 후 14시간 만에 담륜자 유생이 되어 부상하고, 27시간 만에 D상 유생 (각장 $116{\mu}m$)으로 발달하고, 20일 후에는 각장 $311.2{\mu}m$로 성장하여 바닥에 안착하였다. $18.5-21.5^{\circ}C$에서 정상적으로 부화 및 유생사육이 가능하였으며, 채묘기질은 모래가 우수하였으나 캐시미론도 양호하였다. 부유유생이 착저한 후 108일간 사육한 결과 각장 13 mm, 전중량 0.4 g으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각장 $117.5{\mu}m$ 이었으며, 자연해수로 연중 실내육성이 가능하였다.

말굽버섯 추출물의 대식세포 면역반응 증강 효과 (Immune-stimulatory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in Murine Macrophages)

  • 김영훈;박은규;;;노주원;판철호;이재권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73-37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아직 까지 연구되지 않은 말굽버섯의 면역증강 효과를 설치류 대식세포에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말굽버섯 메탄올 추출물(FFE)의 처리에 의해 대식세포의 산화질소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된 이유는 산호질소의 생성을 유도하는 효소인 iNOS의 발현이 FFE에 의해 증가되었기 때문이었다. FFE는 면역반응에 중요한 cytokine인 TNF-${\alpha}$, IL-$1{\beta}$, IL-6의 생성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 같은 FFE의 면역증강 활성은 면역활성을 중계하는 세포 신호전달분자 중 NF-${\kappa}B$와 MAP Kinases의 활성증가에 의한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말굽버섯의 임상적 적용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만일 말굽버섯으로부터 분리한 단일성분에서 면역증강활성을 검증 하게 된다면 새로운 식 의약소재로서의 가치를 인정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echnology of Marine Forest Construction in the Southern East Coas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ed Algae

  • Kim, Young Dae;Kim, Hyun Gyum;Lee, Chu;Yoo, Hyun Il;Park, Mi Seon;Byun, Soon Gyu;Choi, Jae-Suk;Nam, Myung M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0호
    • /
    • pp.1285-1307
    • /
    • 2015
  • We constructed marine forest to restore barren grounds which are expanding in the east coast of Korea using 2 methods of (1)seedlings transplantation method and (2)underwater floating ropes method. We transplanted 3 macroalgae species, Ecklonia cava, Undaria pinnatifida, and Saccharina. japonica to construct marine forest. Blade length of Undaria pinnatifida on underwater floating ropes was $56.70{\pm}8.69mm$ in April and grew $68.75{\pm}22.30mm$ in May and $70.75{\pm}14.36mm$ in July. Blade length of S. japonica was shown 97.95-143.00mm in April to June. Blade length of Ecklonia cava was $30.50{\pm}1.91mm$ in May, $41.55{\pm}1.84mm$ in August, $45.30{\pm}2.57mm$ in November, 2009 and $45.30{\pm}1.99mm$ in February, 2010. The survey on Dangsa area, Ulsan-city in January, 2009 found a total number of 15 algal species(1 brown algae, 14 red algae species) with the highest variety at 5m depth of A station and the lowest at 8m depth of A and B stations. The March survey showed a total of 24 species (1 green algae, 1 brown algae, 22 red algae species) with the highest variety of 11 at depths of 3m and 5m of B station and the lowest of 6 at 10m of B station. In May, total biomass was 3,755.4g (green algae 1.2g, brown algae 199.0g, red algae 3,555.2g). From January, 2009, we found that E. cava was dominant at the depths of 3m and 5m of A and B stations while Peyssonnelia capensis was dominant at the depth of 8m of A station. The 8m depth of B station was dominated by Acrosorium polyneurum. In May, Grateloupia lanceolata was dominant at 8m depth of A station while other depths were dominated by Phycodrys fimbriata. In June, the dominant species were G. lanceolata at the 3m depth, E. cava at the 5m and P. fimbriata at the depths of 8m and 10m of A station. Under B station, G. lanceolata was dominant at the depths of 3m and 5m while P. fimbriata was dominant at the depths of 8m and 10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