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persimmon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35초

경종독살설 연구 (Study of the Hypothesis of Kyung-Jong's poison)

  • 김동율;정지훈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5-31
    • /
    • 2014
  • This study performed to examine the genuineness of Kyung-Jong's poison hypothesis which was the one of the biggest topic in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Kyung-Jong's poison hypothesis is that Kyung-Jong who was the 20th king of the Joseon Dysansty was poisoned by the next king Young-Jo who became the 21st king. This theory was hyphosized by Sim-Yoohyun and was widely known in the 4th year of Young-jo through the revolt. Kyung-Jong suffered with severe diarrhea for 5 days which finally took his life away right after he had have marinated raw crab and persimmon. Some insist the poison must had been in those foods. However, the symptoms that Kyung-jong had were not matched with the poisons which used in those days and also poison was not the reasonable way of murder, so it is hard to say there is little possibility of poison.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of Kyung-jong's health, marinated raw crab and persimmon could result of severe diarrhea. In the mean time, the possibility of Young-Jo's intention of killing Kyung-Jong is very low. Rather, he blame the royal doctors who scout the outside doctors, because he believed that it led Kyung-jong's death since the treatment was chaotic with all those different doctors. Even after the Kyung-Jong's death, Young-jo was always strict to scout the outside doctors and missed Kyung-jong consistently. On this basis, it is hard to say that king Kyung-Jong was murdered by poisoning.

둥시 장아찌 제조 과정 중 세포벽성분 및 연화효소의 변화 (Changes of Cell Wall Components and Softening Enzyme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 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55-60
    • /
    • 2004
  • 떫은감 둥시를 이용한 감장아찌 제조 중 과육의 세포벽 성분과 연화효소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물질 및 세포벽 성분의 함량은 감장아찌 제조 시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침지 20일째까지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나 30일 이후부터 급격한 감소가 발생하였다. 수용성 물질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기간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Lignin, pectin 질 및 산 가용성 hemicellulose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장아찌 모두 침지 기간이 경과하여 숙성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나, 알칼리 가용성 hemicellulose는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Cellulose의 함량은 간장 및 된장 침지 각각 침지초기의 $6.07{\pm}0.09\;mg/g$$6.18{\pm}0.13\;mg/g$에서 침지 50일째 $6.09{\pm}0.17\;mg/g$$6.28{\pm}0.32\;mg/g$으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감장아찌의 경도는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30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Polygalacturonase와 pectinesterase는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10일째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효소활성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ta}-Galactosidase$의 경우도 간장 및 된장 침지 모두 침지 10일째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침지 30일째까지 완만한 상승을 나타내다가 침지 40일째부터 급격한 효소활성의 증대가 관찰되었다.

둥시 장아찌 제조 과정 중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reparation of Persimmon Pickles)

  • 차원섭;백신경;나경민;박준희;오상룡;이원영;천성숙;최웅규;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17-322
    • /
    • 2003
  • 떫은감 품종의 하나인 둥시를 이용하여 감장아찌 제조 중 과육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염도 변화는 저농도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다소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고농도의 간장 및 된장 침지의 경우 침지 기간 내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 침지액 감장아찌의 경도는 간장 및 된장 모두 $20{\sim}80%$ 농도에서는 침지 초기에는 증가하다가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장 침지 감장아리의 색도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명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침지액 농도를 달리하였을 경우 농도가 낮을수록,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았으며, 침지액 농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장아찌 중의 탄닌함량의 변화는 모든 침지액 농도에서 침지 기간이 지속될수록 탄닌의 함량은 저장 초기에 서서히 감소되다가 침지 기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첨가량에 따른 탄닌함량의 변화폭은 크지 않았다. 침지액의 간장 및 된장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감과육에 존재하는 연화효소인 polygalacturonase와 pectinesterase 활성 변화는 간장침지 및 된장침지 모두 침지 초기부터 효소활성이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침지 기간이 경과할수록 효소활성은 더욱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침지액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효소활성이 억제되었다.

감 과피를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Persimmon Peel)

  • 신동선;김경미;한서영;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79-488
    • /
    • 2013
  • 본 연구는 농가단위 생산 식품의 품질향상 및 제품화 기술 개발로 감 과피의 영양기능성 성분을 조사하고 감 과피 이용 조리가공제품을 개발하여 감 과피의 이용성을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감 과피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수분이 4.35%, 단백질이 3.01%, 지방이 1.02%, 회분이 2.02%, 당도는 $5.7^{\circ}Brix$로 영양성분이 우수하였으며 감에 많이 함유되어있는 천연 지용성 색소인 총 카로티노이드가 82.5 mg%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감 과피 설기의 품질특성 조사 결과 수분 함량의 변화에서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설기의 수분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저장 28시간까지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특성의 변화에서 색도의 경우 L값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또한 a값 및 b값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텍스처의 변화는 감 과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 모두 감소하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점착성, 씹힘성은 증가하는 반면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는 3%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나 1, 3, 5%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감 과피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Persimmon Peel Powder)

  • 신동선;박혜영;김명희;한귀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9-597
    • /
    • 2011
  • 본 연구는 곶감의 부산물인 감 과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감 과피 첨가에 따른 제빵적성과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감 과피의 식품에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감 식빵 제조는 감 과피를 열풍건조기(50$^{\circ}C$, 48 hr)로 완전히 건조 한 후 분쇄한 후 20 mesh로 분말화하였으며 감 과피 첨가비율은 0, 4, 6 및 8%으로 하였다. 감 과피 식빵의 수분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두 수분손실로 감소하였으며 대조군 보다 처리군의 감소의 폭이 좁았다. 식빵의 무게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부피는 대조군과 첨가군 모두에서 조금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RVA를 측정한 결과 점도의 특성에서 호화온도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는 대조군에 비해 감 과피 첨가 비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색도의 변화에 있어서는 감 과피 첨가 비율이 증가할 수록 L값은 점차 낮아졌으며 a값 및 b값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텍스처의 변화는 경도,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및 씹힙성 모두에서 감 과피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보다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를 조사한 결과 감 과피의 특유의 질감으로 대조군에 비해 씹힘성과 씹은 후 이물감 항목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보통 이상의 점수를 받아 이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항목인 색, 향미, 촉촉한 정도, 맛,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감 과피 첨가군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전반적으로 감 과피 4%와 6% 첨가군에서 높게 평가되어 감 과피를 식빵에 첨가 할 경우 감 과피 4~6% 첨가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d-Air Dried Persimmons and Traditional Dried Persimmons)

  • 이수원;문혜경;이원영;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1
  • 본 연구는 냉풍건조 곶감과 천일건조 곶감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건시 및 건시 모두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에 있어서 냉풍건조 곶감이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나, 조지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회분과 가용성무질소물 함량은 냉풍건조 곶감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다. 꽂감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반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반건시, 건시가 각각 40.12 $^{\circ}Brix$, 52.29 $^{\circ}Brix$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곶감의 색도는 L값(lightness), a값(redness) 및 b값(yellowness)에서는 냉풍건조 곶감이 전통곶감에 비해 상대적으로 색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보여주어 어두운 색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반건시의 경우 조직감에 있어서 3개 시료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건시의 경우 냉풍건조 곶감의 수분이 상대적으로 적어 hardness, gumminess, chewiness의 값이 상대적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6개 시료구 모두 fructose와 glucose만 검출되었으며 유리 아마노산은 17종 함유되어 있었고,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alanine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다. 냉풍건조 곶감이 천일건조에 의해 생산되는 전통 곶감보다 위생적이며 건조조건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균일한 품질의 우수한 곶감생산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esponses of Young 'Fuyu' Persimmon Trees to Summer Fertilization Rate and Leaf-fruit Ratio

  • Choi, Seong-Tae;Kim, Seong-Cheol;Ahn, Gwang-Hwan;Park, Doo-Sang;Kim, Eun-Seok;Choi, Jae-Hyeok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77-583
    • /
    • 2016
  • Small-sized persimmons produced by high crop load are better accepted in the export markets. However, maintaining high crop load frequently results in weakness of tree vigor,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and increase of the risks for alternate bearing.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mbined effects of fertilization rate and leaf-fruit (L/F) ratio on container-grown 3-year-old 'Fuyu' persimmon trees. Application of 3.6-g N, 2.1-g $P_2O_5$, 2.7-g $K_2O$, 2.7-g CaO, and 0.6-g MgO was for the control fertilization rate (CF) and that of a 3-fold CF was for the high fertilization rate (HF). Commercial fertilizers were surface-applied to a container on July 6, July 17, and August 10 in three equal aliquots. Single tree for each fertilization rate was assigned for 12 L/F ratios (5, 6.3, 7.7, 9, 10.4, 13, 15.5, 18, 21, 24, 27, and 33) mostly by fruit thinning or rarely by defoliation on July 1. HF did not affect the yield, weight and soluble solids of the fruits but decreased skin color. As L/F ratio increased, yield decreased but average weight, skin color, and soluble solids of fruits increased. With HF, N and K concentrations in leaves, fruits, and shoots increased to some extent but soluble sugars in dormant shoots decreased. Many shoots were cold-injured with low L/F ratio especially at the HF. HF did not increase number of flower buds the next spring either on a shoot or on a tree basis but increased shoot length, compared with the CF. Increasing L/F ratio markedly increased number of flower buds and shoot growth the following year at both fertilization rates. Therefore,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fertilization rate and L/F ratio should be necessary to maintain stable fruit production and tree vigor at high crop load.

감잎 추출물의 유산균 생육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oxidative Effect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of Persimmon Leaf Extracts)

  • 우준영;백남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8
    • /
    • 2005
  • 본 연구는 감잎 추출물을 이용하여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 균종에 대한 생육조건 및 동결건조 보호제로서의 효과, 가혹조건에서의 경시변화, vitamin C 함량 변화, DPPH 라디칼 소거효과, SOD 유사활성을 조사하였다. 유산균 생육은 L. acidophilus MG501,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 L. lactis MG530, L. casei MG311에서 각각 37℃/48hr 동안 배양한 후 3.2×10/sup 9/cfu/mL, 2.9×10/sup 9/cfu/mL, 1.1×10/sup 9/cfu/mL, 1.6×10/sup 9/cfu/mL, 3×10/sup 9/cfu/mL 생균수을 나타냈으며 pH는 3.82∼3.88, 산도는 1.697∼l.842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감잎추출물 10% 첨가에 4.4×10/sup 9/cfu/mL, 4.3×10/sup 9/cfu/mL, 2×10/sup 9/cfu/mL, 3.3×10/sup 9/cfu/mL, 3.4×10/sup 9/cfu/mL에 생균수을 보여 유산균 생육시 감잎 추출물 첨가가 유산균 증식에 효과를 보였으며 pH는 3.74∼3.82, 산도는 1.528∼1.805로 낮게 나타내었다. 동결건조 보호제에서는 L. acidophilus MG501는 약30%정도 생존율의 감소를 보였으며 L. brevis MG19, L. bulgaricus MG515의 경우는 약 10% 정도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L. lactis MG530는 약 10%정도 생존율 증가를 보였으며 L. casei MG311은 거의 동등한 효과를 나타냈다. Vitamin C 함량 변화는 L. lactis MG530에서 190.26m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 acidophilus MG501에서는 56.05mg/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효과는 감잎 추출물 10% 첨가시에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L. brevis MG19에 감잎 추출물을 10% 첨가하여 배양한 경우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 비교적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포장재 및 포장방법이 저장곶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on the Storage Quality of Dried Persimmon)

  • 박형우;고하영;박무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21-325
    • /
    • 1989
  • 곶감을 장기유통 하기 위해서는 포장재와 포장방법을 달리해서 저장기간에 다른 품질평가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폴리에칠렌 필름 시험구는 저장 $1{\sim}3$개월만에 부패되었으나 나일론 적층 시험구는 가스 치환 포장 후 상온저장시 1.5개월, 저온저장시 약 5개월 후에도 맛과 조직이 좋았다. 알루미늄 포일 적층 시험구는 상온저장시 5개월, 가스충진 저장시 8개월, 저장 후에도 품질이 좋았다. 따라서 곶감의 적정 저장조건은 상대습도 75%, 수분함량 37% 내외에서 저온저장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 PDF

초산훈증에 의한 포도저장병의 발생억제 효과 (Effect of Acetic Acid Fumigation to Prevent Postharvest Decay of Grapes)

  • 박석희;노영균;조두현;추연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1-244
    • /
    • 2000
  • 포도 저장중의 가장 큰 문젯점인 부패과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acetic acid를 'Campbell Early'와 'Sheridan'품종에 훈증처리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포도과실의 탈립정도는 acetic acid를 훈증처리한 후 저장 90일에 두 품종 모두 1.0~1.5%로 나타나 무처리의 2.9~8.0%와 비교하여 탈립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부패과립은 acetic acid 훈증처리구의 경우 저장 90일에 과방당 0.7~2.9% 발생되어 무처리구의 8.3~27.6%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고, PDA배지상에서 병원균의 생장유무를 관찰할 결과 병발생이 없어, acetic acid 훈증처리가 병발생 억제에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