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on Ho

검색결과 12,341건 처리시간 0.039초

관상동맥질환에서 심장풀 스캔의 육안적 평가에 대한 ROC 분석 (ROC Analysis of Visual Assessments Made in Gated Blood Pool Scan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이경한;최윤호;이범우;문대혁;궁성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1
    • /
    • 1989
  • Visual assessment of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RWMA) by gated blood pol scan (GBPS) serves as an useful parameter in the diagnosis, functional evaluation, and follow up in various clinical settings, but are still subject to some inherent limitations. On important problem may be the interobserver as well as intraobsever variation that may well be present due to the subjective nature of the interpretation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visual assessments made in GBPSs, and to observe the degree to which the results would be influenced by observer variation. Fifty two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had resting GBPS and contrast ventriculography within 4 days appall. Contrast ventriculography-showed normal wall motion in 6 patients and the remaining 46 had RWMA in one or more segments. The anterior and left anterolateral views of all 52 GBPSs were analyzed by three independent observers, who selected from 5 scales, their level of confidence that there was RWMA in that segment. Recie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s for each analysis was plotted and the area under the curve $(\theta)$ was used as a parameter representing each observer's performance in his interpretations. The findings of contrast ventriculographies were used as the standard for RWMA. The apical and inferoapical segments showed the best correlation with contrast ventriculography ($\theta=0.90-0.94$, 0.81-0.94, respectively), and the inferior wall showed the poorest correlation $(\theta=0.70-0.74)$. The interpretations of the inferior, septal, apical, and posteroinferior, segment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ers, but there was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assessment by observer A compared to that by B or C for the anterolateral segments ($\theta=0.87$, 0.78, 0.76, respectively. p<0.01 for A vs B, p<0.05 for A vs C), as well as when all segments were considered altogether ($\theta=0.88$, 0.83, 0.82, respectively. both p<0.05). This was also true for the infero-apical segment between A and C ($\theta=0.09$, 0.81, p<0.05). The intraobserver variation, however, did not appear significant, with only the inferior segment for observer B showing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observer A and B repeated the analysis 10 days latt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ssessing dyskinesia, with all observers showing a high performance ($\theta=0.98$, 0.87, 0.97, respectively). The visual assessment o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by all three observers correlated well with the calculated value from a semiautomated method (Spearman's r = 0.91, 0.83, 0.83. p<0.01, p<0.05, p < 0.05). The assessment of LV and RV size also correlated well between the three observers (Kendall's w = 0.80, 0.51, p<0.01 for both left and right ventricles).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RWMA visually assessed by GBPS correlates well with that done by contrast ventriculography. And although the observer's experience or skill may influence the results in certain segments, visual analysis of GBPS may serve as a reliable and reproducible means for evaluating ventricular function.

  • PDF

$^{99m}Tc-HMPAO$ SPECT를 이용한 어린이 국소뇌혈류의 정량적 분석 : 정량적 지표들의 참고값 및 연령에 따른 변화 (Regional Distribution of Cerebral Blood Flow in Childhood Measured by $^{99m}Tc-HMPAO$ SPECT : Reference Values of Semiquantitative Indices and Effect of Age)

  • 김상은;이동수;정준기;이명철;고창순;조수철;홍승봉;윤병우;노재규;명호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6
    • /
    • 1991
  •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rCBF) was evaluated in 12 children ranging in age from 2.7 to 10.0 yr using $^{99m}Tc-HMPAO$ SPECT. For quantitative analysis, 13 pairs of homologous regions of interest (ROIs) were created on three attenuation-corrected 18.8 mm thick transverse slices matching the cerebral cortical regions, deep gray matter, cerebellar hemisphere, and vascular territories, and the semiquantitative indices including "right to left ratio" [(mean count/voxel of homologous right ROI) / (mean count/voxel of homologous left ROI)] and "regional index"(RI) [(mean count/voxel of a ROI)/ (mean count/voxel of all ROIs of each hemisphere)] were calculated. Mean values of right to left ratios of homologous regions ranged from 0.984 to 1.028 in children under 5 yr (group 1) and from 0.982 to 1.012 in children between 5 and 10 yr (group 2), and the mean $value{\pm}2S.D.$ for each region did not exceed 11% and 12% in group 1 and group 2,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Is of the homologous right and left regions. Significant differences of RIs were found both between vascular regions (p<0.0005 for goup 1, and p=0.0001 for goup 2) and between regions of cerebral cortices (p<0.0005 for group 1, and p<0.005 for group 2) with a relatively high value in the occipital cortex and the lower values in the cerebellum and deep gray matter among the regions of cerebral cortices in both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Is of corresponding regions of group 1 and group 2, except a significantly higher value of right deep gray matter in group 2 than in group 1(p=0.0301). The RIs of the superior frontal cortex and deep gray matter show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superior frontal cortex; right: rs=0.5254, p=0.0814, left : rs=0.5919, p=0.0496/deep gray matter; right: rs=0.8246, p=0.0062, left: rs=0.6266, p=0.0377).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rCBF pattern of children approaches that of adults in an accipito-rostral direction. This time course of rCBF changes is in agreement with behavioral, neurophysiological, and anatomical alterations known to occur in the developing brain.

  • PDF

갑상선환자에서의 5분 $^{99m}Tc-Pertechnetate$ 섭취율과 방사성옥소섭취율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5-Minute $^{99m}Tc-Pertechnetate$ Uptake and 24-Hour $^{131}I$ Uptake in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 이찬우;원규장;윤현대;조인호;김태년;신동구;이형우;심봉섭;이현우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80-289
    • /
    • 1992
  • The 20-minute $^{99m}Tc-pertechnetate$ uptake became readily available for routine use and it replaced $^{131}I$ for thyroid imaging. However measuring thyroid uptake during a 5-minute minimizes pertechnetate uptake by the salivary glands and presence of contaminated saliva from those glands in to the pharynx and esophagus.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the utility of a S-minute and 20-minute interval from administration of $^{99m}Tc-pertechnetate$ to imaging and uptake measurement as a replacement for the 24 hour standard originally established with $^{131}I$,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5-minute $^{99m}Tc-pertechnetate$ uptake and other thyroid functions. A 5-minute and 20-minute uptake of $^{99m}Tc-pertechnetate$ were measured in 70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at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1, 1991 to Feb. 29, 199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5-minute $^{99m}Tc-pertechnetate$ uptake in Graves' disease, Hashimoto's thyroiditis, simple goiter, non toxic nodular goiter, subacute thyroiditis and euthyroid were 18.2%, 14.6%, 2.8%, 3.2%, 1.2% and 1.1%,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the euthyroid group and the mean of the Graves' disease. So differenciation between them can be easily made. 2) The 5 minut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was well correlated with 24 hour $^{131}I$ thyroid uptake (r=0.75, p<0.001). These data provided a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24 hour uptake of iodide given the 5 minute pertechnetate uptake: Estimated 24-hour $^{131}I$ thyroid Uptake= 7.188*ln (5 minute $^{99m}Tc-pertechnetate$ uptake)+16.94 3) The 20-minut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was well correlated with 24-hour $^{131}I$ uptake (r=0.72, p<0.001) and 5-minut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r=0.96, p<0.001). 4) In the Graves' disease, The 5-minut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was well correlated with serum $T_3-resin$ uptake (r=0.46, p<0.01), serum total $T_3$ (r=0.55, p<0.05), serum total $T_4$ (r=0.46,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5-minute ${99m}Tc-pertechnetate$ thyroid uptake has been found at least as useful as 24-hour $^{131}I$ uptake for diagnostic confirmation at our hospital, the logistical advantages of completing the diagnosis. The exam in 5-minutes led us to abandon the 24-hour study in the majority of patients, but the 24-hour $^{131}I$ uptake is still obtained in patients with planned or potential radioiodine therapy.

  • PDF

무증상 성인에서 PET과 PET/CT를 이용한 암 진단 (Detection of Cancer with PET and PET/CT in Asymptomatic Volunteers)

  • 정지인;조한별;심재용;최준영;이경한;김병태;최윤호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6호
    • /
    • pp.526-534
    • /
    • 2009
  • 목적: 무증상 성인을 대상으로 시행된 PET과 PET/CT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들 검사의 암 조기 진단을 위한 선별검사로서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서울 소재 1개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일부로 시행된 PET과 PET/CT 검사자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이 이루어진 5,0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PET과 PET/CT 시행 후 1년 이내에 암이 확진된 경우를 조사하여 PET과 PET/CT의 판독결과와 비교하고 민감도와 특이도를 평가하였으며, 판독에서 명확한 결론을 내기 어려워 추가 검사를 권고한 경우를 분석하였다. 결과: PET 또는 PET/CT 검사 시행 후 1년이내에 암을 진단 받은 경우는 총 86건으로 전체 조사 대상의 1.7%(86/5,091)였다. PET과 PET/CT 검사를 합친 전체검사의 민감도는 48.8%였으며 특이도는 81.1%였다. PET 단독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46.2%, 81.4% 였으며, PET/CT 단독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5.0%, 78.5%였다. 판독에서 암이 의심되었던 경우와 판독에서 암이 의심되지 않았던 경우를 비교하여 보았으나 암부위, 조직학적 진단, 암 병기 등에서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ET과 PET/CT에서 양성 혹은 악성의 의미 있는 병변이 의심되거나 양성 및 악성을 구분하기 어려워 추가 검사를 권고한 경우는 전체의 19.3%(981/5,091)였다. 이중에서 두경부 및 상부 위장관 부위에 대한 추가 검사를 권고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무증상 성인의 건강검진에서 사용한 PET과 PET/CT 의 암 진단 정확도는 중간 정도로 평가되었다. PET과 PET/CT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대상집단의 연령이나 위험요인과 같은 임상적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검사법과 판독 기술의 향상이 필요하며, 검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진자가 현명한 선택을 하도록 하여야 한다.

가축분뇨 시용이 총체 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vestock Manure Application on the Productivity of Whole Crop Rice, Feed Value and Soil Fertility)

  • 임영철;윤세형;정민웅;김원호;김종근;이종경;서성;박남건;육완방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87-296
    • /
    • 2007
  • 본 시험은 논에서 가축분뇨를 활용한 총체벼 재배 시 생육특성, 수량, 사료가치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간 축산과학원(수원) 포장에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장은 품종 간에는 추청벼에서 길었으며 가축분뇨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발효우분구 순이었다. 주당 경수는 수원468호보다 추청벼가 많았으며 가축분뇨의 종류 간에는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 화학비료구> 발효우분구 순으로 적었다. 시용방법 간에는 수원468호는 차이가 없었으나 추청벼는 가축분뇨 100%구> 가축분뇨 75%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100% + 화학비료 25%구 순이었다. 식물체중 질소 함량은 돈분액비구 2.61%, 발효우분구 1.60%, 발효돈분구 1.33%, 화학비료구 1.07%순으로 가축분뇨를 시용한 경우 모두 높았다. 시용방법 간에는 가축분뇨 100%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75% + 화학비료 25%구> 가축분뇨 100%구 순이었다. 등숙률은 식물체내에 질소 함량이 높았던 처리에서 낮아졌다. 건물수량은 화학비료구에 비하여 돈분액비구 7%, 발효돈분구 15%, 발효우분구 8% 증수되었다. 시용방법 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 간에는 수원 468호보다 추청벼가 증수되었다. TDN 수량도 건물수량과 같은 경향 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가축분뇨시용으로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RFV는 화학비료구> 발효우분구> 발효돈분구> 돈분액비구 순이었다. 토양의 화학성은 pH, 유기물, T-N는 대차 없으나 인산은 가축분뇨 시용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고 중금속 중 Cu와 Zn은 돈분액비구, 발효돈분구에서 증가되었으나 발효우분구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따른 생산성 및 사료가치 비교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at Mixture of Annual Legumes and Italian ryegrass on Paddy Field)

  • 김원호;김기용;정민웅;지희정;임영철;서성;김종덕;윤봉기;이효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38
    • /
    • 2011
  • 본 연구는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의한 생산성을 구명코자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수행하였다. 처리내용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코윈어리 품종) 단파에 자운영, forage pea, crimson clover 그리고 hairy vetch을 혼파하는 5처리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비율은 단파 기준으로 70:30 비율로 혼파하였다.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와 두과 사료작물 혼파에 의한 건물률은 23.6~26.8%였고 혼파에 따른 건물률은 비슷하였다. 그리고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와 혼파에 의한 생초 및 조단백질 수량은 각각 ha당 40,100 kg, 그리고 625 kg/ha으로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또한 건물수량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 그리고 hairy vetch 혼파시 ha당 각각 9,470 kg 그리고 9,500 kg 유의적으로 많았다(p<0.05).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 혼파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이 78 mg /kg으로 많았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 K 함량보다 혼파시 0.52~0.88$cmol^+$/kg으로 훨씬 높았다. 따라서 논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forage pea을 혼파하여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의 증가 및 재배의 안정성 제고에 효과적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단파보다는 혼파재배가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HPLC-PDA를 이용한 국내 유통 농산물 중 ametoctradin 잔류량 분석법 개발 및 검증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for Ametoctradin Residue Determination in Domestic Agricultural Commodities by HPLC-PDA)

  • 도정아;권지은;이은미;김미라;국주희;조윤제;강일현;김형수;권기성;오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85-292
    • /
    • 2013
  • Ametoctradin은 triazolopyrimidine계에 속하는 살균제로 역병탄저병을 예방하는 약제이다. 증기압은 $2.1{\times}10^{-10}$ Pa ($20^{\circ}C$)으로 매우 낮아 분석을 위한 기기로 LC를 선택하였으며, HPLC-PDA기기를 사용하여 210 nm에서 400 nm까지 스캔한 결과, 최대흡광파장을 292 nm으로 확인하고 이를 분석파장으로 선택하였다. 추출용매는 물질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methanol로 선정하였으며, 액-액 분배 및 정제과정에서는 약제의 n-octanol/water 분배계수($logP_{ow}$, $25^{\circ}C$)가 4.40 (pH 7, $20^{\circ}C$)의 비극성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가짐을 고려하여 액-액 분배 단계에서는 dichloromethane, 정제 단계에서는 acetone/hexane (30/70, v/v)을 분석을 위한 용매로 사용하였다. 특히, 컬럼 충진제로 유지, 색소의 비용출성이 우수하고 극성의 물질을 넓은 범위에서 흡착하는 특성을 가지는 florisil을 선택하여 약제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었다. 본 분석법은 회수율 측정(71.9-112.6%)을 통해 코덱스 가이드라인(CAC/GL 40)인 회수율 70-120%, 분석오차 10 미만에 적합함을 보여주어 분석법의 정확성을 확인하였으며, LC-MS를 통한 재확인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시험법의 신뢰성과 선택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재현성을 위해 실험실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RSDR(%)는 >0.01 mg/kg, ${\leq}0.1\;mg/kg$범위에서 3.02-14.63%, >0.1 mg/kg범위에서 1.27-7.67%로 코덱스 가이드라인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험법은 농산물에 잔류하는 ametoctradin을 분석하기 위한 공정 시험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lorella vulgaris CHK0008 시비가 유기농 딸기와 엽채소의 저장성과 신선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lorella vulgaris CHK0008 Fertilization on Enhancement of Storage and Freshness in Organic Strawberry and Leaf Vegetables)

  • 김민정;심창기;김용기;박종호;홍성준;지형진;한은정;윤종철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6호
    • /
    • pp.872-878
    • /
    • 2014
  • 이 연구는 생물비료로서 클로렐라(Chlorella vulgaris) 분무처리에 의한 유기농 딸기와 엽채류의 신선도와 저장성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클로렐라 균주 CHK0008은 유기농 벼재배 논의 담수에서 분리하였으며 형태적 특징과 18S rDNA와 23S rDNA 염기서열 비교에 의해 C. vulgaris로 동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C. vulgaris CHK0008 균주는 BG11 변형배지(BGMM)에서 잘 배양되었으며 UV/VIS 분광광도계로 6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을 때 1 OD의 C. vulgaris CHK0008는 $2.15{\times}10^6cell/mL$ 농도로 개산하였다. 클로렐라(C. vulgaris)의 엽면처리구와 무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설향'과 '육보' 딸기 품종의 당도가 각각 22.2%, 11.5% 향상되었다. 또한 엽면처리구의 '설향'과 '육보' 딸기 품종의 부패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각각 63.8%와 74.4% 감소하였다. 엽채류인 상추, 케일, 붉은 케일, 흰 케일, 비트의 엽색 변화 및 백화현상이 저온저장 10일 후 물만 분무 처리한 무처리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25% C. vulgaris 배양액을 엽면 처리한 엽채류를 $4^{\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부패율이 무처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배 품종별 꽃받침 탈리와 유전 양식 (Calyx Abscission in Pear (Pyrus spp.) Cultivars and Its Inheritance)

  • 강삼석;김윤경;최장전;조광식;원경호;이한찬;유덕준;이희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790-797
    • /
    • 2013
  • 배는 꽃이 진 후 꽃받침의 탈리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품종에 상관없이 꽃받침이 남아 있는 과실은 과정부가 비대하여 돌출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남방형 동양배 120품종, 북방형 동양배 52품종 및 서양배 34품종을 대상으로 꽃받침 탈리 여부에 따른 무체과 또는 유체과로의 발달 유무를 조사하고, 남방형 동양배 품종 간의 교배 조합 후대 실생의 유체과 발생률을 조사하여 꽃받침 탈리에 대한 유전 양식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이거나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무체과와 유체과가 혼재되어 발생하는 품종의 비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방형 동양배, 북방형 동양배, 서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품종의 비율이 높은 반면 서양배, 북방형 동양배, 남방형 동양배순으로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품종의 비율이 높았다. 꽃받침의 탈리 정도가 다른 품종 간의 교배에서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10% 이하인 실생이었으며, 양친이 모두 유체과 발생률이 90% 이상인 경우에는 대부분의 후대가 유체과 발생률이 높은 실생이었다. 무체과 품종이 화분친인 경우에는 종자친의 유체과 정도와 상관없이 무체과인 후대가 많은 반면, 종자친이 무체과이고 화분친이 다양한 수준의 유체과 발생률을 나타낸 교배 조합의 경우에는 후대에서 무체과와 유체과 실생의 비율이 유사한 경향을 보여 꽃받침의 탈리는 종자친보다는 화분친의 특성을 더 많이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꽃받침의 탈리 유무는 질적 형질이며 꽃받침의 탈리층 형성을 촉진하는 유전자들이 우성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섬유 폐수 활성 슬러지에서 분리한 Comamonas testosteroni의 생물학적 페놀 분해 (Biodegradation of Phenol by Comamonas testosteroni DWB-1-8 Isolated from the Activated Sludge of Textile Wastewater)

  • 권해준;최두호;김미경;김동현;김영국;윤혁준;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6-161
    • /
    • 2020
  • 산업화 이후 다양한 화학물질의 생산과 이용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지만 그로 인한 대량의 폐기물 방출은 필연적이며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물질의 노출은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광범위한 석유화학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독성 난분해성 방향족화합물이 토양, 지하수, 폐수 등에서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 합성섬유, 염료, 살충제, 방부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페놀은 주요 오염물질이며, 호흡곤란, 두통, 구토, 돌연변이, 발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분해균주인 DWB-1-8을 섬유폐수에서 분리, 동정하였으며 16S rRNA유전자 염기서열분석결과 Comamonas testosteroni로 동정 되었다. 본 실험 균주의 최적 생장 및 최적페놀분해 배양 조건은 0.7% K2HPO4, 0.6% NaH2PO4, 0.1% NH4NO3, 0.015% MgSO4·7H2O, 0.001% FeSO4·7H2O, 초기 pH 7 및 30℃ 였으며, 다른 독성 화합물인 벤젠, 톨루엔 혹은 크실렌(BTX)을 유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