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lk vesicl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고유종 돌마자의 난자형성과정 (Oogenesis of Microphysogobio yaluensis (Pisces, Cyprinidae) in the Korean Endemic Species)

  • 김재구;류동석;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2-257
    • /
    • 2017
  • 잉어목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난소 내 생식세포들의 형태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자형성과정 (oogenesis)은 크게 염색인기 (chromatin-nucleolus stage), 주변인기(peri-nucleolus stage), 난황형성기(vitellogenesis)의 난황포 및 난황구기와 성숙(mature stage)의 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에는 배포가 크게 형성되며 실모양의 염색질이 산재되어 있다. 주변인기에는 핵 내에 산성의 인들이 핵막인근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난막(egg envelope)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난황형성기의 난황포 단계에서는 세포질의 대부분이 텅빈 공포모양의 난황포로 구성되며, 발생이 진행되면서 난황구 단계에서는 난황포 사이에 eosin에 염색되는 난황과립으로 대체되었다. 성숙단계에 도달한 난세포에는 많은 난황구들이 하나의 커다란 난황괴(yolk mass)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 시기의 난세포의 난막은 세포질과 여포세포층 사이에 얇게 형성되었다.

피라미(Zacco platypus)의 난자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ogenesis of Pale Chub (Zacco platypus))

  • 장성재;김동희;류동석;등영건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3호
    • /
    • pp.63-74
    • /
    • 1995
  • The development of pale chub oocyte from the immature oogonium to mature oocyte was investigat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The cytoplasm of pale chub oogonia was acidic and many vesicles were located at inner side of nuclear membrane. In primary oocytes, yolk vesicles were distributed in cytoplasm. Also, fibrous materials and protuberances were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zona radiata. The nucleus of secondary oocyte was enlarged and yolk vesicles in cytoplasm migrated to zona radiata. In early egg, yolk mass are formed and yolk vesicles were located at inner side of zona radiata. Three-layered zona radiata was about $3{\mu}m$ in thickness. The three layers were an outer fibrous material layer, a middle nurse cell layer in which microvilli of early egg cytoplasm contact with processes of nurse cells, and an inner layer with high electron density. In mature egg, euchromatin and a germinal vesicle were developed, mitochondria, free ribosomes, and yolk mass were distributed in cytoplasm. But, yolk vesicles were disappeared. Specially, zona radiata of matured eggs were better thin than the one of immature eggs In conclusion, it is summerized that the oogenesis of pale chub were the increase of cell size, the formation and accumulation of yolk, the decrease in nucleat electron density, changes of zona radiata, and the development of microvilli.

  • PDF

Ultrastructural Studies on Oocyte Differentiation and Vitellogenesis in the Oocytes of Female Kareius bicoloratus in Western Korea

  • Jun, Je-Cheon;Gang, Hee Woong;Lee, Ki-Young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3호
    • /
    • pp.213-223
    • /
    • 2018
  • Ultrastructural studies on oocyte differentiation and vitellogenesis in the oocytes of female Kareius bicoloratus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Golgi complex in the cytoplasm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yolk vesicles that contain yolk carbohydrates in the yolk vesicle of oocytes in the early vitellogenic phase. In this phase, many pinocytotic vesicles (PVs), which are formed by pinocytosis, contain yolk precursors (exogenous substances). These substances are associated with exogenous heterosynthetic vitellogenesis. In yolked oocytes in the late vitellogenic phase, two morphologically different bodies, which formed by modified mitochondria, appear in oocytes. One is a multivesicular body (synthesized by autosynthetic vitellogenesis), and the other is a yolk precursor (an exogenous substance formed by heterosynthetic vitellogenesis). The multivesicular bodies (MVB) are taken into the yolk precursors (YP) and are transformed into primary yolk globules. However, after the YP mix with exogenous PVs near the zona pellucida, they are transformed into primary yolk globules. Vitellogenesis of this species occurs via endogenous autosynthesis and exogenous heterogenesis. Vitellogenesis occurs through endogenous autosynthesis, which involves the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MVB formed by modified mitochondria. However, heterosynthesis involves pinocytotic incorporation of extraovarian precursors (such as vitellogenin in the liver) into the zona pellucida (via granulosa cells and thecal cells) of the yolked oocyte.

한국 서해산 암컷 덕대 Pampus echinogaster (Basilewsky)의 난형성과정 중 난모세포 발달과 난모세포 내에서의 난황형성과정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Ultrastructural Studies on Oocyte Development and Vitellogenesis in Oocytes During Oogenesis in Female Pampus echinogaster in western Korea)

  • 김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231-1243
    • /
    • 2016
  • The ultrastructural study on oocyt development and the process of vitellogensis in the oocytes during oogenesis in female Pampus echinogaster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In the previtellogenic phase, in particular, several intermitochondrial cements appear in the cytoplasms of the chromatin nucleleolus oocyte and perinuclear oocyte. The number of intermitochondrial cements are associated with the multiplication of the number of mitochondria in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 In the early vitellogenic phase, the Golgi complex in the cytoplasm of the yolk vesicle oocyte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yolk vesicles containing carbohydrate yolks. At this time, many pinocytotic vesicles containing yolk precursors (exogenous substances) by pinocytosis are observed in the cytoplasm near the region of initial formation of the zona pellucida. In the late vitellogenic phase, two morphological different bodies, which formed by the modified mitochondria, appeared remarkably in the yolked oocytes. The one is the multivesicular bodies and another is yolk precursors. The multivesicular bodies were transformed into the primary yolk globules, while yolk precursors were connected with exogeneous pinocytotic vesicles near the zona pellucida. After the pinocytotic vesicles were taken into yolk precursors, the yolk precursors were transformed into the primary yolk globules. Thereafter, primary yolk globules mixed with each other, eventually, they developed into secondary and tertiary yolk globules. In this study, vitellogenesis of this species occurred by way of endogenous autosynthesis and exogenous heteogenesis. Vitellogenesis occurred through the processes of endogeneous autosynthesis, involving the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multivesicular bodies formed by modified mitochondria. However, the process of heterosynthesis involved pinocytotic incorporation of extraovarian precursors (such as vitellogenin in the liver) into the zona pellucida (by way of granulosa cells and thecal cells) of vitellogenic oocytes.

금강모치와 버들치 난모세포의 표피 구조 (Structure of Oocyte Surface in Two Korean Minnow Species, Rhynchocypris kumgangensis and R. oxycephalus (Pisces: Cyprinidae))

  • 곽진영;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6-23
    • /
    • 2007
  • 한국산 버들치속 (Rhynchocypris) 어류인 버들치 (Rhynchocypris oxycephalus)와 금강모치 (Rhynchocypris kumgangensis) 난모세포의 난막구조에 대해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두 종에 있어서 난형성과정은 비슷했으나 난모세포를 둘러싸는 여포세포층(follicular layer)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였다. 버들치는 난황포(yolk vesicle)시기에 있어 여포세포층은 안쪽에 입방형 또는 둥근모양의 세포층(inner follicular layer)이 난막위에 형성되고 그 바깥쪽으로 편평세포층(outer follicular layer)의 2층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난모세포의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inner follicular layer의 입방형세포는 원주형세포(columnar cell)로 바뀌게 된다. 난황구(yolk granule)시기에 원주형세포는 세포질에 부착물질인 mucin을 분비해서 난세포 전체를 둘러싸게 된다. 반면에 금강모치의 경우 버들치와 마찬가지로 난황포시기에 안층의 입방형 또는 둥근모양의 세포층과 바깥층의 편평세포층을 가지게 되지만 안층의 세포는 더 이상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부착물질 또한 형성되지 않았다. 이처럼 한국산 버들치속에 있어 난막의 구조적 차이는 두 종간에 뚜렷한 분류형질로도 이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들의 서식처 및 산란습성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경골어류 시클리드과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Kribensis, Pelvicachromis pulcher, Cichlidae, Teleostei)

  • 김동희;장병수;등영건;권중균;이명선;이귀영;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2호
    • /
    • pp.65-71
    • /
    • 2010
  • 경골어류, 시클리드과(Cichlidae)에 속하는 크리벤시스(Pelvicachromis pulcher)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크리벤시스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황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초기난원세포는 진한 파란색으로 염색되었으며 발달함에 따라서 난원세포의 세포질은 hematoxylin으로 초기의 난원세포에 비하여 파란색으로 낮게 염색되었으며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초기시기의 난원세포와 같이 핵막 안쪽에만 배열하는 특징을 보였다 발달함에 따라서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커졌으며 초기 난원세포에 비하여 색상은 좀 흐려져 보라색에 가깝게 관찰되었고 난막은 관찰되지 않았다.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일부 난황포는 작은 난황괴를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나 핵 주변부에서는 난황괴 형성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황포는 더욱 발달하여 난황괴(yolk mass)를 이루고 있었고 성숙난의 난황괴를 확대한 결과 난황괴속에 염색밀도가 낮은 다각형 또는 타원형의 결정구조물들이 채워져 있었다. 이상과 같이 크리벤시스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난황포의 배열방식과 난황괴의 형태는 다른 종과 구별되는 종특이성이다.

안점의꽃갯지렁이(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의 난모세포의 난황립형성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Oocytes Related to the Yolk Formadon dudng Oogenesis of 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

  • 강화선;이양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17-227
    • /
    • 1991
  • 안점의꽃갯지렁이(Pseudopotamilla occelata Moore)의 난모세포의 난자형성과정을 알기 위해서 multivesicular body와 미토콘트리아의 난자형성단계에 따른 구조적 변화르르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난황립의 전구체인 multivesicular body는 직경 50 $\mu$m의 난모세포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여, 난자형성의 진행에 따라 그 내부의 소낭들과 막 구조물들이 구조적 변화를 거치고 서로 융합하여 난황립의 core body의 전구체를 형성한다. 130 $\mu$m의 난모세포에서 세포질의 여러 다른 소낭들이 합쳐지고 또한 여러 개의 core body가 서로 융합하는 과정을 거쳐서 균일한 높은 전자밀도를 나타내는 난황립을 형성한다. 미토콘트리아는 특히 난자형성 초기에 cristae가 소낭형태로 변화하고 미토콘트리아 기질이 비교적 높은 전자밀도를 나타내는 물질로 차있는 변형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위의 관찰은 변형된 미토콘트리아가 multivesicular body를 이루어 난황립을 형성하게 된다는 사실을 암시하였다.

  • PDF

갈치 Trichiurus lepturus 난자형성과정의 조직학적 기재 (Histological Description of Oogenesis in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Teleostei: Trichiuridae))

  • 신소령;김현진;오한영;김재원;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59
    • /
    • 2022
  • 연구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성 성숙과 생식생물학적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와 핵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핵에 대한 인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H-E 염색 결과, 세포질의 염색성은 호염기성에서 호산성으로 변하였다. 난황형성개시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약 63.2 (±12.7) ㎛였다. 세포질에서는 호산성의 난황핵이 관찰되었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216.6 (±24.7) ㎛였으며, GVBD (germinal vesicle breakdown)가 관찰되었다. 완숙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317.9 (±80.9) ㎛였으며, 방사대의 두께는 4.2 (±1.7) ㎛였다. 난모세포의 발달형태는 난군동기발달형에 속하며, 난황 축적은 대부분의 경골어류와 마찬가지로 외재적 방법과 내재적 방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멸종위기 어류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난자형성과정과 난막의 형태 (Structure of Egg Envelope and Oogenesis of the Korean Endangered Fish Gobiobotia brevibarba (Pisces: Cyprinidae))

  • 최웅선;김재구;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79-184
    • /
    • 2014
  • 잉어과(Pisces, Cyprinidae)에 속하는 멸종위기 어류인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의 난막미세구조 및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2014년 5월의 돌상어 난소 내에는 다양한 발생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난모세포들의 상대면적은 성숙란(74.5%), 난황물질이 형성되는 난황구기(16.6%), 난황포기(6.6%), 그리고 미숙한 발달단계인 주변인기(2.3%)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변인기 단계의 세포질은 hematoxylin에 강하게 염색되며, 핵막의 안쪽에는 다수의 인들이 존재하였다. 난황형성물질인 난황포기와 초기 난황구기 단계에서는 여포층과 방사대가 뚜렷하게 형성되기 시작되었으며, 방사대 위에는 미세융모의 난막구조가 더욱 뚜렷해졌다. 난황구기 및 성숙란의 단계에서는 난황구 일부가 융합되면서 강한 호산성을 보였다. 또한 성숙란의 표면에는 깔때기 모양의 난문이 관찰되었으며, $2{\sim}3{\mu}m$ 길이의 미세융모가 일정하게 분포하였다.

경골어류 잉어과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 (The Oogenesis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dae, Teleostei)

  • 김동희;김완종;등영건;김석;이규재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10
  • 경골어류,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의 난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쉬리의 난소는 한 쌍으로 부레와 창자사이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회색을 띠었다. 난소의 형태는 장타원형(장축 20 mm, 단축 5 mm)이었다. 난원세포는 다각형으로 세포질은 호염기성이었고 핵 안에 여러 개의 인들이 분포하고 있었다. 초기시기의 제1난모세포(primary oocyte)는 난원세포에 비하여 크기가 커졌으며 난황포(yolk vesicle)들은 핵 주변부에는 관찰되지 않았고 세포질의 가장자리에만 국한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제1난모세포가 발달함에 따라서 난황포는 바깥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증식되어 핵 쪽으로 이동되었으며 난막 바깥쪽은 짙은 푸른색의 여포상피(follicular epithelium)로 싸여 있었다. 그러나 핵의 주변부는 아직 푸른색을 띠고 있었다. 제2난모세포는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호산성이었으며 난황포가 세포질 전체에 분포하였다. 성숙한 난자는 난자의 크기가 상당히 커졌으며 난막이 두꺼워졌다. 또한 난황포는 난황괴(yolk mass)로 전환되었다. 이상과 같이 쉬리의 난자형성과정은 난세포의 크기 증가, 난황낭의 축적, 세포질 내 염기성 물질이 산성으로 전환 및 난막의 발달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다른 과의 담수경골어류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어종의 종특이성을 찾기 위해서 난막의 미세구조적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