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nyang Wuxing(陰陽五行)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의관(醫貫).현원부론(玄元膚論)"에 대한 번역 연구 (The Study of Translating "Yiguan.Xuanyuanfulun")

  • 김진호;박해모;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9-116
    • /
    • 2012
  • Objective : Zhao Xian-Ke(趙獻可) was a doctor in the Ming(明) Dynasty. His representing book is "Yiguan(醫貫)". It is considered as a requirement to study the Mingmen academy(命門學說). "Xuanyuanfulun(玄元膚論)", volume I of "Yiguan" intensively mentions his medical viewpoint. The study investigates Zhao's medical perspectives by studying "Xuanyuanfulun". Method : "Xuanyuanfulun" is translated. "Yiguan" published by Chinese Medicine(中國中醫藥) Publish was used as basis. "Yiguan" published by Xuexiao(學苑) Publish was used for reference. I checked and researched for several parts shown in "Suwen(素問)" and "Lingshu(靈樞)". I researched for 'Master(主)' of a human being. Result : 1. 'Master' of a human being is intangible Huo(火) in Mingmen. 2. It may be hard for me to assent to the opinion of Zhao Xian-Ke that the inferior twelve organs should be regarded as inferior eleven organs naturally. 3. Yinyang(陰陽) is to relatively cope with a situation and its wonders are within Wu(無). 4.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Yang, Huo and Qi(氣). 5. The study separates the date (year, month, date and time) into yin and yang and the causes of an illness are found based on the concept and its treatment shall be performed. 6. Among Wuxing(五行), Shui(水) and Huo are especially important. 7. There are intangible Shenshui(腎水) and intangible Xianghuo(相火) separately from the Shui and huo of Xinshen(心腎). Conclusion : The medical philosophy of Zhao Xian-Ke has been deeper. In addition, it will provide much help while understanding volumes 2 - 6 of "Yiguan" and apply to the clinical tests. I think it is not the problem, which is the right meaning of 'Master' in the "Xin is monarch of the organs" of "Suwen Linglanmidianlun(靈蘭秘典論)" or 'Master' that concerned by Zhao Xian-Ke, but it is just the different sight of the human being.

『주역(周易)』의 자연관찰과 과학적 방법론에 관한 연구 - 『주역(周易)』에 나타난 현대자연과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e observation and Scientific methodology in Zhōuyì周易 - Focusing on its association with Contemporary Science)

  • 신정원
    • 동양고전연구
    • /
    • 제71호
    • /
    • pp.99-128
    • /
    • 2018
  • "주역(周易)"은 우주세계 온갖 만물의 모습과 작용을 관찰하여 팔괘로 추상화하고 서법(筮法)의 수단으로 계산하고 귀납하여 인간의 일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관찰', '계산', '귀납' 등의 측면에서 "주역" 과학적 사유의 원류를 발견한다. "주역"의 자연과학적 사고는 근대과학을 주도하였던 서양의 사유방식과는 구별된다. 서양과학에서는 대상을 원자로 분리하고 인과적으로 분석하여 자명한 결론을 도출하려 하였지만 "주역"은 만물의 동태적 기능과 변화를 관찰하고 연구하여 종합적으로 통섭하려 하였다. "주역"의 사유방식이 근대과학의 발전 단계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는 동안 서양의 과학방법은 16-17세기의 계몽시기를 거치면서 중국을 압도하여 현대에 이른다. 이 논문은 "주역"에서 발견한 과학적 사유의 흔적을 통해 그것이 현대과학의 이론들과 공유될 수 있는 지점을 논한다. 그 근거는 "주역"에 제시된 자연관찰과 방법론 등이다. 나아가 "주역"의 주요개념들에 나타난 현대자연 과학적 함의를 고찰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는 논지는 크게 나누어 두 가지이다. 그 하나는 "주역"이 과연 과학인가 라는 의문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원시 과학으로 시작한 "주역"에서 현대 과학적 사유를 발견하여 그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첫 번째 과제를 위해 과학역(科學易)의 역학사적(易學史的)의미를 검토하고 "주역"의 자연관찰과 자연과학 방법론을 고찰한다. 두 번째의 논증은 원시과학에서 근대과학 및 현대과학으로의 변천에 있어 그 과학적 인식의 변화가 "주역"의 인식과 어떻게 차이점을 가지는지 혹은 유사점을 가지는지 검토하여 "주역"과 현대과학에 나타난 특징을 비교 고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