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ield potential

검색결과 1,397건 처리시간 0.029초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가 국내 가을 쌀보리의 잠재수량에 미치는 영향 모사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on the Potential Yield of Winter Naked Barley in Korea)

  • 심교문;민성현;이덕배;김건엽;정현철;이슬비;강기경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2-203
    • /
    • 2011
  • 보리생육모형인 CERES-Barley 모형을 적용하여, 한반도 A1B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국내 쌀보리의 잠재수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생육 모의 지역은 30년 평년의 기상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56개 지역으로 하였고, 생육모의 연도는 현재 30년 평년(1971-2000년, 기준 연도)과 세가지의 미래 30년 평년(2011-2040, 2041-2070, 2071-2100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온도 효과(온도 변화 및 $CO_2$ 농도 고정), $CO_2$ 효과(온도 고정 및 $CO_2$ 농도 변화), 온난화 효과(온도 및 $CO_2$ 농도 변화) 등 세가지 생육모의 환경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쌀보리의 잠재수량 변화를 평가하였다. CERES-Barly 모형은 국내 쌀보리의 발육단계뿐 아니라 수량을 실제 관측값과 아주 유사하게 모의하여 ($R^2$=0.78),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쌀보리 잠재수량의 변화 예측에 활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온도효과 분석에서는 미래의 온도상승으로 쌀보리의 잠재수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즉, 세가지 미래 기후조건에서 쌀보리의 평균 잠재수량은 기준연도에 비해 각각 9, 17, 34%씩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반면에, $CO_2$ 효과분석에는 세가지 미래 기후조건에서 쌀보리의 평균 잠재수량이 기준연도에 비해 각각 6, 20, 31%씩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마지막으로, 온난화 효과 분석에서는 미래 기후조건에서 쌀보리의 평균 잠재수량이 기준연도에 비해 각각 8, 15, 13%씩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1B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겉보리 잠재생산성 변화 예측 (Assessing Impacts of Temperature and Carbon Dioxide Based on A1B Climate Change Scenario on Potential Yield of Winter Covered Barley in Korea)

  • 심교문;이덕배;민성현;김건엽;정현철;이슬비;강기경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317-331
    • /
    • 2011
  • 보리 생육모형인 DSSAT의 CERES-Barley를 적용하여, 한반도 A1B 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량을 평가하였다. 생육 모의 지역은 30년 평년의 기상자료가 구축되어 있는 56개 지역으로 하였고, 생육 모의 연도는 기준연도(1971~2000년)와 3가지 미래 30년 평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으로 하였다. 그리고 온도효과 분석(온도 변화, $CO_2$ 농도 고정), $CO_2$효과 분석(온도 고정, $CO_2$ 농도 변화), 온난화효과 분석(온도 및 $CO_2$ 농도 변화) 등 3가지 생육모의 환경으로 구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성 영향을 평가하였다. CERES-Barly 모형은 국내 겉보리의 발육단계뿐 아니라 수량을 실제 관측값과 아주 유사하게 모의하여($R^2=0.84$), 기후변화에 따른 겉보리의 잠재생산성 변화 예측에 활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생육 모의 조건별 결과를 나타내면, (1) 온도효과 분석에서, 미래의 온도상승이 상대적으로 낮은 2011~ 2040년 생육 모의 연도의 잠재수량은 기준년도와 비슷한 반면에, 온도상승 정도가 큰 2041~2070, 2071~2100년의 미래 기후조건에서는 잠재수량이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6, 20%씩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2) $CO_2$ 효과 분석에서, 3가지 미래 기후조건(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에서 겉보리의 평균 잠재수량이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12, 28, 43%씩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3) 온난화효과 분석에서, 미래 생육 모의 연도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 잠재수량은 기준년도에 비해 각각 13, 21, 19%씩 증가하였다.

봄배추의 시비반응(施肥反應)에 미치는 토양수분(土壤水分) Potential의 영향(影響) (Fertilizer Responses of Chinese Cabbage to Soil Water Potential)

  • 엄기철;손응용;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8-105
    • /
    • 1983
  • 토양수분조건에 따른 시비반응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본량(本良) 사양토(砂壤土)에서 토양수분처리($M_0$무관수, $M_1$-0.1~-1.0bar, $M_2$-0.1bar~-0.5bar, $M_3$-0.1~-0.2bar)와 시비수준(施肥水準)(N-P-Kkg/10a, 0-0-0, 11.5-10-12.5, 23-20-25, 34.5-30-37.5)을 달리하여 봄배추의 생육상태(生育狀態), 물소모량(消耗量), 양분흡수량, 비료이용율(肥料利用率), 수량 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20cm 깊이에서 토양수분 Potential이 -2.0bar 이하(以下)일 때 물소모량은 감소(減少)하였고 비료(肥料)에 의(依)한 생장량(生長量)의 증가는 없었다. 2) 배추의 양분흡수량(養分吸收量)은 시비량(施肥量)의 증가에 따라 토양수분 Potential이 낮을 때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고, 토양수분 Potential이 높을 때는 증가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이용율(利用率)은 토양수분 Potential과 시비수준(施肥水準)이 정비례관계(正比例關係)에 있어야 이용율(利用率)이 증대되었다. 4) 봄배추의 수량(收量)은 토양수분 Potential이 낮을 때에는 시비량(施肥量)을 증가시켜도 증수가 없었으며, 토양수분 Potential이 높을 때에는 각(各) 시비수준(施肥水準) 공(共)히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고 그 효과(效果)는 다비수준(多肥水準)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5) 토양수분 Potential을 높게 유지(維持)시킬 경우(境遇)에는, 시비량(施肥量)을 증가시킴에 따라 봄배추 수량(收量)이 거의 직선적(直線的)인 증가경향을 보여, 최대수량을 낼 수 있는 비료요구량(肥料要求量)이 크게 증가되었다.

  • PDF

이상공정이론 및 하이브리드 박막/쉘 방법을 이용한 박판성형품의 충돌거동 해석 (Incorporation of Sheet Forming Effects in Crash Simulations Using Ideal Forming Theory and Hybrid Membrane/shell Method)

  • 류한선;정관수;윤정환;한정석;윤재륜;강태진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8-151
    • /
    • 2003
  • In order to achieve reliable but cost-effective crash simulations of stamped parts, sheet forming process effects were incorporated in simulations using the ideal forming theory mixed with the 3D hybrid membrane/shell method, while the subsequent crash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a dynamic explicit finite element code. Example solutions performed for forming and crash simulations of I- and S-shaped rails verified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cost-effective without sacrificing accuracy. The method required a significantly small amount of additional computation time, less than 3% for the specific examples, to incorporate sheet forming effects to crash simulations. As for the constitutive equation, the combined isotropic-kinematic hardening law and the non-quadratic anisotropic yield stress potential as well as its conjugate strain-rate potential were used to describe the anisotropy of AA6114-T4 aluminum alloy sheets.

  • PDF

담수산 어류 꺽지 (Coreoperca herzi)의 자원 평가 및 관리 방안 연구: 섬진강 중.상류 수계에서 꺽지의 자원량 및 잠재생산량 추정 (2)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Korean aucha perch (Coreoperca herzi) in Freshwater: (2) Estimation of Potential Yield Assessment and Stock of Coreoperca herzi in the Mid-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4권2호
    • /
    • pp.172-177
    • /
    • 2011
  • 본 연구는 최적화된 자원량을 기반으로 최대 생산성을 얻을 수 있는 잠재생산량 추정을 통한 어족자원(꺽지)의 효율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섬진강 중 상류 수계에서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원량 추정은 소해면 적법(Swept Area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잠재생산량은 생물학적 허용어획량(Allowable Biological Catch, ABC)에 기초한 어족자원 잠재력 추정시스템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꺽지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가입당생산량모델(Beverton and Holt)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어획개시연령($t_c$)은 1.464 age로 나타났으며, 이를 체장으로 환산한 결과 7.8 cm(BL)로 확인되었다. 현재 어획강도를 나타내는 순간어획사망계수(F)는 0.061 $year^{-1}$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한가입당 생산량(Y/R)은 4.124 g로 추정되었다. 어획개시연령($t_c$)과 순간어획사망계수(F)를 기준으로 한 적정어획사망계수($F_{ABC}$)는 0.401 $year^{-1}$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현재 꺽지 자원에 대한 어획강도가 매우 낮은 상태임을 시사한다. 꺽지의 연간 자원량은 3,048 kg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어획개시연령과 적정어획사망계수를($F_{ABC}$)를 바탕으로 한 잠재생산량은 861 kg으로 추정되었다. 가입당 생산량 모델을 사용하여 어획개시연령을 3 age로 어획사망계수는 0.643 $year^{-1}$로 가정할 경우, 가입당 생산량은 현재의 4.12 g에서 13.84 g로 약 3.4배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Investigating production parameters and impacts of potential emissions from soybean biodiesel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 Ayoola, Ayodeji Ayodele;Adeniyi, David Olalekan;Sanni, Samuel Eshorame;Osakwe, Kamsiyonna Ikenna;Jato, Jennifer Doom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54-61
    • /
    • 2018
  • Biodiesel production parameters and the impact analysis of the potential emissions from both soybean biodiesel and washing water stored in three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reaction temperature, methanol/oil mole ratio and catalyst concentration on biodiesel yield were considered. And the results showed optimum biodiesel yield of 99% obtained at $54^{\circ}C$, 7 methanol/oil mole ratio and 0.4 wt/wt % catalyst concentration. The potential emissions from both the biodiesel produced and washing water stored (for six weeks) in refrigerator (${\leq}10^{\circ}C$), vacuum (50 kPa) and direct exposure to atmosphere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Impact analysis of the emissions involved their categorization into: terrestrial acidification, freshwater eutrophication, human toxicity, terrestrial ecotoxicity, climate change and freshwater ecotoxicity. Freshwater ecotoxicity category had the most pronounced negative impact of the potential emissions with $5.237710^{-2}kg\;1,4-DB\;eq$. emissions in Atmosphere, $4.702610^{-2}kg\;1,4-DB\;eq$. emissions in Refrigerator and $3.966110^{-2}kg\;1,4-DB\;eq$. emissions in Vacuum. Climate change had the least effect of the emissions with $6.214106^{-6}kg\;CO_2\;eq$. in Atmosphere, $3.9310^{-6}kg\;CO_2\;eq$. in Refrigerator and $1.6710^{-6}kg\;CO_2\;eq$. in Vacuum. The study showed that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storage environments of biodiesel is vacuum environment, refrigerated condition and exposure to atmosphere.

Effect of Food Waste Compost on the Antler-Type Fruiting Body Yield of Ganoderma lucidum

  • Jo, Eun-Young;Cheon, Jae-Lyoung;Ahn, Johng-Hwa
    • Mycobiology
    • /
    • 제41권1호
    • /
    • pp.42-46
    • /
    • 2013
  • The effects of the composition of a mixture containing food waste compost (FWC), rice bran (RB), and oak sawdust (SD) on the antler-type fruiting body (FB) yield of Ganoderma lucidum were studied.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0 (control), 5, 10, 15, 20, 25, 30, 35, and 40% (w/w) FWC added to a basal growth medium consisting of 20% (w/w) RB and 80% (w/w) SD. The content of 15% FWC gave the highest FB yield ($27.0{\pm}1.3$ g/bottle), which was 44% higher than the yield ($18.6{\pm}2.8$ g/bottle) of the control treatment. However, FWC contents of 20~40% showed reduced yield (2.4~23.0 g/bottle), partly because FWC had a high Na concentration (0.6%).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use of FWC as a component of a growth medium for production of G. lucidum FBs.

Interpret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esame Yield and It's components under Early Sowing Cropping Condition

  • Shim Kang-Bo;Kang Churl-Whan;Seong Jae-Duck;Hwang Chung-Dong;Suh Duck-Yo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69-273
    • /
    • 2006
  •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rpret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same grain yield and its components under early sowing cropping condition. The t test showed that stem length,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1000 seeds weight and seed weight per plant gav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esame grain yield, therefore those variables were assumed to mostly influenced components to grain yield of sesame. In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ed equation for sesame grain yield per square meter (Y) was Y = -7.900 + 0.150X1 + 0.461X5 + 15.553X6 + 8.543X7. Meanwhile, F value showed that stem length,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seed weight per plant gav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esame grain yield, while 1000 seeds weight did not significantly show. Based on the results,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high yield. potential of sesame under early sowing cropping condition would be obtained by selecting breeding lines with long stem length, number of capsules per plant, and seed weight per plant, which was different result at the late sowing cropping condition in which days to flowering and maturity were assumed to be more affected factors to the sesame grain yield.

음식물쓰레기의 특성이 메탄생성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Effect of food waste properties on methane production)

  • 이수관;최홍림;이준희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3호
    • /
    • pp.11-22
    • /
    • 2014
  • 음식물 쓰레기는 산완충능(buffer capacity)이 충분하지 않아 포집과 운송기간 동안 유기산이 축적될 수 있고 몰리브덴이나 코발트와 같은 미량원소가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가축분뇨는 음식물 쓰레기와 혼합소화 시 부족한 메탄생성량을 보충할 수 있는 혼합기질로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성공적인 혐기공정 설계 및 안정적 운영을 위한 우리 나라 유래 대상기질의 실제성상 특징과 메탄가스 발생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8개 기초자치단체(강남, 강동, 송파, 영등포, 관악, 구로, 동작, 용산)의 음식물 쓰레기 중간 집하장이나 처리시설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채취하였다. 음식물 쓰레기의 고형물 함량은 평균 16%를 보였고 잠재 메탄발생량은 평균 $446.6STP-m{\ell}/g-VS$로서 $334.8{\sim}567.5STP-m{\ell}/g-VS$의 범위를 가진다. 우분의 고형물 함량과 잠재메탄 발생량은 각각 평균 26%과 $280.6STP-m{\ell}/g-VS$로 타나났다. 잠재 메탄발생량은 고위발열량, 지방 함량, 탄소함량, 수소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탄수화물 함량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2>0.8$). 따라서 이러한 기질특성 분석결과를 통해 잠재 메탄발생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기질과 잠재 메탄발생량을 분석하였으나 향후는 최대 메탄발생량을 위하여 혼합기질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수분조절제 등)의 최적조합을 결정하는 연구가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