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san Song'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5초

여산 송씨 일가 묘 출토 바지 고찰 (The Research for the Pant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Yeosan Song's Family)

  • 백영미;김정순;권영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1-400
    • /
    • 2007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nounce the research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for the 23 pair of pan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Yeosan Song's family at Mokdal Dong in Daejeon. Men and women wore the open-type over the close-type pants. Song Hyo-sang and Chungjoo Park wore the 1 or 2 pairs of the open-type pants over the 3 pairs of close-type pants. Song Hee-jong and his wife Sonhung An wore a pair of the open-style pants over the 1 or 2 pairs of pants. It was due to the shortage of goods by the war that Song Heejong had less shrouds than Song Hyosang. The pants were almost made of the cotton and the silk. The open-type pants worn inside was made of the cotton but outside was made of the silk. That time the cotton was used for the unlined underwears for the health and the protection against the cold and the hot. The silk was used for the outwear. In the construction type, 12 pairs of pants were unlined, 6 pairs of pants were quilted, 4 pairs of pants were padded, and 1 pair of pants was lined. All unlined were the close-type and the quilted and padded pants were the open-type, which were worn inside. Lined type was just one. In the wearing order of shrouds, type, textile, and constructive type, Song Hyosang and Chungjo Park were similar, Song Heejong and Sonhung An were similar.

여산송씨일가묘 출토 남자 포의 가장자리 구성법 연구 (A Study of Sewing Methods Used for the Hems of Men's Coat Excavated from the Tombs of Yeosan Song Clan)

  • 이주영
    • 복식
    • /
    • 제59권9호
    • /
    • pp.26-4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sew the hem of men's coat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Yeosan Song Clan's tombs that are thought to be formed between the late 15th and the late 16th centuries,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ndan, or inside facing was used to prevent the hem from being worn or swollen or to make the hem properly arranged. It was generally used for single-layered and cotton-quilted coat for men. Deotdan was used mainly for men's coat having oblique cutting lines and jemuldan for those having straight cutting lines. In single-layed coat for men, the width of andan was widened a little as the times moved from the late 15th to the late 16th century, but in cotton-quilted ones, the width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2. Fixing the lining and the upper was used as a method to prevent the lining of men's coat from being pushed out or the hem of the clothes from being swollen. The method was generally used for double-layered, cotton and cotton-quilted coat for men. The double back-stitching was usually used for double-layered and cotton coat for men and the broad-stitching for Cotton-quilted ones. 3. Among men's coat, those whose siding was partially opened were less spare in the lower end than those whose siding was wholly opened. For this reason, the former clothes were more likely to have the tip of the siding easily torn. To solve this problem, overhand knotting 1, overhand knotting 2 and lotus-flower knotting strings were used for men's coat whose siding was partially opened. Among the three types, lotus-flower knotting was most elaborate in form. For men's coat, overhand knotting became gradually replaced by lotus-flower knotting as the times moved from the late 15th to the late 16th century.

여산송씨 일가 묘 출토 직령교임식 남자 포의 조형 특성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Jik-Ryeong-Gyoim Style of Men's Coat Excavated from the Yeosan Song's Family Tombs)

  • 이주영
    • 복식
    • /
    • 제58권9호
    • /
    • pp.51-6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n's coat of Jikryeongkoim style that were excavated from the tombs of the Yeosan Song family.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Except Dapho, all of the above mentioned coat were usually worn in the late 15th and late 16th centuries. Jikryeong and Cheolik were often worn in both of the centuries. But Aekjureum was often worn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Jikryeong with no side hem and Jikryeong of Dopo style, in the late 16th century. Generally, the men's coat of Jikryeongkoim style had a short fore part and a long rear part, doubled kalgit of banmokpan style and a narrow sleeve in the late 15th century, while fore and rear parts of the same length, kalgit of ordinary style and the sleeve of bean chaff shape in the late 16th century. In both of the centuries, the coat had the outer Seop that was doubled and used short, narrow coat strings to be adjusted. Samgakmu was used to Jikryeong with no side hem and Aekjureum. Out of the coat, those which were lined or padded or quilted with cotten used Samgakmu, but those which were unlined didn't. To adjust the coat, usually, a pair of short, narrow coat strings was used. The coat had the coat strings directly stitched on them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m by means of the coat string hanger.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 (The Cleaning of Costumes of Yeosan Song's Family Excavated at Mokdal-dong in Daejeon)

  • 백영미;권영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9-231
    • /
    • 2009
  • 본 연구는 대전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초중기의 여산송씨가 출토복식을 보존처리함에 있어 출토복식의 세척처리 현황을 조사하고 본 출토복식의 세척과정을 보고하여 앞으로 출토복식의 세척방안에 대한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은 15세기의 남자복식과 16세기중후반의 남녀복식을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출토유물은 모두 184점이 출토되었으며 면, 견, 마, 교직물 등 다양한 직물이 있었다. 여산송씨 출토복식의 세척은 직물의 상태와 오염을 분석한 후 진공흡입에 의한 고형오염을 충분히 제거하고 습식세척과 건식세척방법을 시행하였으며 1, 2차로 진행되었다. 습식세척의 경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LAS)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Triton X-100)를 사용하였고 건식세척의 경우 n-hexane과 n-decane(4:6) 혼합용제 및 석유계 드라이클리닝용제를 사용하였다. 1차 세척 후 빠지지 않은 얼룩이 있는 면직물이나 마직물의 경우 표백처리를 실시하였으며 견직물 중 상태가 좋은 것은 유기용제에 의한 건식세척을 재실시하였다.

  • PDF

출토복식의 보수방법에 관한 연구: 대전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s of the Excavated Costume: Focus on Excavated Costumes of Yeosan Song's Family at Mokdal-dong in Daejeon)

  • 하신혜;권영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61-17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질적인 출토복식의 보수를 통해서 보수방법의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출토복식의 경우 유기물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출토되는 순간 이미 위약한 상태이므로 출토복식에 대한 상태를 철저히 조사한 후 가능한 물리적 힘을 가하지 않는 방법으로 최소한의 보수만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보수하였다. 보수는 출토복식의 상태에 따라 보수 가능한 것을 분류하여 출토복식 직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최대한 안정하게 적용시켰다. 보수용 실의 경우는 강도가 약한 정련한 얇은 주아사의 실을 뽑아서 사용하거나 광열화시킨 명주실을 사용하였다. 보수용 직물은 직물의 종류에 따라 셀룰로오스 계 직물은 면직물을 견직물은 주아사나 명주를 정련하여 사용하였으며 일부는 비슷한 색을 내기위해 오리나무 염색과 감 염색을 하였고 방충 방균 처리를 위해 정향으로 염색한 천을 사용하여 보수하였다. 보수의 방법은 손상형태 및 복식의 구성양식에 따라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보수의 바느질법은 시침질, 홈질, 박음질, 공그르기, 감침질의 방법을 사용하여 훼손 부위와 상태에 적합한 바느질법을 선택하였다.

16~17세기 출토염직품의 염료와 매염제 분석 (Analysis of Dyes and Mordants of 16~17th Century Textiles Excavated from Daejeon)

  • 백영미;권영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9
    • /
    • 2012
  • 출토복식은 조선시대 복식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그 중에서도 염직물들은 복식의 문화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보존과학적 연구 및 유물복원을 위해 꼭 필요한 자료들이다. 그러나 매장환경에서 오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으면서 색은 변퇴색되었으며 발굴 후에도 점차 퇴색되어가므로 본래의 색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색, 황색, 자색, 청색의 천연염색포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이하 HPLC-PDA)에 의해 분석하고, 같은 방법으로 출토염직물에 남아있는 색소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출토직물의 염료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당시의 색을 추정하기 위해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하 SEM)에 연결된 에너지 분산형 원소분석장치(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이하 EDX)를 이용하여 매염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16~17세기 출토직물편으로 대전시 송천동 출토 은진송씨 송문창 출토직물 2점과 대전시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송희종 출토직물 1점 등 3점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alizarin, purpurin, indigo, ellagic acid 등의 색소가 검출되어 꼭두서니-쪽의 중복염색, 꼭두서니 염색, 석류-쪽의 중복염색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매염제로는 모든 유물에서 Al이 검출되었다.

북한산 조계동 송계별업(松溪別業) 정원 복원을 위한 경관해석 (A Study on the Landscape Interpretation of Songge Byeoleop(Korean Villa) Garden at Jogyedong, Mt. Bukhansan near Seoul for the Restoration)

  • 노재현;송석호;조장빈;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7
    • /
    • 2018
  •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조영된 송계별업의 장소성과 별업의 정원상 및 경관상을 추적하여 송계별업 원림의 복원을 전제로 한 경관해석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송계별업은 인조의 3남이자 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 이요가 인조 24년에 조성한 왕가별업이다. 본제는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진 건덕방 타락산 아래의 궁집 석양루로서, 대군이라는 조영주체의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송계별업 또한 단청 및 건물의 제도가 매우 화려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장소정체성이자 핵심경관은 구천은폭으로 중국 여산폭포에 비견되는 다층의 폭포를 갖는 관폭과 청음의 공간이었으며, 별업 멸실 이후에는 왕릉 부석장으로 역할과 부석금표처의 장소이미지가 더해졌다. 조계동천을 중심으로 한 송계별업 내원은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한담과 창벽 등의 자연경관과 비홍교, 보허각, 영휴당 그리고 계당 등의 인공요소가 절묘하게 조화되었다. 또 현존하는 '송계별업'과 '구천은폭' 바위글씨는 별업원림의 조영자와 영역성을 상징하는 경관언어이자 장소 표식으로, 보허각을 중심으로 비홍교, 창벽, 한담 등의 경물명을 바위에 세기고 의미를 부여하였다. 특히 시각적 종점의 역할을 하는 구천은폭은 캐스캐이드형의 다단폭포로서 그 하부는 말구유 형상의 절리상 포트홀의 지형경관적 특성을 보인다. 한편 외원은 별업 정문과 행랑채 성격을 갖는 공간과 내 외원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계당과 돌다리 그리고 기거를 목적으로 한 영휴당 등으로 구분된다. 영휴당에서는 보허각만 관망되는 반면 보허각에서는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영휴당 등 사방의 조망이 가능하도록 한 이원적 조망 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비홍교에서 구천은폭과 창벽 그리고 한담을 상호 부감 앙시하게 되며, 비홍교를 건너 보허각에 올라 구천은폭과 조계동천을 바라보는 단계적 행위를 체험케함으로써 속세에서 선계로 이행되는 시각구성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