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ongwol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4초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 활성화 방안 (Study of the Reactivation for Art & Culture Content Space Centering to Local Area, Yeongwol)

  • 박기복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163-173
    • /
    • 2009
  • 강원도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여야 하며 이는 대내외적 변화에 상응하는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말한다. 기존의 천혜의 환경적 속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략과 더불어 지속 가능 모델로 자리매김을 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작금의 경제적 불황과 기후 변화의 영향은 성공적인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구축함에 있어서 더 이상의 선택적 요소가 아니다. 또한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활성화를 통하여 지역 경제와 사회문화적 파급력을 집성하려면 공간의 다양성과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도 절대적으로 병행하여야만 한다. 지리적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영월은 많은 문화예술콘텐츠 공간들을 이미 갖추었고 다른 지역과 다르게 발전적 전략구성을 집행하고 있다.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의 중요성을 산업적으로 활용하는 점에서 고무적으로 판단되어지며 본인은 연구의 범위를 영월로 한정하였다. 따라서 영월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을 진단하고 발전을 위한 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영월지역 뿐만 아니라 기타 지역의 경제적 고용창출과 소득증대,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창출할 것이며 나아가 지역 문화의 현대화와 이미지 개선,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 등을 형성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진다. 방법적으로 세계화를 지향함과 동시에 지역의 문화 예술적 토대를 근거로 하여 영월의 '지붕없는 박물관도시, 영월' 프로젝트 방향을 세방화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 즉 거시적인 세계화 지향의 발전 모델을 수립하기 이전에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수요를 파악하고 이를 특화한 시스템과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영월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 공간은 도 시민에게 삶의 장소로서 직결되기 때문이다.

  • PDF

단종애사(端宗哀史)의 후광효과를 적용한 영월팔경의 스토리탤링 전략 (A Study on Storytelling of Yeongweal-palkyung Applied by Halo Effect of King Danjong' Sorrowful Story)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3-74
    • /
    • 2008
  • 본 연구는 단지 지명도 부족과 관광 여건의 변화에 따른 홍보 전략용으로 급조, 지정된 신영월십경 지정에 따른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영월의 관광 문화자원의 대부분이 단종과 관련되어 었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이에 따라 익히 알려진 '단종에 대한 슬픈 역사'와 유배지 영월의 문화자원이 갖는 지명도 등의 후광효과를 통해 미개발 관광콘텐츠 영월팔경의 형식과 내용을 검토하여 "문화경관 영월팔경"이라는 경관콘텐츠의 스토리텔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영월팔경이라는 문화경관 텍스트와 <단종애사> 라는 역사콘텐츠의 조응적 관계성 모색을 통한 장소와 역사적 현장 경관의 동일성을 통한 의미와 이야기 전달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의 자연문화경관을 공간적 텍스트화하기 위한 틀 짜기(framing)와 켜 짜기(layering)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스토리뿐만 아니라 텔링이 텍스트 향유의 지배적 요소가 되도록 하기 위한 에피소드 등의 이야깃거리를 탐색하고 경관 주제의 모티브로 발굴하고자 하였으며, 한편으로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다양화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텍스트의 구조 안에서 재맥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몰입 경관요소를 장소, 대상 그리고 시점으로 구분하여 현장화 하였다. 또한, 경관 몰입요소를 인포테인먼트(Infortainment)와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요소 등의 미시 콘텐츠를 제시함으로써 '영월팔경-단종애사'의 이야기성, 현장 장소성 그리고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상호관계성을 고려한 영월팔경 스토리텔링 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스토리텔링 방안이 실제 영월 관광의 대안이자 전략으로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경관 연출의 리얼리티를 역동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시점의 설정과 경관 루트 연계방안 그리고 내레이션 시나리오가 갖추어져야 하며, 영월의 자연 및 풍수적 관점에서의 형국 인식과 단종 관련 역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경관해설가의 양성이 필요하며 인터넷과 디지털상용화 전략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멸종위기식물 층층둥굴레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식생구조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ural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 송재모;이기영;이재선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87-194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y of natural habita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propagatio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Habitats of Polygonatum stenophyllum were classified into Hemiptelea davidii-Robinia pseudo-acacia dominant population (Yeongwol-eup), Pinus densiflora-Hemiptelea davidii-Callicarpa japonica dominant population (Nam-myeon), and Hemiptelea davidii-Rubus crataegifolius dominant population (Gangchon-ri). The soil pH 6.49~7.28; and electron conductivity 0.10~0.19 ds/m. The average content of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_2O_5$, $Ca^{2+}$, $Mg^{2+}$, $K^+$, and $Na^+$ were 8.24~16.45 g/kg, 0.02~0.13%, 45.67~123.67 mg/kg, 4.61~6.71 cmol(+)/kg, 0.17~0.63 cmol(+)/kg, 0.06~0.27 cmol(+)/kg and 0.03~0.30 cmol(+)/kg, respectively. Species diversity index (H'), maximum species diversity index (H' max), evenness (J') and dominance (1-J') of investigated sites ranged 1.0323 (Nam-myeon)~1.1134 (Yeongwol -eup), 1.4914 (Gangchon-ri)~1.6128 (Nam-myeon), 0.6401 (Nam-myeon)~0.7270 (Yeongwol-eup) and 0.2730 (Yeongwol-eup)~0.3599 (Nam-myeon) respectively.

  • PDF

영월읍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모니터링 결과 분석 - 2018년 지역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Community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 in Yeongwol - Focusing on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 in 2018 -)

  • 정미경;김기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1권4호
    • /
    • pp.43-54
    • /
    • 2019
  • The present study aims to monitor three of the community empowerment projects implemented as part of the community central revitalization projects in Yeongwol. We used an established indicator (i.e., quantitative evaluation) as well as an interview (i.e., qualitative evaluation) throughout the monitoring process. The PM (project manager) committee members, consisting of six interdisciplinary experts, carried out the monitoring from $24^{th}$ of October until the $26^{th}$ of November 2018. We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into the aspects of needs, software, and hardware, and analyzed them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locals were willing to take part in programs, they were in overall not well informed about the ongoing programs and the program that suits their needs the most. The service organization should therefore actively publicize the program and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it .Second, instead of a one-off program, the locals should be empowered to take over the program eventually and develop it as a local business model. Last, the locals from the center as well as the outskirts of Yeongwol should organize a learning net, collaboratively develop a further program, and assess its effectiveness by employing a thorough monitoring system.

Early Ordovician (Tremadocian) Graptolites from the Mungok Formation, Yeongwol, Korea: Biostratigraphy and Correlation

  • Kim, Jeong-Yul;Cho, Hyun-Su;Jin, Yeong-Pil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45-756
    • /
    • 2006
  • Early Ordovician graptolites from the Mungok Formation of Yeongwol area, Korea comprise seven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Callograptus curvithecalis, Callograptus sinicus, Aspidograptus lotolatzensis, Dendrograptus suni, Dictyonema uniforme, Adelograptus cf. tenellus, and Psigraptus jacksoni. Two graptolite zones with three subzones are recognized in the eight sections of the Mungok Formation. The Adelograptus Zone is correlated with (1) La 1b of the Lancefield Formation of Victoria, Australia, (2) the Adelograptus-Clonograptus Zone of the Yehli Formation of Jilin, China, and (3) the Adelograptus Zone of the Road River Formation of Yukon, Canada. It suggests that the upper part of the Mungok Formation corresponds to early Late Tremadocian of Early Ordovician.

Late Tremadocian Graptolites from the Mungok Formation of the Namaeri and Baeiljae Sections at Yeongwol, Korea

  • Kim, Jeong-Yul;Choi, Sang-Kook;Jin, Young-Pil;Kim, Kyung-Soo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46-659
    • /
    • 2009
  • The early Ordovician graptolites from the upper part (Tumok Member) of the Mungok Formation of the Namaeri and Baeiljae sections at Yeongwol consist of five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They are Adelograptus cf. tenellus, Callograptus sp., Dendrograptus suni, Dictyonema sp., and Psigraptus jacksoni. Of these 5 species, Psigraptus is the most excellent index fossil for international correlation with the early Ordovician strata. Adelograptus cf. tenellus from the Mungok Formation of the Namaeri and Baeiljae sections is also recognized with especially short stipe relative to Adelograptus tenellus. Three graptolite zones (such as Adelograptus, Psigraptus, and Dendroid type zones) are correlated with those of Canada, Australia, and China, respectively. The upper part of the Mungok Formation is assigned to the late Tremadocian.

Brucellosis outbreak of Korean indigenous cattle at Yeongwol and Pyeongchang county in Korea

  • Kim Song-Tae;Yoon Kyo-Bok;Kang Tae-Kyu;Bak Won-Hern;Lee Jung-Hyun;Chung Dong-Su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7-392
    • /
    • 2005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brucellosis in Korean indigenous cattle at the Yeongwol and Pyeongchang county. Brucella spp was differentiated and identified from cotyledons, amniotic fluids and supramammary lymph nodes which confirmed with clinical, serological, epidemiological evidences (69 cases) from January to June, 2004. Isolation frequency of this causative agent from supramammary lymph nodes, cotyledons and amniotic fluids from 38 pregnant Korean indigenous cattle were $39.1\%,\;87.5\%,\;and\;63.2\%$, respectively, and finally confirmed with Brucella abortus biotype 1 through biochemical and serological test. A Brucella specific DNA with 711bp band was detected by PCR assay using BCSP primer. The two cases were definite epidemiological evidences that infected Korean indigenous cattle acrossed the border to Yeongwol and Pyeongchang from near two provinces. Effective prevention programs are urgently needed for further spreading this epidemics.

단종 제향 복원을 위한 재관(齋官) 복식 고증 (A Study on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at Yeongwol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 이은주
    • 복식
    • /
    • 제62권8호
    • /
    • pp.118-133
    • /
    • 2012
  • A historical research on the costume of memorial service officials during the period of late 18th century, King Jeongjo period, is performed for an accurate re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ervice for King Danjong, which is a part of King Danjong Cultural Festival held at Yeongwol. This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 follows: 1. Jangneung memorial service is held only on Hansik day and the procedure follows the rule based on Gukjooryeui(國朝五禮儀). The service was first held in 1791 for King Danjong and his royal followers. 2. The rule based on Chunkwantonggo(春官通考), defines the king's tomb memorial services and attendees.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follows the rule regarding its attendees and the attendees include high-rank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local confucian scholars, and service men. 3. The costume of attendees for the King Danjong's memorial service is as follows: 1)Dangsangkwan(堂上官) and Danghakwan(堂下官) wear Sangbok(常服), which consisted of Samo(紗帽), Heukdanllyeong(黑團領), Pumdae(品帶), and black boots(黑靴). 2)Local confucian scholars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Yukeon(儒巾), Dopo(道袍), Sejodae, and black boots. 3)Service men wear their uniform consisting of Jeonjakeon(典字巾), red-robe with rounded collar called Hongui(紅衣), Kwangdaw hoe(廣多繪), and Uuhae(雲鞋).

한국의 잣나무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다양성 (Diversity of Fungal Endophytes from Pinus koraiensis Leaves in Korea)

  • 서상태;김경희;김명주;홍진성;박종한;신상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8-110
    • /
    • 2009
  • 영월과 진천의 2지역에서 잣나무로부터 내생균의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총 113개의 내생균을 분리하여 rDNA ITS 부위의 염기서열 분석으로 균을 동정하였다. 염기서열 분석결과 Pestalotiopsis sp.가 2지역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다. 영월에서는 Pestalotiopsis sp. 68.5%, Lambertella sp. 12.4%로 분리되었으며, 진천에서는 Pestalotiopsis sp. 41.7%, Hypoxylon sp. 20.8%, 그리고 Phomopsis sp.가 12.4% 분리되었다. Hypoxylon sp.와 Phomopsis sp.는 영월에서 분리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