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soil media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4초

토양 Bio-Filter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x Using a Soil-Biofilter)

  • 조기철;고병익;이내현;조일형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3-139
    • /
    • 2006
  • Soil biofiltration is an environmentally-sound technology for elimination of VOCs, odorous and NOx compounds from a low concentration, high volume waste gas streams because of its simplicity and cost-effectivenes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 of removal of gaseous NOx using a soil and a yellow soil. Over $60\%\;and\;48\%$ of NOx from a soil and a yellow soil was removed at the inlet NO concentrations of $423\~451$ppb, respectively. The bio-filter using a soil media was capable of purifying NOx with a different natural processes. Although some of the processes are quite complex, they can broadly be summarized as adsorption into soil pore water, and biochemical transformations by soil bacteria. When the filteration bio-reactor was applied to a soil and a yellow soil, effective NOx removal was obtained for several times and months. These results show that a soil biofilter can be of use as an alternative advanced NOx treatment system.

오염하천 수질개선을 위한 Hybrid형 인공습지의 적용 (Application of Hybrid Constructed Wetland System for Stream Water Quality Improvement)

  • 김승준;최용수;배우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9-2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stream water quality by the experimental hybrid constructed wetland system. It consisted of the water layer, sand bed planted reeds, irises and roses, gravel bed, yellow-soil media bed and a flow shifter (FS) which can reverse top and bottom flow in the middle of the wetland. The organic compounds and nitrogen removal efficiencies varied with the seasons, namely temperature change. In summer, the mean efficiencies of COD and TN in the outflow from this wetland system were 63.4 and 48.0% and shown the highest, respectively, whereas, the suspended solids and phosphorus removal efficiencies seemed to be less affected by temperature.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decreasing trend of pollutants,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in the wetland was the major removal mechanism for nitrogen, the nitrogen reduction was especially enhanced by the application of a FS in the wetland, and phosphorus reduction was mainly occurred as a consequence of adsorption of the yellow-soil media.

흙배지의 버섯균사배양 이용 효과 (Effect of Soil Media in Mushroom Mycelial Incubation)

  • 장현유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6권2호
    • /
    • pp.141-147
    • /
    • 1999
  • 느타리버섯은 톱밥:미강(80;20, %, v/v)에 황토흙, 밭흙, 논흙을 각각 40% 혼합시 89, 88, 68mm/10일 순, 표고버섯은 톱밥:미강(80;20, %, v/v)에 밭흙, 황토흙, 논흙을 각각 $40{\sim}50%$ 혼합시 74, 71, 68mm/10일 순, 영지버섯은 톱밥:미강(80;20, %, v/v)에 밭흙, 황토흙, 논흙을 각각 $40{\sim}50%$ 혼합시 98, 94, 89mm/10일 순으로 균사생장과 균사밀도가 양호하였다.

  • PDF

배추 뿌리혹병(Plasmodiophora brassicae) 방제를 위한 육묘용 상토와 농약처리 효과 (Effects of Seeding Bed Media and Fungicide on Control of Clubroot Disease of Chinese cabbage Caused by Plasmodiophora brassicae)

  • 홍순성;김진영;박경열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64-67
    • /
    • 2003
  • 배추 뿌리혹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상토의 종류와 농약 병용처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한 결과 온실시험에서 피트 모스, 바로커 상토에 육묘한 배추에서의 발병도가 48.3, 54.2%에 비해 황토, 마사토 상토에 육묘한 배추에서는 발병도가 10.8, 18.7%이었고 포장시험에서는 피트모스 상토 75.7%, 바로커 36.6$, 마사토21.7%, 황토 14.1% 순이었다. 후루설파마이드 분제를 토양에 혼화처리하였을때는 봄재배에서 피트모스 상토에서는 발병도 4.5%에 비해 황토 상토에서는 0.4%이었고 가을재배에서는 10.1, 5.7%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피트모스, 바로커 상토보다 황토, 마사토 상토를 사용하고 후루설파마이드 분제로 약제처리하면 뿌리혹병 방제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팬지 'Melody Yellow'의 플러그 육묘시 석회질 비료의 시비수준이 토양화학성 변화와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pplication Rates of Pre-planting Liming Fertilizers on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Growth of 'Melody Yellow' Pansy in Plug Production)

  • 이풍옥;이종석;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35-742
    • /
    • 2010
  • 석회질 비료인 고토석회와 탄산칼슘의 시비수준이 'Melody Yellow' 팬지의 플러그 육묘시 토양화학성 변화와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스+버미큘라이트(1:1, v/v) 혼합상토에서 고토 석회는 $3.5g{\cdot}L^{-1}$, 탄산칼슘은 2.5 또는 $3.0g{\cdot}L^{-1}$ 비율로 시비한 처리에서 이상적인 pH 5.6-6.2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탄산칼슘 처리구에서는 토양 pH가 빠른 속도로 상승한 후 안정되어 탄산칼슘이 고토석회에 비해 용해도가 높고 빠르게 토양 pH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토의 Ca 농도는 두 종류 석회질 비료의 시비수준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상승하였고, 탄산칼슘이 시용된 모든 처리에서 고토 석회가 시비된 처리들보다 2배 이상 높은 농도로 분석되었다. 토양 Mg 농도는 고토석회 처리구에서 3.5와 $8.0g{\cdot}L^{-1}$ 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든 탄산칼슘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농도로 분석되어 추가로 Mg을 공급해 주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탄산칼슘 시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팬지 생체중과 건물중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초장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식물조직분석을 통한 무기원소 함량은 Ca과 Mg은 처리간의 약간의 차이를 나타냈지만 대부분의 무기원소에서는 처리구 모두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토양 혼합여재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x Using a Mixed Soil-Biofilter)

  • 조기철;신은상;황경철;조일형;이내현;여현구
    • 환경위생공학
    • /
    • 제21권3호
    • /
    • pp.15-26
    • /
    • 2006
  • As traffic in city-centre around the world continues to increase, so levels of atmospheric pollutants continue to rise. High concentrations of NOx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human health, and we must find new ways to reduce their levels in the air we breathe. Nitrogen oxide gas (NOx), consisting of nitrogen monoxide (NO) and nitrogen dioxide $(NO_2)$ produced using $O_3$ oxidation, at a low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that on roads as a result of exhaust from automobiles,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x through a laboratory-scale biofilter packed with soil as a packing material. A mixture media (yellow soil (30%): soil (40%): compost (10%): a used briquet (20%)) was applied. After about 1day of operation, the removal efficiency for $NO_2$ in all experiments with a constant condition ($25^{\circ}C$ and water humidity (60%)) was over 98%. The retention times of the section between phase I and phase II for formation and reduction of $NO_3$ NO and $NO_2$ on the initial $NO_3$ concentration was 50min $(O_3:195\;ppb),\;55min\;(O_3:925\;ppb),\;65min\;(O_3:1743\;ppb),\;70min\;(O_3:2616\;ppb),\;75min\;(O_3:3500\;ppb)$, respectively The soil biofilter system is a unique technology that purifies urban air by utilizing the natural processes that take place in the soil. Although some of the processes are quite complex, they can broadly be summarized as adsorption onto soil particles, dissolution into soil pore water, and biochemical.

유류 오염지역으로부터 분리된 균주를 이용만 디젤유의 분해 (Biodegradation of Diesel Oil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Petroleum Contaminated Site)

  • 박천보;허병기;윤현식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32-637
    • /
    • 2001
  • 본 실험에서 사용된 균주는 유류에 오염된 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직접 분리하였는데 본 실험에서는 백색 콜로니를 형성하는 W균주와 황색 콜로니를 형성하는 Y균주 그리고 두 균주의 복합균주인 WY 균주를 사용하였다. 단일 균주보다는 복합균주를 사용하였을 때 디젤유의 분해가 더 효과적이었으며 질소원의 첨가가 분해에 제한인자로 작용하였다. 비록 토양시스템의 분해효율은 액체상에서의 분해능에 비해 다소 떨어지지만, 통기의 조건 및 질소원의 첨가등으로 그 능력을 어느 정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 디젤유의 분해에는 생물학적인 측면 뿐 아니라 증발이나 휘발에 의해서도 상당량 감소하였는데 교반에 의해 또 오염토양의 제조공정중에 상당량이 휘발하는 것으로 보이며, 디젤의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침출되는 양도 적을 것이라고 보여지고 이는 다른 논문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21, 22) 앞서 언급한 것처럼 본 실험에서는 통기와 질소원의 첨가를 통해 미생물에 의한 디젤유의 분해능을 향상시켰는데, 이 뿐만 아니라 더욱 효과적인 디젤유의 분해를 위해서는 복잡한 토양시스템에 관계된 여러 요소들을 최적화하여 분해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어야한다.

  • PDF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a New Record of Paraconiothyrium kelleni from Soil in Korea

  • Mukesh Kumar Yadav;Kallol Das;Jung-Joo Ryu;Seong-Keun Lim;Jin-Sil Choi;Seung-Yeol Lee;Hee-Young Jung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01-109
    • /
    • 2023
  • A fungal strain designated KNUF-21-66Q1 was isolated from soil in Chungcheongbuk Province, Korea. Moderate growth of colonies was observed on potato dextrose agar, oatmeal agar (OA), malt extract agar, and cornmeal agar media at 25℃, and the detailed morphology was examined on OA medium. The colonies on OA medium were flat, had entire margin, hyaline, and yellow concentric rings in 3-4 weeks. Conidiomata were pycnidial, solitary or clustered, globose to subglobose, black-brown, and 300-500 ㎛ in diameter. Conidiogenous cells were smooth, hyaline, globose to ampulliform, and 6.0-9.0×3.0-6.0 ㎛ in size (n=15). Conidia were hyaline to pale brown, slightly golden, obovoid to slightly ellipsoidal, smooth, guttulate, and 3.0-4.7×2.1-3.3 ㎛ in size (n=100). The strain was confirmed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using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the partial 28S rDNA of large subunit, and β-tubulin gene sequences.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strain KNUF-21-66Q1 was similar to the previously described Paraconiothyrium kelleni.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 kelleni in Korea.

백합나무 양묘방법에 따른 묘목품질 비교 (Quality of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Seedlings by the Method of Seedling Production)

  • 유근옥;송정호;최형순;권해연;권용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307-316
    • /
    • 2007
  • 최근에 경제조림수종으로 확대 보급되고 있는 백합나무는 타 수종에 비하여 충실종자율 등이 낮아 묘목생산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조림활착률과 유시생장이 빠른 묘목 생산 기술 개발을 시도하였다. 백합나무 종자를 육묘상자에 상토와 종자 복토 재료를 각각 달리하여 파종하였고, 시험장소는 난방시설을 하지 않은 비닐 온실(비가림 온실)에서 시행하였다. 각 처리에서 발아율은 모래를 상토로, 배양토를 종자 덮기 재료로 사용한 처리구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나 발아가 완료된 후 포지 이식시기에 도달한 유묘(엽수가 자엽을 포함하여 3~4장을 형성하였을 때)의 묘고, 뿌리 길이, 뿌리 수, 건중량은 모래상토에서 가장 불량하게 나타났다.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원예용 상토 TKS-2가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TKS-2를 각각의 상토에 1 : 1(v/v)로 혼합하여 시험한 결과, 비교구보다 묘고 등 유묘의 형태적인 특성에서 충실한 유묘가 생산되었다. 이는 상토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 및 비료성분이 묘목의 생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비가림 온실에서 생산한 유묘를 6월 2일에 일반 노지 묘포에 이식하여 생장 모형(형태)을 조사한 결과, 이식 2개월 후인 8월 초순부터 10월 초순까지 급속한 생장을 보여 이 시기에 자란 수고와 근원 직경은 전체 생장량의 85.6%와 71.3%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가림 온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묘목과 포지에 직접 파종하여 얻은 묘목의 형질의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조림용 규격 묘목의 최대 생산본수를 조사하였다. 포지에 직접 파종하여 생산한 경우 규격묘목의 생산본수는 최대 $m^2$ 당 35본이었으나, 비가림 온실을 이용한 경우 규격묘목의 생산본수는 56본에서 64본까지 가능하였다. 또한, 두 가지 방법으로 생산한 묘목의 뿌리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 주근과 측근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세근 수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비가림온실 육묘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형태로 생산된 묘목들을 산지에 조림하여 4년간 생육 상황을 조사한 결과, 비가림 온실을 이용하여 생산한 묘목의 조림활착률 및 유시생장의 우수성을 인정할 수 있었다.

Effects of the water of yellow soil, Ji-Jang-Soo on cell viability and cytokines production in immune cells

  • Jeong, Hyun-Ja;Hwang, Gab-Soo;Myung, No-Il;Lee, Joon-Ho;Lee, Ju-Young;Um, Jae-Young;Kim, Hyung-Min;Hong, Seung-Heon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6권1호
    • /
    • pp.39-44
    • /
    • 2006
  • Ji-Jang-Soo (JJS) is known to have a detoxification effect. However, it is still unclear how JJS has these effects in experimental mode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JJS on the viability of cells and production of cytokines in human T-cell line, MOLT-4 cells, and human mast cell line, HMC-1 cells. The MOLT-4 cells were cultured for 24 h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JJS. As the result, JJS (1/100 dilut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ell viability about 78% (P < 0.05) and also increased the interleukin (IL)-2, and interferon $(IFN)-{\gamm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at 24 h. But had no effect on IL-4 production. Hypoxia mimic compound, desferroxamine (DFX) decreased the immune cell viability. Cell viability decreased by DFX was increased by JJS. In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JJS may have an immune-enhancing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