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ellow-color

검색결과 1,896건 처리시간 0.028초

The Influence of Oxygen on Czochralski Growth of Oxide Single Crystals

  • D. S. Chung;Park, B. H.
    • 한국결정성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성장학회 1997년도 Proceedings of the 12th KACG Technical Meeting and the 4th Korea-Japan EMGS (Electronic Materials Growth Symposium)
    • /
    • pp.179-181
    • /
    • 1997
  • When grown the oxide single crystal including Li-ion, optimum oxygen condition is needed. Color and crack are caused in single crystal according too the change in the condition of the oxygen. LiTaO₃ crystals grown from off-composition of congruent melt composition under oxygen deficieny condition didn't generate any crack. LiNbO₃. LiTaO₃ crystals grown from congruent melt composition under optimum oxygen condition caused pale yellow color or colorless with no crack. Color gradually became colorless and generated cracks according to Oxygen excess.

  • PDF

1차색의 지각범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ge of Color Preception in Primary Colors)

  • 이정옥;정용희;이순자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7-13
    • /
    • 1999
  • 본 연구는 의복디자인에 있어 색채적용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1차색의 지각범위에 대하여 여대생 29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기간은 1998년 7월∼10월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0[%] 이상의 피험자가 지각한 지각범위 형태는 빨강에 대해서는 표준색 5R 4/14를 중심으로 5R 4/12, 5R 4/10, 5R 5/14로 명도축보다 채도축의 범위가 더 넓다. 노랑의 지각범위 형태는 표준색 5Y 8/14를 중심으로 채도축의 범위가 더 넓다. 파랑의 지각범위 형태는 표준색 5B 4/10을 중심으로 명도 축의 범위가 넓다. 2) 색도도에서 보면 1명 이상의 지각범위는 빨강은 전체 범위의 3/4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x축 선상으로 쭉 뻗어 있다. 노랑은 전체의 약 1/2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소수가 분리된 형태를 가진다. 파랑은 전체의 약 2/3에 걸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선 상으로 늘어진 모든 색표가 포함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빨강의 지각범위는 상당히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피험자간의 공통성은 비교적 높으며, 노랑의 지각범위는 중간정도의 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피험자간의 공통성은 낮다. 또한 파랑의 지가범위는 약간 넓은 범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피험자간의 공통성은 높다고 말할 수 있다.

  • PDF

고화질 색 재현을 위한 추가적인 잉크와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를 이용한 6색 분리 (Six Color Separation Using Additional Colorants and Quantitative Granularity Metric for Photography Quality)

  • 손창완;조양호;권오설;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4호
    • /
    • pp.49-5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측색적인 오차와 낟알 무의 현상을 동시에 감소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잉크와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를 이용한 6색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6색 분리 방법에서는 3색이나 4색 프린터에서 나타나는 도트의 가시성을 줄이기 위해 밝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묽은 잉크(light magenta와 light cyan)를 진한 잉크(magenta와 cym)로 대체한다. 그러나 묽은 잉크와 진한 잉크의 색상의 차이로 인해서 밝은 영역에서 정확한 측색적인 색 재현이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측색적인 오차를 줄이기 위해 추가적인 잉크(additional colorants)인 yellow와 light magenta 잉크를 밝은 영역에서 사용한다. 따라서 밝은 영역에서 magenta 잉크는 light magenta와 yellow로 대체되고 cyan은 light cyan과 light magenta로 대체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잉크의 사용은 진한 잉크의 색상과 유사한 색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측색적인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추가적인 잉크는 작은 도트의 가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영상도 재현될 수 있다. 한편 중간 영역에서도 부드러운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magenta는 light magenta와 magenta로 대체되고 cyan은 light cyan과 cyan으로 대체된다 그러나 농도가 다른 두 잉크의 사용은 거친 도트 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정량적인 낟알 무의 측정자가 사용된다. 어두운 영역에서는 묽은 잉크를 사용해도 더 이상 낟알 무늬가 감소되지 않기 때문에 magenta와 cyan 잉크만 사용한다.

홍화 염색 견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성능 변화 연구 (The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1-6
    • /
    • 2008
  • 견직물에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후 자외선 조사 후 시료들의 염착량 색채변화, 형태변화, 인장강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최종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견직물의 경우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내구력이 더욱 있음을 알수 있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도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고, $b^*$도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훨씬 낮았다. 3.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견직물에 대해서는 홍화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홍화 염색한 견직물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염색물 자체의 성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염 염색물의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섬유의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색소의 차이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견직물의 경우에는 홍화 황색소가 홍색 소보다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견직물 이외 다른 섬유 종류와 홍화의 두가지 색소가 자외선에 반응하는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보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쏘가리와 황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염색체와 외부형태 비교 및 교배 실험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Chromosomal Characteristics and Cross Breeding of the Two Types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완옥;장선일;이종윤;손송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8-234
    • /
    • 1997
  • 본 연구는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황쏘가리와 쏘가리의 별종 또는 종내 변이에 대한 정확한 분류학적 지위를 알기 위하여 형태형질 및 염색체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교배실험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형태형질 중 체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측선린수가 90~98개, 등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수가 각각 12와 13개, 뒷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가 각각 3개와 9~10개, 가슴지느러미가 15개로 나타나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염색체수도 두 집단 모두 2n=48로 같게 나타났으며, 핵형에 있어서도 submetacentric chromosome이 2쌍, acro 또는 telocentric chromosome이 22쌍으로 나타났고, 2종 모두 fundamental number가 52로 동일했다. 교배실험에서도 두 집단이 동일하게 정상적으로 발생되어, 별종일 가능성은 없었다. 황쏘가리의 체색은 부화 후 50일부터 혹색소포가 줄어 들다가 60일이 지나면 몸의 체색이 완전히 황색으로 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국명과 종명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황쏘가리와 쏘가리는 동일한 종이고, 체색의 차이는 유전적으로 변이된 albino 현상으로 추정된다.

  • PDF

졸-겔법을 이용한 Al2O3-CoO계 박막의 제조와 특성에 관한 연구 (Coating and Characterization of Al2O3-CoO Thin Films by the sol-gel Process)

  • 심문식;임용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3-128
    • /
    • 1999
  • 25mol% CoO가 고용된 $Al_2O_3$계 코팅박막을 졸-겔법으로 제조하고 열처리온도의 변화와 코팅 횟수에 따른 광투과 스펙트럼과 표면반사율과 색상의 변화를 분석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Al_2O_3$-CoO계 박막의 UV-Visible 영역에서의 분광투과율은 약 600nm를 최고 정점으로 하여 파장의 감소와 함께 감소하였으며, 평균 분광투과율은 $300^{\circ}C$(61%), $400^{\circ}C$(55%), $550^{\circ}C$(53%)로 열처리온도가 증가할 수록 광투과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550^{\circ}C$에서 열처리한 $Al_2O_3$-CoO계 박막의 1~5회 범위의 코팅 횟수에 따른 UV-Visible 영역에서의 분광투과율은 코팅 횟수의 증가와 함께 2차 함수 곡선을 따라 급속히 감소하였다. Indentor penetration method에 의한 $Al_2O_3$-CoO계 박막의 microhardness는 $300^{\circ}C$($370{\times}10^7N/m^2$), $400^{\circ}C$($405{\times}10^7N/m^2$), $550^{\circ}C$($417{\times}10^7N/m^2$)로 열처리 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박막의 표면반사광의 스펙트럼은 열처리 온도의 증가에 따라 반사용은 낮아지며, Db값이 20~30 범위에서 높은 값으로 전이하여 황색의 심도가 깊어졌다. 박막의 코팅 횟수에 따라서는 1회(600nm), 2회(560nm), 4회(530nm)로 낮아지다가 5회 (575nm)로 다시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yellow에서 greenish-yellow로 변화하다가 Db가 약 50에 달하는 deep yellow로 전이하였다. 명도는 1회(69.77), 2회(68.64), 3회(63.14), 4회 (64.94), 5회(60.42)로 코팅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냉동연육 원료로서연근해산 어류의 가공적성 검사연구 (Sthdies on the Adaptability for Frozen fish Meat Paste Processing of the Fishes Cought in korean coastal Off-Shore Sea)

  • 류지동;이성갑
    • 기술사
    • /
    • 제32권4호
    • /
    • pp.104-118
    • /
    • 1999
  • Alaska Pollack (Theragramma), Mackerel (Socomber japonicus), yellow corvenia (Pseudosc iance manchurica) were dressed, and then meat was separated from the other parts through a fish meat separator. After dehydration, the meat was ground with a silent cutter, packaged in polyethylene bags, and stored at -15。C for days. Samples were taken at regular intervals throughout the storage period and investigated for changes in pu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mounts of nitrogenous compounds, degree of lipid oxidati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organoleptic factors. The resr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volatile basic nitrogen[VBN] contents of Alaska pollack, and yellow corvenia meat pastes increased from 14.4, 11.2 and 10.8mg% to 41.6, 38.3 and 40.6mg%, respectively during a 120 day storage period, whereas the trimethylamine oxide nitrogen [TMAO-N] contents decreased from 117.2, 12.8 and 17.2mg% to 40.3, 2.6 and 7.1mg% during the same period. 2. The TBA value of the mackerel meat paste showed a maximum peak after 60 days, and then decreased gradually, whereas the TBAvalues of the alaska pollack and yellow corvenia meat pastes increased steadily during the same period. The acid values of the meat paste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hile the iodine values decreased. 3.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otal lipid of the meat pastes changed considerably during ghe 120 days storage period :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total lipid such as myristic, palmitic, and stearic acid increased, while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gadoleic, eicosapentaenoic, erucic and docosahexaenoic acid decreased steadily. The initial percentage contents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total lipid of the Alaska pollack, mackerel, and yellow corvenia meat pastes were 87.2%, 63.9%, and 75.9% respectively. However, the contents decreased to 46.0%, 42.5% and 51.3% after the 120day storage period. 4. The color of the meat pastes changde gradually into dark brown. L values of the meat paste measured with a thistimulus colorimeter decreased steadily during the storage period, while a and b values increased during same period. 5. Judging from the results of organoleptic evaluation on the fish odor,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between the odor and color of the mackerel and those of the yellow corvenia meat pastes. Overall acceptability score of yellow corvenia was higher than that of Alaska pollack or mackerel meat pastes.

  • PDF

비스무스와 지르코늄 첨가를 통한 세리아계 친환경 노란색 안료 특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Bi and Zr addition on yellow colour properties of environment-friendly ceria-based pigments)

  • 김태호;황해진;김진호;황광택;한규성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53-159
    • /
    • 2015
  • 무기안료는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페인트, 고화도 세라믹 잉크, 아트 타일, 건물의 외장재 등의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에는 $PbCrO_4$, CdS, CdSe 등의 조성이 노란색 무기 안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Cd, Cr, Pb, Se 같은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최근에는 사용에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eria 기반의 조성을 이용하여 고상법으로 친환경 노란색 무기안료를 합성하였다. XRD와 SEM을 통해 합성된 $Ce_{1-x}Zr_xBi_yO_{2-y/2}$ 노란색 무기안료의 결정구조와 형상을 확인하였고, UV-vis. spectrophotometer와 CIE $L^*a^*b^*$ 분석으로 Zr과 Bi함량에 따른 노란색 무기안료의 발색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노란색 무기안료의 결정구조는 주로 하소온도의 변화에 의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발색 특성과 흡수단은 하소온도와 Zr, Bi 함량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합성된 모든 무기안료는 자외선과 500 nm 이하의 가시광선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였고, $Ce_{0.44}Zr_{0.36}Bi_{0.20}O_{0.19}$(x = 0.36, y = 0.20) 조성의 무기안료에서 가장 선명한 노란색 색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Isoflavone Cont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Seed Quality Traits of Soybean Cultivars Collected in South Korea

  • Kim, Sun-Lim;Chi, Hee-Youn;Kim, Jung-Tae;Lee, Yeong-Ho;Park, Nam-Kyu;Son, Jong-Rok;Kim, Si-J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1-88
    • /
    • 2006
  • The 117 soybean cultivars were collected from nine provinces in Korea, and various seed quality traits along with isoflavone contents were evaluated to elucidate their relationship. The 100-seed weight of the black soybean (31.2 g)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yellow soybeans (28.6 g). The composition of genistein, daidzein, and glycitein accounted for 75.8, 22.8, and 1.4 % of total isoflavone in yellow soybean cultivars, while their compositions in black soybeans were 58.5, 39.7, and 1.8%, respectively. The mean contents of total isoflavone in yellow and black soybean were $l,561.6{\mu}g\;g^{-1}\;and\;l,018.3{\mu}g\;g^{-1}$. The isofalvone content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ultivars when classified by the seed size. In the yellow soybeans,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in small size soybean cultivars $(1,776.0{\mu}g\;g^{-1})$ and medium size soybean cultivars $(1,714.3{\mu}g\;g^{-1})$ compared to large size ones $(1,518.5{\mu}g\;g^{-1})$. Genistein content was proved as the major fact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soflavone content and 100-seed weights (r =-0.206*). Daidzein and glycitein, however,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100-seed weights. Isoflavon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lor parameters L (lightness) and a (redness) values, but color parameter b (yellow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ycitein (r=0.264*) in the yellow soybeans, while it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idzein (r=-0.245*) and total isoflavone (r=-0.256*) were observed in black soybeans. Howev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ed color value may not serve as an effective parameter for estimating the isoflavone intensity of the soybeans. Variation of protein and lipid contents between yellow soybeans (n=58) and black soybeans (n=59) was relatively stable, however, protein and lipid contents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soflavone content.

LED 처리에 의한 고춧가루의 미생물 저감화 및 품질특성 (Effects of LED Treatment on Microbial Reduc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

  • 윤혜정;박경훈;류경열;김세리;윤종철;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42-448
    • /
    • 2012
  • 고춧가루의 LED(적색, 황색, 청색, 녹색광) 처리시 저장기간 중 미생물 저감화, 수용성 색소, capsanthin 함량, 표면 색도(Hunter L, a, b, ${\Delta}E$) 및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저장기간 중 총 호기성 세균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 황색 LED 처리군에서 1.76 log 감소되었다. 표면 색도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명도(L),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색차는 황색 LED 시료에서 ${\Delta}E$ 값이 3.0 이하로 나타나 다른 시료군에 비해 색도의 변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색소는 저장기간 중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capsanth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적색 LED 시료와 황색 LED 시료는 저장 10일 후 초기와 유의적인 capsanthin 함량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적 품질은 대조군의 경우 외관, 색 및 상품성이 저장기간 중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황색 LED 시료와 녹색 LED 시료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